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캐나다 주택장만 여건 “우려되는 수준으로…”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주택장만 여건 “우려되는 수준으로…”

RBC이코노믹스, “31년래 최악의 수준까지”…49.4%
팬데믹 2년 동안 전국 집값 33.2% 급등…밴쿠버 28.4%
 “올해 캐나다 중앙은행 금리 1.5%p 정도 인상 전망”

전국적으로 캐나다 집장만 여건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분기 별로 발표되고 있는 RBC이코노믹스의 최신 주택 어포더빌리티(Housing Affordability) 지수에서도 그대로 반영됐다.

이 보고서는 “주택 장만 여건이 우려되는 수준으로 강하하고 있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몇 가지 특징이 분석됐다. 먼저 시장의 열기가 주택 소유 비용을 극대화시키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RBC의 종합 어포더빌리티 지수는 전국적으로 31년래 가장 최악의 수준을 2021년 4분기에 기록했다.

즉 이전보다 1.6%p가 늘어난 49.4%이다. 지난 한 해 동안 집장만 여건이 악화, 기록적인 7.2%p 수준까지 도달했다.

지난 1990년 단 한번 이 같은 수준을 보였었다.

다음으로 밴쿠버와 토론토, 빅토리아의 시장이 매우 빠듯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는 것.

치솟는 가격이 위 주요 시장의 집장만 여건을 으스러뜨리고 있다.

물론 여기에는 온타리오의 남부 지역도 포함된다.

어포더빌리티가 악화되는 흐름은 실제 RBC의 조사를 볼 때 지난 12개월 동안 모든 시장에서 폭넓게 나타나고 있다.

다만 캐나다 중부 대평원과 동부 해안 지역에서는 시장이 이만큼 긴장돼 있지 않다는 점은 다행이다.

주택 소유 비용은 이들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다.

핼리팩스는 그렇지만 점점 예외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만큼 빠듯한 시장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는 평가다.

마지막으로 향후 캐나다 주택 장만 여건 전망이 다소 암울한(Grim) 것으로 우려된다.

올해 초반부터 집값 상승세가 빠르게 펼쳐지면서 이미 수많은 홈바이어들에게는 접근 가능한 기준이 높아진 상태이다.

그리고 뱅크 오브 캐나다는 현재 이자율을 올릴 생각을 하고 있다.

RBC이코노믹스 전문가들은 전반적으로 올해 1.5%p 정도 금리가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주택 소유 비용이 좀더 오를 수 있다는 것. 역대 최악의 집장만 여건 수준이 계속되면서 바이어들을 좀더 위태로운 상황으로 내몰고 있다.

수치로 보면, 종합 하우징 어포더빌리티(Housing Affordability) 지수는 작년 4분기를 기준, 49.7%를 기록하고 있다.

즉 소득의 거의 절반을 지출해야 한다는 의미다.

집값이 비싼, 밴쿠버 등 특정 대도시만이 아닌 전국적인 평균이라는 측면에서 더욱 우려되는 것.

물론, 주요 도시를 보면, 밴쿠버가 무려 73.9%, 빅토리아가 54.8%, 토론토가 68.6%로 이미 소득의 절반 이상이 집장만에 필요한 상황이다.

값비싼 단독주택만이 아니다. 콘도와 타운홈, 단독주택을 모두 아우르는 전반적 주택 구매에 필요한 비용 수준이다.

단독주택을 보면, 캐나다 평균적으로 54.6%를 기록하고 있다.

다수 지역이 절반 이상을 넘어섰다. 빅토리아가 61.9%를 밴쿠버는 99.7%를, 토론토는 83.1%로 나타났다.

밴쿠버의 99.7%는 단독주택 장만을 위해선 로컬 주민들의 거의 모든 소득을 주택에 쏟아 부어야만 장만 및 유지가 가능하다는 의미가 된다.

콘도 시장은 그나마 조금 나은 편이다. 앞으로도 주민들이 콘도 시장으로 더욱 쏠릴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캐나다 전반적으로 집장만 지수는 35.1%이다. 빅토리아가 33%, 밴쿠버가 41.4%, 토론토가 39.7%로 비교적 높은 편이다.

그렇지만 캘거리는 18.7%, 에드먼턴이 15.7%, 새스카툰이 15.8%, 리자이나 18.4%, 위니펙 17.4% 등으로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이 보고서는 특히 지난 2019년 4분기와 2021년 4분기의 주택 가격 변화도 분석했다.

거의 팬데믹이 시작하기 직전과 비교이다. 캐나다 전국적으로는 집값이 33.2%나 올랐다.

가장 가격이 많이 오른 지역은 핼리팩스로 무려 44.3%나 된다.

다음으로는 오타와 40.4%, 토론토 32.9%, 몬트리올 32.6%, 빅토리아 29.8%, 세인트 존 18.5% 등의 순이다.

