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부동산

“젊은 층, 캐나다 도시에서 더 이상 살 수 없어…”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임금, 풀타임 일자리, 남녀 임금 차이, 기술 개발 등 ‘장벽’
도시 거주 젊은 층 월 750달러 적자… "풀타임도 힘들어”



요즘 정부의 각종 예산 발표 때마다 빠지지 않는 게 바로 ‘생애 첫 주택 구매자’를 정책이다. 연방 정부는 물론, 주 정부 수준에서도 ‘단골 메뉴’. 선거에서는 더욱 빠지지 않는다. 이 같은 현상을 거꾸로 뒤집어 보면, 그만큼 아직 집이 없는 젊은 층의 ‘집장만’이 쉽지 않다는 의미다. 집을 소유하고 있는 홈오너의 경우에는 집값 상승세를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는 주택 에쿼티를 이용한 제2, 제3의 주택 장만 계획을 짤 수 있다는 점과 크게 차이가 있다.



그런데 최근 RBC의 한 보고서에는 이 같은 우려가 그대로 반영돼 있다. 오죽하면 타이틀이 “젊은 사람들이 더 이상 캐나다의 크고 작은 도시에서는 살 수 없을 것이다”는 우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여기에는 유스풀 시티의 실질 집장만 지수(Youthful Cities Real Affordability Index)가 사용됐다. 결과적으로 젊은 층들은 도시에서 거주하기에는 월평균 750달러 적자를 보고 있다는 것이다. 조사 대상은 전국 27개 도시들이다.



이 보고서는 “팬데믹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그룹이자 서비스 산업계의 충격에도 영향을 받은 계층이 바로 캐나다의 15~29세 젊은 층이라는 점이다. 덧붙여 크고 작은 도시에서는 더 이상 감당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월평균 750달러 적자가 결코 작지 않은 탓이다.

지역 별로 볼 때, 캐나다의 동부 지역은 전반적으로 가장 거주하기 힘든 곳(Least Affordable)로 평가됐다. 가장 큰 요인은 동해안 지역의 임금 하락이다. 반면 앨버타와 퀘벡에서는 젊은 층들이 돈을 저축할 수 있도록 좀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 예를 들어 레스브리지(Lethbridge)는 월 적자폭이 32.92달러로 가장 살 수 있는(Most Affordable) 도시로 선정됐다. 하지만 이곳은 남성과 여성의 격차가 20%나 날 정도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레스브리지의 방 1개짜리 렌트비도 월 1000달러 미만을 기록하면서 거주 가능성을 더 높이고 있다. 토론토의 경우에는 월 평균이 거의 2000달러로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유스풀 시티의 클레어 패터슨 씨는 “집장만 여건이 생존을 위한 기본 필수 요건의 유일한 사안은 아니다”면서 “집장만 여건에는 개인 삶의 활력에 기여할 수 있는 것들에 돈을 지출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해야 한다. 오늘날 캐나다의 도시들에게는 기회가 단순히 모든 젊은 층들에게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닌 듯하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집장만 여건을 저해하는 주요 장벽으로는 임금, 풀타임 일자리, 남녀 임금 격차, 기술 개발 등이 언급됐다. 먼저 임금의 경우에는 캐나다 도시에서는 생활비를 감당할 수 있는 속도로 증가하지 않고 있다. 최저임금은 살 수 있는 소득이 아니다.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2달러~10달러 정도나 차이가 난다.

풀타임 일자리는 젊은 층이 도시에 살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 하지만 보장된 것은 아니다. 캐나다 도시 3곳 가운데 2곳은 여전히 젊은 층이 풀타임 일자리를 갖고 있더라도 살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4 Page
RSS
물가 상승률에 경보, 10년래 최다인 3.7%올라
K밴쿠버
등록일 08.21 조회 2154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물가 상승률에 경보가 울리고 있습니다. 일부 특정 품목에만 치우진 것이 …

연방 자유당 야심찬 새 주택계획 선거공약 발표
K밴쿠버
등록일 08.31 조회 2409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자유당 당수인 저스틴 트뤼도총리가 24일 해밀턴에서 열린 연방선거 유세에서 주택 추가 건축, 바이어 세금혜택제공, 주택 구매자…

앨버타, 백신 접종에 100달러 인센티브 내걸어
K밴쿠버
등록일 09.09 조회 2973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BC주 인근 앨버타의 코로나 19 팬데믹 사태가 하루 1000명을 넘어섰습니다. 인구 규모에서는 온타리오는 물론 B…

연방 선거 주요 정당별 ‘주택 시장’ 공약 분석
K밴쿠버
등록일 09.17 조회 3150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연방 선거가 한 주도 채 남지 않은 상태에서 각종 공약도 빠르게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각 정당의 부동산 시장에 …

홈스테이징 = 홈스테이?
K밴쿠버
등록일 09.26 조회 2448 추천 0

부동산 스테이징이라는 용어가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낯섭니다. 하는 일이 ‘홈스테이징’ 이라고 …

