뉴스
분류 뉴스

‘야생의 북부시대’ 캐나다 주택시장 공급부족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의 최근 부동산 시장은 국내외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아직 팬데믹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도 광풍처럼 시장이 뜨거워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가운데 BMO 이코노믹스는 최근 캐나다 부동산 시장을 ‘야생의 북부’라고 평가하여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로버트 캐브시치 수석 경제학자의 분석입니다.

캐나다의 주택거래는 계절적영향을 반영할 때 2월 6.6% 올랐으며 이는 또 다른 기록적 수준입니다.

1년 전과 비교할 때 거래량은 무려 39.2%나 늘었습니다.

팬데믹에 록다운에 돌입했던 작년 3~5월과 비교한다면 엄청난 수준입니다.

주택시장이 뜨거운 이유에 대한 이 보고서는 몇 가지 요인을 내놓았습니다.

먼저 고임금 직종의 일자리가 빠르게 회복하여 잠재적 홈바이어 사이 소득이 뒷받침되는 것입니다.

모기지 이자율이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이라는 점입니다.

도시 중심부를 벗어나 좀더 넓은 공간을 찾으려는 수요가 많았다는 점입니다.

여행자재가 오히려 레크리에이션용 제2 주택 소유에 대한 수요를 촉발시켰습니다.

젊은 가정은 어쨌든 앞으로 단행했을 움직임을 서둘렀습니다.

덧붙여 투기적 요소도 시장에 있다는 것입니다.

다른 한편에서는 공급의 부족이며 지금의 수요를 맞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신규 리스팅은 실질적으로 2월 15.8%가 늘었습니다.

작년 이맘때와 비교한다면 11%가 증가했지만 여전히 거래속도에 밀린니다.

더욱 중요한 점은 전국적으로 매물로 나온 주택의 공급량이 1.8개월로 역사적으로 적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는 5개월 정도 공급량을 보입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의 전년대비 거래량은 39.2%, 올들어 누적 거래량 비교는 37.7%입니다.

집값도 전국적으로 전년대비 25% 누적 집값은 24%나 늘었습니다.

주요 시장을 볼 때 밴쿠버는 거래량이 작년대비 76.3% 집값은 전년대비 13.1% 늘었습니다.

토론토는 거래량 51.2% 증가에 집값 14.9% 증가로 나타났습니다.

그동안 잠잠했던 캘거리와 앨버타도 들썩거리고 있습니다.

캘거리의 거래량은 작년대비 60.3%를 집값은 8.8%, 에드먼턴에서 거래량은 전년대비 59.3%를 집값은 6.9%로 나타났습니다.

이상 부동산뉴스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밴쿠버  KoreanREW.com

#캐나다 #주택시장 #갸격상승 #모기지 #캘거리 #에드먼튼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929 / 42 Page
RSS
백신 빠른 공급에 전국 경제전망 “더 밝아져”
K밴쿠버
등록일 03.24 조회 3774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올해 경제 전망은 대다수 전문가들이 ‘상승’을 내다봤습니다. 그런데 최근 백신 배포가 속도를 내면서 이 같은 상승세는 더…

최저임금 인상 힘든 구직 더 어렵게
K밴쿠버
등록일 03.24 조회 3529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요즘처럼 ‘최저임금’에 대한 관심이 큰 적이 없을 듯합니다. 팬데믹 속에서 가장 어려움을 받는 그룹 가운데 하나가 바로 …

캐나다 미국 멕시코 연결 철도망 구축
K밴쿠버
등록일 03.24 조회 3400 추천 0

뉴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에서 미국을 거쳐 멕시코로 연결되는 철도망이 구축됩니다. CP레일 Canadian Pacific에 따르면 이 회사는 Kan…

BC 로어메인랜드 확진자 '급등’ 우려
K밴쿠버
등록일 03.23 조회 3095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및 백신접종 관련 뉴스입니다.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는 가운데 변종바이러스를 포함한 코로나 19 확진자들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

캘거리 중산층 보급형 주택플랜 ‘눈길’
K밴쿠버
등록일 03.23 조회 3234 추천 0

뉴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캘거리의 중산층 보급형 주택 공급계획이 한국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서울연구원은 최근 캘거리 시가 특별 조례를 통…

1월 영주권취득 2만5천명 한달새 1만명 증가
K밴쿠버
등록일 03.23 조회 3683 추천 0

유학이민 캐나다이민국 발표뉴스입니다. 코로나에 따른 캐나다 정부의 입국 제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올해 초 영주권 취득자가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캐나다 …

