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부동산

“젊은 층, 캐나다 도시에서 더 이상 살 수 없어…”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임금, 풀타임 일자리, 남녀 임금 차이, 기술 개발 등 ‘장벽’
도시 거주 젊은 층 월 750달러 적자… "풀타임도 힘들어”



요즘 정부의 각종 예산 발표 때마다 빠지지 않는 게 바로 ‘생애 첫 주택 구매자’를 정책이다. 연방 정부는 물론, 주 정부 수준에서도 ‘단골 메뉴’. 선거에서는 더욱 빠지지 않는다. 이 같은 현상을 거꾸로 뒤집어 보면, 그만큼 아직 집이 없는 젊은 층의 ‘집장만’이 쉽지 않다는 의미다. 집을 소유하고 있는 홈오너의 경우에는 집값 상승세를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는 주택 에쿼티를 이용한 제2, 제3의 주택 장만 계획을 짤 수 있다는 점과 크게 차이가 있다.



그런데 최근 RBC의 한 보고서에는 이 같은 우려가 그대로 반영돼 있다. 오죽하면 타이틀이 “젊은 사람들이 더 이상 캐나다의 크고 작은 도시에서는 살 수 없을 것이다”는 우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여기에는 유스풀 시티의 실질 집장만 지수(Youthful Cities Real Affordability Index)가 사용됐다. 결과적으로 젊은 층들은 도시에서 거주하기에는 월평균 750달러 적자를 보고 있다는 것이다. 조사 대상은 전국 27개 도시들이다.



이 보고서는 “팬데믹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그룹이자 서비스 산업계의 충격에도 영향을 받은 계층이 바로 캐나다의 15~29세 젊은 층이라는 점이다. 덧붙여 크고 작은 도시에서는 더 이상 감당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월평균 750달러 적자가 결코 작지 않은 탓이다.

지역 별로 볼 때, 캐나다의 동부 지역은 전반적으로 가장 거주하기 힘든 곳(Least Affordable)로 평가됐다. 가장 큰 요인은 동해안 지역의 임금 하락이다. 반면 앨버타와 퀘벡에서는 젊은 층들이 돈을 저축할 수 있도록 좀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 예를 들어 레스브리지(Lethbridge)는 월 적자폭이 32.92달러로 가장 살 수 있는(Most Affordable) 도시로 선정됐다. 하지만 이곳은 남성과 여성의 격차가 20%나 날 정도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레스브리지의 방 1개짜리 렌트비도 월 1000달러 미만을 기록하면서 거주 가능성을 더 높이고 있다. 토론토의 경우에는 월 평균이 거의 2000달러로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유스풀 시티의 클레어 패터슨 씨는 “집장만 여건이 생존을 위한 기본 필수 요건의 유일한 사안은 아니다”면서 “집장만 여건에는 개인 삶의 활력에 기여할 수 있는 것들에 돈을 지출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해야 한다. 오늘날 캐나다의 도시들에게는 기회가 단순히 모든 젊은 층들에게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닌 듯하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집장만 여건을 저해하는 주요 장벽으로는 임금, 풀타임 일자리, 남녀 임금 격차, 기술 개발 등이 언급됐다. 먼저 임금의 경우에는 캐나다 도시에서는 생활비를 감당할 수 있는 속도로 증가하지 않고 있다. 최저임금은 살 수 있는 소득이 아니다.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2달러~10달러 정도나 차이가 난다.

풀타임 일자리는 젊은 층이 도시에 살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 하지만 보장된 것은 아니다. 캐나다 도시 3곳 가운데 2곳은 여전히 젊은 층이 풀타임 일자리를 갖고 있더라도 살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2 Page
RSS
BC주 ‘백 투 마스크’로 복귀
K밴쿠버
등록일 08.26 조회 2311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관련뉴스입니다. “실내 공간에서는 다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최근 B…

밀레니엄 세대가 주택 시장을 이끌어...
K밴쿠버
등록일 09.06 조회 2886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하면서 앞으로 BC주에서는 빠르게 일자리가 늘어나게…

연방 선거 ‘사전투표’부터 뜨거워…9월 20일
K밴쿠버
등록일 09.15 조회 2741 추천 0

뉴스 캐나다 연방 총선 관련 뉴스입니다. 캐나다 총선 날짜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미 지난 9월 10일부터 사전투표가 시작됐습니다. 팬데믹 속 투표여…

‘빌딩 코드’, 저소득층 주택 공급 감소에…
K밴쿠버
등록일 09.23 조회 3850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건물을 더욱 좋게 만들기 위해 고안된 ‘주택 코드’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빌딩 코드가 한편으로는 저소득층을 위한 …

향후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예측하려면…
K밴쿠버
등록일 10.02 조회 2669 추천 0