이밖에 라자이나 9.1%, 캘거리 7.8%, 에드먼턴 6.8%, 새스카툰 5.3% 등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66 / 27 Page
RSS
“주택장만 여건 개선하려면 주택공급 늘려야”
K밴쿠버
등록일 07.02 조회 3746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집장만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택 공급을 늘려…

써리랭리 스카이트레인, 연방정부 13억불 지원발표
K밴쿠버
등록일 07.13 조회 4248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 대중교통에 큰 변화와 역동성이 창출될 전망입…

장기 요양시설 가족 방문, 예약없이도 가능
K밴쿠버
등록일 07.21 조회 4054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관련뉴스입니다. 드디어 장기 요양 시설에 대한 제한이 풀리게 됐습니다. …

BC 마스크 착용 다시 의무화되나? ’전전긍긍’
K밴쿠버
등록일 07.30 조회 2359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관련뉴스입니다. BC주 코로나 확산세가 다시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또 다시 주…

BC주 앞으로 2년 집값도, 이자율도 오를 것
K밴쿠버
등록일 08.07 조회 2548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주택 가격 상승은 홈오너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현…

요즘 BC 주택시장 리스팅 공급의 함수는?
K밴쿠버
등록일 08.16 조회 2094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BC주 부동산시장이 여전히 완만화 과정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목할 부분은 인벤토리 부족에 따라 주택 가격은 오…

BC 주, 코로나 19 중환자 급등 이유
K밴쿠버
등록일 08.24 조회 2335 추천 0

뉴스 BC주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백신 미 접종자를 중심으로 병원 입원자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게다가 의료인력이 집중되는 중환자실은 급증, 우…

트뤼도 정부 지지율 하락세…보수당과 ‘각축’
K밴쿠버
등록일 09.02 조회 2937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최근 연방 선거 양상이 초반 전망과 조금 다르게 흐르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선거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는 말…

렌트비 2022년에 최대 1.5% 인상 가능
K밴쿠버
등록일 09.11 조회 2847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 기간중 시행됐던 ‘렌트비 동결이 드디어 해제될 전망입니다. 주 정부는 최근 2022년 렌트비 인상 가이드라인을 발…

BC주 경제 회복 “빠른 회복세 보여”
K밴쿠버
등록일 09.18 조회 2816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오래간만에 듣는 팬데믹속에 한가지 희소식입니다. 주 경제 회복이 예상보…

부동산용어 Partition - Physical deterioration
K밴쿠버
등록일 09.27 조회 2932 추천 0

용어설명 |partition action 재산의 공동소유…

광역토론토 임대시장 본격 회복…평균 월세 5개월 …
K밴쿠버
등록일 10.06 조회 2951 추천 0

뉴스 토론토 임대시장 분석입니다. 광역토론토(GTA) 임대시장이 본격적으로 회복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지난해 초부터 1년 이상 하락했던 평…

기후변화 고위험 지역 주택, 자신도 모르게 구입 경고음
K밴쿠버
등록일 10.13 조회 2579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캐나다인들이 홍수, 산불 및 기타 기후변화의 고위험 지역 주택 및 기…

연방 정부 1인당 지출, 팬데믹 전보다 34% 증가
K밴쿠버
등록일 10.23 조회 3385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물론, 전세계…

캐나다에서도 부모 도움 받아 집장만하는 자녀비중 늘어
K밴쿠버
등록일 11.09 조회 2698 추천 0

뉴스 캐나다 집장만 관련 통계뉴스입니다. 부모의 책임 한계는 어디까지일까요? 최근 한 조사에 따…

BC주, 병원 학교 등 주변 20미터 ‘접근지대’ 선포
K밴쿠버
등록일 11.18 조회 2425 추천 0

뉴스 캐나다 BC주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팬데믹 기간중 ‘백신반대’ 집회가 병원과 학교 등의…

BC주, 전국 첫 ‘유급병가 휴가 5일’ 법제화
K밴쿠버
등록일 11.27 조회 3332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에서도 노동자들의 유급 병가 휴가가 법적으로 보장될 전망입니다. 노조에 가입된 노동자들이 연중 특정 일자를 유급휴가…

BC주, 최악의 경우 12월말 하루 2000명도
K밴쿠버
등록일 12.16 조회 2291 추천 0

뉴스 BC주, 최악의 경우 12월말 하루 2000명도 ‘오미크론’ 이미 커뮤니티 확산…여행관련은 절반뿐 신종 바이러스 ‘오미크론’ 등장에 주 정부가 …

캐나다 대도시보다 전원지역 주민 큰 증가
K밴쿠버
등록일 01.22 조회 1992 추천 0

뉴스 캐나다 대도시보다 전원지역 주민 큰 증가 BC주와 밴쿠버14세 이하가 65세 이상보다 적어 전국적으로 인구 성장률은 둔해졌지만 꾸준하게 늘었다.…

캐나다 주택 시장 “더욱 닮은 꼴로 변해…”
K밴쿠버
등록일 02.26 조회 1398 추천 0

뉴스 캐나다 주택 시장 “더욱 닮은 꼴로 변해…” RBC이코노믹스, “전국적으로 셀러가 시장 이끌어” 요즘 캐나다 부동산 시장은 많은 측면에서 공통점…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