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캐나다 가정마다 팬데믹에 “순자산 증가 동시에 ’채무 허덕’ 아이러니 창출”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가정마다 팬데믹에
“순자산 증가 동시에 ’채무 허덕’ 아이러니 창출”

자산 증가 57%는 부동산 가치…올 1분기중 주식쇼크로 하락
소득대비 부채 186%...”부채환급 저조하지만 늘어날 전망…”

전세계적으로 아직 팬데믹의 영향력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렇지만 현재에도 앞으로도 경제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팬데믹 효과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캐나다에서는 경제적으로 주민들이 더욱 부자가 됐지만 부채에 발목이 묶이는 현상이 생겼다고 RBC이코노믹스가 최근 분석을 내놓았다.

이 보고서는 “캐나다인의 순수 자산은 2021년에 크게 치솟았지만 부채에 허덕이는 현상도 기록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실제 수치로 볼 때 캐나다 가정의 순자산(Net Wealth)는 크게 뛰어 15조 9000억 달러에 이른다.

2021년 4분기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지난 2019년도 4분기를 기준으로 할 때 무려 3조 6000억 달러가 더 늘어난 수준이다.

바로 팬데믹 직전까지 분기 실적. 물론 지난 4분기의 시장 자산 가치는 5%가 뛰었더라도 올해 1분기에는 주식시장 쇼크로 좀더 하락했을 수 있다.

하지만 캐나다 가정의 순 자산 상승분의 절반 이상인 57%는 지난 2년간 발생했다.

게다가 이는 또한 부동산 가치 상승에서 비롯됐다.

즉 부동산 가치 상승으로 캐나다인의 순자산 가치가 크게 늘어난 것.

게다가 이곳 전문가들은 이 같은 모멘텀(Momentum)이 올해 1분기에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평가했다.

여전히 주택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이 보고서는 “홈 에쿼티(Home Equity) 증가가 캐나다 가정의 부를 기록적 수준으로 끌어 올렸다”고 분석했다.

재산형성의 다른 한 축을 차지하는 부분도 있다. 바로 가계 부채다.

기록적 부채 상승요인은 주택 모기지 대출에서 비롯됐다.

모기지 부채는 지난해 4분기를 기준으로 할 때 440억 달러가 추가됐다.

결과적으로 팬데믹 이전 수준과 비교한다면 3000억 달러가 더 늘어난 셈이다.

결과적으로 정부의 팬데믹 기간중 지원이 점점 줄어들면서 각 가정마다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면서 소득 대비 부채 수준도 기록적 수준으로 끌어 올렸다.

즉 지난 4분기를 기준으로 할 때 무려 186.2%나 된다.

부채 부담이 늘어나면 빚을 갚아나가는 데도 어려움을 겪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 보고서는 “현재 부채 환급이 여전히 저조한 수준이지만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구체적으로 팬데믹 기간중 만들어진 부채는 이자율이 매우 낮은 수준에 형성됐다.

즉 높은 부채에 연동된 채무 환급이 실제 가처분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일반적인 상황보다는 조금 더 적다는 평가.

소득 대비 채무환급 비율을 보면 4분기에 조금 늘어났다. 하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보다 낮은 13.8%를 보인다는 것.

캐나다 가계 부채 73% 이상은 현재 모기지에 묶여 있는 상태이다.

이중 다수는 고정이자율이기 때문에 시장의 이자율이 당분간 오르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다만 앞으로 이자율이 순차적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부채 서비스 비용이 늘어날 것이다.

즉 모기지 고객들이 대출 갱신을 할 때 큰 부담을 안게 된다.

이 때부터는 본격적으로 가처분 소득에서 차지하는 채무환급액의 비중이 늘어나게 된다.

이 보고서는 “모든 점을 고려할 때 우리는 캐나다 가정의 부채 서비스 비율이 2023년에는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망했다.

다행스러운 점은 캐나다 가정의 저축률이 높아서 시장의 이자율 상승이 가져오는 충격파를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다는 것.

올해 초 캐나다 중앙은행은 실제로 2018년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게다가 오는 4월을 비롯, 향후 이자율이 추가 인상될 전망이다.

다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큰 변수가 되고 있다.

이 가운데 모든 노동시장의 지표들은 강한 경제 회복세를 보이는 중.

RBC 이코노믹스는 “캐나다 가정은 팬데믹 기간중 정부의 지원이 계속되면서 상당한 저축을 쌓아 올렸다.

이들 저축은 이자율이 오르고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으로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벌어지는 상태에서도 캐나다 가정의 구매력을 든든하게 뒷받침해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이 보고서는 “우리는 그동안 억압된 수요와 향후 소득 상승으로 전반적 캐나다인 지출이 여행이나 숙박 부문 구매에서 굳건하게 유지될 것으로 본다.

