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부동산

“최근 저이자 모기지 고객 갱신 때 충격 커”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최근 저이자 모기지 고객 갱신 때 충격 커”

“뱅크 오브 캐나다 2025/2026년 모기지 이자 4.5% 전망”
캐나다 30%는 변동 이자율 사용…전국 가정의 10% 규모


캐나다 부동산 시장의 ‘순풍’ 역할을 해왔던 저이자. 그렇지만 이 같은 흐름이 바뀌고 있다고 베터드웰링(betterdwelling.com)이 BMO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 전했다. 지난 30년간 캐나다 부동산 시장이 손쉽게 오름세를 보였지만 이 같은 흐름도 끝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마디로 앞으로 모기지를 갱신하는 고객들의 입장에서 볼 때, 대출고객들은 갱신할 때 지난 1980년대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맛 보게 된다는 것. 실제 뱅크 오브 캐나다도 최근 낮은 이자율로 모기지 대출을 받은 고객들에게 갱신할 경우의 ‘페이먼트 상승’에 대한 경고를 보내고 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최근 재정 시스템 리뷰(Financial System Review)를 내놓았다. 이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에서는 3명 가운데 2명이 홈오너들이다. 그리고 절반은 주택을 바로 소유할 수 있었고 나머지는 모기지 대출을 안고 있다. 대출 고객 가운데 70%의 다수는 고정 이자율을 사용하고 있다. 다행스러운 점은 갑작스러운 기준금리 인상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하지만 나머지 30%는 변동 이자율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캐나다 전체 가정의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팬데믹 기간 동안 자신의 소득과 비교할 때 비교적 큰 대출을 받은 고객들이 늘었다. 그것도 변동 이자율로 상환기간을 25년 이상을 사용했다. 그리고 우리 모델은 부채가 큰 가정들은 이 기간 동안 유동성 자산이 조금밖에 늘어나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실질적으로 모기지 이자율이 바로 재정적 위험요소라는 것이다. 캐나다 가정은 저이자율 때문에 자신들의 빚을 관리해나올 수 있었다. 그런데 나중에 모기지 갱신에서 높은 이자율을 받게 된다면 부채 서비스 비용이 곧장 오르게 되는 구조이다. 즉 최근 저이자로 대출을 받은 고객들이 큰 위험을 겪게 되는 이유라는 것이다.

덧붙여 뱅크 오브 캐나다는 오는 2025/2026년에 모기지 이자율이 4.5%로 오를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는 것. 이 같은 수준이 된다면 모기지 페이먼트 상승세가 24%~45%까지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캐나다 중앙은행에 따르면 주택 가격은 평균적으로 팬데믹이 시작한 이후 50% 정도 올랐다고 평가했다. 캐나다가 좀더 정산적 활동 수준과 이자율 상승세로 돌아서게 된다면 자연히 주택 시장도 둔화될 수 있다. 이곳 보고서는 “최근 데이터는 모든 시장에서 정점과 비교할 때 전년대비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시장은 최근에서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캐나다 금융 체계에서 가장 위협적인 요소는 모두 6개. 먼저 캐나다 가정마다 높은 부채 수준이다. 다음으로는 높은 주택 가격. 일부 기업들의 부채 의존성. 공급에 비해 시장 수요에 대한 잠재적 수요가 높다는 점. 법인화 되지 않은 사업체에 대한 사이버 공격 위험. 기후 관련 위험성에 노출된 자산들의 가격 책정 오류 등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930 / 25 Page
RSS
BC주, 온타리오 전국 신규 빌딩 퍼밋 상승 이끌어
K밴쿠버
등록일 12.05 조회 3076 추천 0

부동산 BC주, 온타리오 전국 신규 빌딩 퍼밋 상승 이끌어 비주거용 퍼밋 팬데믹 이전보다 무려 16.7%나 더 높아져 전국적으로 발행된 빌딩 퍼밋의 가…

캐나다 대부분 개스값 2달러 넘어서
Kvan
등록일 06.08 조회 1246 추천 0

뉴스 캐나다 대부분 개스값 2달러 넘어서 밴쿠버 리터당 2.359달러 기록…토론토 2.149불 “도대체, 올 여름 개스 값은 얼마까지 치솟을까?” 캐…

캐나다 소비자 지출 ‘반등’ 팬데믹 타격 큰 곳부터…
K밴쿠버
등록일 07.10 조회 4770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 각가정의 소비가 반등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각종 규제 정…

사회공공지원 주택에는 최신 이민자들도…
K밴쿠버
등록일 12.06 조회 3623 추천 0

뉴스 사회공공지원 주택에는 최신 이민자들도… 주요 거주자는 노인, 자녀 있는 저소득 가족 등 다수 전국에 자리잡은 공공지원 및 집장만 가능 주택(So…