캐나다 주택가격 올해 꾸준한 상승세” 댓글 1
K밴쿠버
등록일 03.22 조회 3743 추천 0

뉴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은 지난 여름부터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였습니다. 팬데믹기간인 3~5월 Lockdown 속에 ‘고요한’ 시간 후…

캐나다 팬데믹 속에서도 가계자산 ‘상승곡선’
K밴쿠버
등록일 03.20 조회 3493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 가정의 재산은 꾸준히 상승곡선을 그려왔습니다. 그런데 팬데믹 기간 동안에도 전국적으로 가계 재산은 상승곡선을 나타…

BC주택시장 ‘기록적’ 수준 인벤토리 부족
K밴쿠버
등록일 03.20 조회 3701 추천 0

뉴스 부동산뉴스입니다. BC주택시장이 꾸준하게 기록적 속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BC부동산협회도 최근 로컬 부동산 시장 움직임을 ‘기록적 수준’이라고 …

‘야생의 북부시대’ 캐나다 주택시장 공급부족
K밴쿠버
등록일 03.19 조회 3052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의 최근 부동산 시장은 국내외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아직 팬데믹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도 광풍처럼 시장이 뜨…

BC주 상업용 부동산 시장전망 “밝음”
K밴쿠버
등록일 03.19 조회 3531 추천 0

뉴스 상업용부동산에 대한 뉴스입니다. BC주 상업용 부동산의 올해 전망이 밝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최신 2020년 4/4분기 데이터로 본 상업…

가계재정 코로나 이전보다 열악 식품비는 더늘어나
K밴쿠버
등록일 03.19 조회 2603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비싼 곳은 BC주입니다. 그렇지만 최근 1년 넘게 지속된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주민 3명 가운데…

포트코퀴틀람 중심부 커뮤니티센터 올가을 완공
K밴쿠버
등록일 03.18 조회 3138 추천 0

뉴스 포트 코퀴틀람 로컬뉴스입니다. 한인 밀집 지역으로 불리는 트라이시티에서도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포트 코퀴틀람의 다운타운이 새로운 변신을…

기준금리 인상시 변동과 고정중 어느쪽이 유리할까?
K밴쿠버
등록일 03.18 조회 4257 추천 0

부동산 이자율 관련 경제뉴스입니다. 요즘처럼 이자율이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한 적도 없습니다. 캐나다 중앙은행도 한동안 기준금리를 낮게 유지한다고…

코퀴틀람에 3억달러 규모의 TransLink 운영센터 구축 댓글 2
K밴쿠버
등록일 03.17 조회 2968 추천 0

뉴스 코퀴틀람 로컬뉴스입니다. TransLink는 해당 지역의 대중교통 차량을위한 운영 및 유지 관리 센터를 구축하기 위해 노스로드에 대규모 토지를 …

BC주 연령기반 대규모 ‘백신접종’ 본격
K밴쿠버
등록일 03.17 조회 3116 추천 0

뉴스 코로나 관련 로컬뉴스입니다. BC주 정부의 대규모 백신접종이 본격 시작됐습니다. 이 가운데 ‘변종바이러스’의 액티브 케이스도 크게 늘어나고 있습…

Rogers가 Shaw 전격매입 계획밝혀 260억 달러규모
K밴쿠버
등록일 03.16 조회 3051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통신회사인 [Rogers|로저스]가 [Shaw|샤] 매입계획을 밝혀 방송통신 및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산업계에 큰 파장을 …

오미라의 이민법 따라잡기-일해보고 싶은 나라, 1위 캐나다 댓글 5
ohcanadavisa
등록일 03.15 조회 3516 추천 0

유학이민 오미라의 이민법 따라잡기 일해보고 싶은 나라, 1위 캐나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과 더네트워크에서 전세계 190여 국에 거주하는 20~40대의 20…

캐나다 주택시장에서 주민이동과 집값 관계는 댓글 2
K밴쿠버
등록일 03.15 조회 2871 추천 0

뉴스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에서 발표한 주택관련 분석자료입니다. 사람의 이동은 주택 시장에서 수요와 직결됩니다. 최근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는 캐나다 주…

경제회복 전망에도 3곳중1 매출하락 예상 댓글 2
K밴쿠버
등록일 03.15 조회 2641 추천 0

뉴스 캐나다 통계청의 비즈니스 조사 분석자료입니다. 올해 2021년 경제는 지난해와 달리 반등한다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그렇지만 비즈니스 사업체 기…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