뉴스 광역 밴쿠버 부동산뉴스입니다. 최근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은 전국 다른 곳과는 다른 움직임을 보입니…

광역토론토 9월 주택가격 18.3% 급등…신규 매물 34% 급감 탓
K밴쿠버
등록일 10.12 조회 2649 추천 0

뉴스 토론토 부동산뉴스입니다. 광역토론토(GTA)의 지난달 평균 주택가격이 공급 부족…

“집값, 내년 초 아닌 2022년 하반기에 평평한 흐름”
K밴쿠버
등록일 10.22 조회 3907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올해 가을 전국 주택시장도 ‘높은 음’으로 시작했습니다.” 다만 …

캐나다 주급 상승세, 일자리 증가폭보다 더 빨라
K밴쿠버
등록일 11.11 조회 3124 추천 0

뉴스 BC주 경제뉴스입니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도시, 밴쿠버. 이곳에 살려면 어느 정도 소득이 필요할까요? 해…

홈바이어들, 기존 인벤토리 더 깊게 파고들어
K밴쿠버
등록일 11.19 조회 3901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의 인벤토리 부족은 전국적인 현상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한 …

홍미숙 스테이징 “샐리의 요술 지팡이”
K밴쿠버
등록일 11.30 조회 3528 추천 0

부동산 주택 홈스테이징 관련 내용입니다. 어렸을 적 즐겨보던 TV 만화영화 중에 ‘요술공주 샐리’…

캐나다 이민자 소득은… 경제이민자, 정착 1년후 소득 캐나다 평균 12% 이상
K밴쿠버
등록일 12.13 조회 2051 추천 0

뉴스 캐나다 이민자 소득은… 경제이민자, 정착 1년후 소득 캐나다 평균 12% 이상 가족 스폰 받은 이민자 “큰 변화 없어”…난민은 낮아 캐나다에는 …

캐나다 부동산, GDP의 10% 이상 기여해
K밴쿠버
등록일 01.03 조회 2898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 GDP의 10% 이상 기여해 부동산, 렌트 및 리스 성장률 20%로 GDP 상승보다 빨라 “글로벌 부동산 버블 시기에 미국보다 …

신규 부동산 물량의 다수 투자자들이 사들여
K밴쿠버
등록일 01.23 조회 2332 추천 0

뉴스 신규 부동산 물량의 다수 투자자들이 사들여 베터 드웰링, 토론토 39%, 밴쿠버 44%...ON 3채중 1채 최근 시장은 ‘인벤토리 부족’에 허…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요 동력은 어디…
K밴쿠버
등록일 02.04 조회 2679 추천 0

뉴스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요 동력은 어디… 뜨거운 주택시장에 의한 주거비, 자동차, 원가 비용 요즘 캐나다 인플레이션이 서민 가정에 큰 부담을 주고 …

BC주민, ‘이민’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낮아
K밴쿠버
등록일 02.20 조회 1406 추천 0

뉴스 BC주민, ‘이민’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낮아 전국 평균 54%...BC주는 51% 불과, 온타리오 58%로 최대 최근 밴쿠버를 포함, 전국적으…

GDP 증가 속…가처분 소득, 저축률 되레 ‘후퇴’
K밴쿠버
등록일 03.06 조회 1283 추천 0

뉴스 GDP 증가 속…가처분 소득, 저축률 되레 ‘후퇴’ 캐나다 신규 주택 건축, 소비자 씀씀이 GDP 성장 큰 기여 전국적으로 실질적 경제 성장률이…

한국 무비자 방문 ‘재개’…관광업계 활기 기대
K밴쿠버
등록일 03.24 조회 1250 추천 0

뉴스 한국 무비자 방문 ‘재개’…관광업계 활기 기대 한국대사관, 4월 1일부터 시행…K-ETA 허가제 신청요 캐나다 연방 정부, 4월 1일 방문자부터…

캐나다 다수 “팬데믹 지나갔다”면서도…
K밴쿠버
등록일 04.10 조회 1273 추천 0

뉴스 캐나다 다수 “팬데믹 지나갔다”면서도… 절반 정도는 “코로나 19 관련 규제 해제에 우려” 표명 정부의 각종 규제 해제는 주민들에게 팬데믹이 거…

“최근 저이자 모기지 고객 갱신 때 충격 커”
Kvan
등록일 06.19 조회 1340 추천 0

부동산 “최근 저이자 모기지 고객 갱신 때 충격 커” “뱅크 오브 캐나다 2025/2026년 모기지 이자 4.5% 전망” 캐나다 30%는 변동 이자율 …

캐나다 워홀, 4천명에서 1만2000명으로
Kvan
등록일 05.19 조회 458 추천 0

유학이민 신청 연령도 30세에서 35세로 확대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7일 윤석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청년 교류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