미국의 ‘자이언트 스텝’ 파장… 주택시장 '도미노’ 우려
Kvan
등록일 06.19 조회 1220 추천 0

부동산 BC주택시장, 금리 인상에 ‘활동 둔화’…7월에 촉각 “모기지 이자율 200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 도달” 리스팅, 2019년 이후 첫 전년대…

써리랭리 스카이트레인, 연방정부 13억불 지원발표
K밴쿠버
등록일 07.13 조회 4240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 대중교통에 큰 변화와 역동성이 창출될 전망입…

캐나다 기업들 도전과제 "원가상승, 수요 불확실성"…
K밴쿠버
등록일 12.06 조회 4360 추천 0

뉴스 캐나다 기업들 도전과제 원가상승, 수요 불확실성… 기업 42.5% 원가상승을 ‘장벽’으로…식품업계는 무려 66% 소비자 수요 불확실성은 21%.…

“최근 저이자 모기지 고객 갱신 때 충격 커”
Kvan
등록일 06.19 조회 1337 추천 0

부동산 “최근 저이자 모기지 고객 갱신 때 충격 커” “뱅크 오브 캐나다 2025/2026년 모기지 이자 4.5% 전망” 캐나다 30%는 변동 이자율 …

캐나다, AZ 백신 가난한 국가에 기부 코로나 ‘진정’ 국면
K밴쿠버
등록일 07.13 조회 4313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관련 뉴스입니다. 캐나다의 코로나 19 사태가 진정국면에 접어들면서 정부가 잔…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K밴쿠버
등록일 12.07 조회 3924 추천 0

부동산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각 주 권역을 넘나드는 주민 이동이 강세…로컬 시장 영향” 전국 시장 95%에서 ‘셀러스 마켓’…밴쿠버 집값 5…

홈스테이징, “지하실은 별도인가요?” 카펫과 페인트만이…
K밴쿠버
등록일 07.13 조회 6640 추천 0

부동산 홈스테이징 관련 내용입니다.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던 L씨는 정년을 몇 년 앞두고 캐나다로 건너왔습니다.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도 있었지만,…

‘오미크론’에 미국 방문 더 까다로워져
K밴쿠버
등록일 12.07 조회 3517 추천 0

뉴스 ‘오미크론’에 미국 방문 더 까다로워져 탑승 24시간 전 코로나 19 음성 확인 검사받아야 요즘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주민들은 시시각각 바뀌는 각…

써리 도시성장 빨라, 다운타운 ‘역동적’
K밴쿠버
등록일 07.14 조회 4729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연방 정부의 스카이트레인 지원 약속이 나오면서 써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써리가 인구 측면에서 BC주 최대 …

캐나다인, ‘오미크론’ 등장에 ‘감염 가능성’ 커져 우려
K밴쿠버
등록일 12.08 조회 2327 추천 0

뉴스 캐나다인, ‘오미크론’ 등장에 ‘감염 가능성’ 커져 우려 55세 이상은 66%, 35~54세는 54%, 18~34세 51% 등으로 새로운 변이 …

2년 만에 돌아온 밴쿠버 최대 불꽃 축제
Kvan
등록일 07.19 조회 1122 추천 0

생활정보 2년 만에 돌아온 밴쿠버 최대 불꽃 축제 7월 23일과 27일, 30일 저녁 10시 잉글리시 베이에서 펜데믹으로 2년 동안 중단됐던 밴쿠버 최대…

버라드 스테이션, 업그레이드 공사 내년부터 2년간 중단
K밴쿠버
등록일 07.14 조회 4333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메트로 밴쿠버에서 가장 바쁜 스카이 트레인 역 가운데 …

BC주민, 팬데믹에 연말 선물 쇼핑도 변화
K밴쿠버
등록일 12.09 조회 2477 추천 0

뉴스 BC주민, 팬데믹에 연말 선물 쇼핑도 변화 5명 가운데 3명, 식당 덜 방문…커피숍 방문도 크게 감소 18~34세 56%, “온라인 쇼핑”…55…

KSBN, 성공적인 비즈니스와 부의 창출을 위한 세미나
Kvan
등록일 07.22 조회 888 추천 0

인터뷰 26일 오전 9시 30분 코퀴틀람 이그제큐티브 플라자 호텔서 한인사회 비즈니스 네트워크 단체인 ‘코리안 석세스 비즈니스 네트워크 소사이어티(KS…

물가반영 노인연금 인상, 2022년엔 10% 인상도
K밴쿠버
등록일 07.15 조회 4394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전국적 물가 상승에 소비자들 가계부 색깔이 변할 지경입니다. 더욱이 물…

일자리 ‘팬데믹 이전 수준’ 근접…실업률도 회복
K밴쿠버
등록일 12.09 조회 3029 추천 0

뉴스 일자리 ‘팬데믹 이전 수준’ 근접…실업률도 회복 전국 실업률 6%...노동시간 0.7% 늘어 팬데믹 이전으로 “5년내 정착 최신 이민자 고용률엔…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