캐나다, 팬데믹이 신생 아기 출생률 ‘급락’
K밴쿠버
등록일 10.06 조회 2425 추천 0

뉴스 캐나다 통계뉴스입니다. 코로나 19 팬데믹은 사회 다방면에 큰 파장을 드리우고 있습니다. …

미국, 11월 8일부터 백신 접종자에게 국경 개방
K밴쿠버
등록일 10.16 조회 2081 추천 0

뉴스 캐나다 국경개방 관련 뉴스입니다. 미국은 11월 8일부터 항공, 육로 또는 여객선을 통해…

최신 캐나다 모기지 트렌드
K밴쿠버
등록일 10.26 조회 3273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 중에도 캐나다 주택시장은 오히려 뜨거운 열기를 보였습니다. 소비자들 부채도 …

캐나다 식품 가격, 인플레이션 끌어올려
K밴쿠버
등록일 11.14 조회 2776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요즘 인플레이션은 유독 캐나다에서만 발견되는 현상이 아닙니다. 글로벌 트렌드가 되…

BC주, 홍수 피난 가정에 2000달러 등 제공
K밴쿠버
등록일 11.24 조회 2408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 정부가 최근 폭우와 홍수 피해를 당한 주민들 지원에 나서기로 했습니…

캐나다 입헌군주제 언제까지”…반대 커져
K밴쿠버
등록일 12.05 조회 2355 추천 0

뉴스 “캐나다 입헌군주제 언제까지”…반대 커져 전국 반대 의견 2016년 38%, 2020년 45%, 올해 52%로 퀘벡은 무려 72%가 반대…남성들…

캐나다 중앙은행 인플레이션 2% 목표 의미는…
K밴쿠버
등록일 12.20 조회 2195 추천 0

뉴스 캐나다 중앙은행 인플레이션 2% 목표 의미는… 향후 5년간…전체 물가지수 기준 1~3% 융통성 발휘 일자리 안정 관련…”낮은 이자율 좀더 오래 …

캐나다, 환자 급증…전국 6000명 수준까지
K밴쿠버
등록일 01.12 조회 3554 추천 0

뉴스 캐나다, 환자 급증…전국 6000명 수준까지 BC주 3명중 1명 ‘부스터 샷’ 접종…92% 최소 1차 BC주를 포함한 전국의 환자들이 가파른 속…

코로나 19 속 평균 수명 ‘반 년’ 이상 줄어
K밴쿠버
등록일 01.27 조회 2877 추천 0

뉴스 코로나 19 속 평균 수명 ‘반 년’ 이상 줄어 평균 81.7세…남성 0.7년 줄어, 여성 0.4년 감소 최근 BC주 정부는 ‘백신카드’ 제도를…

BC ‘홍수 피해 농가’에 2억 2800만불 지원
K밴쿠버
등록일 02.10 조회 2500 추천 0

뉴스 BC ‘홍수 피해 농가’에 2억 2800만불 지원 농장 1100곳, 1만 5천여 헥타르, 250만 마리 피해 연방 정부, 주 정부 연합…청소와 …

지속적 물가상승…식생활 질적 저하 우려
K밴쿠버
등록일 02.25 조회 1338 추천 0

뉴스 지속적 물가상승…식생활 질적 저하 우려 캐나다인 절반, 저렴한 브랜드 교체…35% 육류 줄여 지속된 소비자 물가 인상이 쇼핑 패턴마저 바꿔나가고…

캐나다 전국 신규 퍼밋 줄어…주택 공급 “어쩌나”
K밴쿠버
등록일 03.14 조회 1267 추천 0

뉴스 전국 신규 퍼밋 줄어…주택 공급 “어쩌나” 다세대 주택 18.5% 감소해…BC, 온타리오 하락 커 전국 각지에서 발행된 빌딩 퍼밋(Buildin…

캐나다 올해 봄 주택시장 “홈 바이어들 기다렸다는 듯…”
K밴쿠버
등록일 03.27 조회 1168 추천 0

뉴스 캐나다 올해 봄 주택시장 “홈 바이어들 기다렸다는 듯…” 신규 리스팅 전월대비 두 자릿수 증가…23.7%로 상승 “잠재적 셀러 계속 진입할지 여…

해외여행자들은 캐나다로 귀국 후 2주간 마스크 착용해야
Kvan
등록일 04.16 조회 1285 추천 0

뉴스 COVID-19의 예측불가한 변이로 인하여 캐나다의 여행규칙들은 끊임없는 변화를 겪어야만 하였다. 다수의 지방정부에서는 실내 마스크 착용 규칙을…

"에어캐나다, 항공편 취소 피해 나몰라라"
Kvan
등록일 08.10 조회 1107 추천 0

뉴스 소비자보호단체 “안전을 이유로 배상 책임 회피” A씨는 지난 6월 옐로나이프를 출발해 캘거리 도착 예정인 항공권을 에어캐나다로부터 구매했다. 그…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