하지만 팬데믹의 경제적 충격은 일부 계층에게는 큰 충격을 줬다”고 평가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33 Page
RSS
캐나다 올내년 주택시장 ‘롤러 코스터’ 행진…’등락’
K밴쿠버
등록일 09.26 조회 2868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팬데믹 속에서도 들끓었던 거래 활동은 어느 정도 진정됐습니다. 이…

캐나다 주택시장 과열, 토론토•해밀턴•오터와 등 고위험 평가
K밴쿠버
등록일 10.06 조회 2941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면서 취약성 등급이 전분기 …

BC주, 빠르면 11월중 5세 에서 11세 어린이 백신을
K밴쿠버
등록일 10.16 조회 2299 추천 0

뉴스 캐나다 BC주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정부가 백신 접종을 더욱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캐나다 내년에도 “물가 상승 계속될 수도…”
K밴쿠버
등록일 10.25 조회 2782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가뜩이나 물가 상승에 고심하는 서민 가정의 부담이 커질 전망입니다.…

캐나다 전국 6년치 공급 물량 ‘빈 집’…세계 5위
K밴쿠버
등록일 11.13 조회 2429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BC주민, 특히 밴쿠버 거주민이라면 ‘캐나다의 빈 집’ 현상에 대해…

폭우 후폭풍…로히드 하이웨이 7 도로체증 커
K밴쿠버
등록일 11.24 조회 3762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에 여행제한과 연료배급제가 실시되고 있습니다. 팬데믹이 아니라 최근 호우로 인한 피해가 컸기 때문입니다. 주요 도로…

BC주민, “연말 연휴에 여행 자제하겠다”
K밴쿠버
등록일 12.04 조회 1778 추천 0

뉴스 BC주민, “연말 연휴에 여행 자제하겠다” 주민 18~34세 56% “여행”, 55세 이상 34% 불과해 캐나다인 다수는 ‘연휴’라고 할 때 ‘…

“2021년 올해 집값 뜨거운 마무리 전망…”
K밴쿠버
등록일 12.19 조회 2456 추천 0

뉴스 “2021년 올해 집값 뜨거운 마무리 전망…” 전국적으로 신규 리스팅 줄어…대도시 집값 ‘동반 상승’ 캐나다는 아직 팬데믹이 한장이지만 전국적으…

캐나다인 긍정 평가 국가는 UK, 독일, 이탈리아 순
K밴쿠버
등록일 01.12 조회 2729 추천 0

뉴스 캐나다인 긍정 평가 국가는 UK, 독일, 이탈리아 순 한국 55%, 미국 50%, 멕시코 45%...중국, 이란 북한은 낮아 세월이 흐를수록 호…

BC 입원환자 1000명…액티브 케이스 ‘감소’
K밴쿠버
등록일 01.26 조회 2192 추천 0

뉴스 BC 입원환자 1000명…액티브 케이스 ‘감소’ 글로벌 팬데믹이 ‘엔데믹’으로 변한다지만 여전히 BC주 환자 수는 상승곡선을 보이고 있다. 이 …

2021년 캐나다 주택 시장 하이라이트
Cindy
등록일 02.09 조회 2421 추천 0

부동산 공급 부족으로 캐나다 주택 시장은 2021년 기록적인 주택 판매와 가격 상승을 보였습니다. CREA의 2021 Year in Review 주택 …

캐나다 물가 5% 진입 ‘고공행진’…주택, 식품 ‘타격’
K밴쿠버
등록일 02.23 조회 1376 추천 0

뉴스 캐나다 물가 5% 진입 ‘고공행진’…주택, 식품 ‘타격’ 에너지 제외해도 전년비 무려 4.3% 증가…1999년 이후 최대 주거비용은 1990년대…

성장률 주도 BC주, 본사 유치 및 직원 수 ‘밀려’
K밴쿠버
등록일 03.13 조회 1401 추천 0

뉴스 성장률 주도 BC주, 본사 유치 및 직원 수 ‘밀려’ 캐나다 전국 본사 근무 직원 2020년 팬데믹중 6% 감소 캐나다 경제를 논할 때 BC주는…

캐나다 주택시장 다시 균형 잡아가는 징조”
K밴쿠버
등록일 03.26 조회 1249 추천 0

뉴스 “캐나다 주택시장 다시 균형 잡아가는 징조” 집값 및 이자율 상승이 요인…리스팅은 BC, 앨버타 등지 급증 전국 주택 시장이 다시 균형을 찾아가…

연방 예산이 공급망을 고칠 것이라 공약하지만 전문가들은 충분치 않다고 평가
Kvan
등록일 04.16 조회 1179 추천 0

뉴스 연방정부는 공급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억 달러 이상을 지출할 계획이지만, 전문가들은 이것이 오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포괄적인 전략에는 크게…

규제 완화 후 3명 중 1명 코로나19 감염
Kvan
등록일 08.10 조회 1073 추천 0

뉴스 “코로나 규제 완화 성급했다” 46% 코로나19 규제 완화로 일상 복귀가 가속화되면서 코로나19도 다시 확산하는 모양새다. 8일 여론조사기관 리…

BC주 산불 악화일로… 비상사태 선포
관리자
등록일 08.22 조회 579 추천 0

뉴스 일부지역 여행 제한령… “비필수 여행 불가” BC주 산불이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대피령이 내려진 주민이 하루 새 두 배로 증가했다. BC주정부는 …

주거비 부담 속 임차인의 부 증대 고난
Kvan
등록일 03.19 조회 347 추천 0

부동산 RBC 보고서, 임차인과 주택 소유자 사이의 부 격차 부각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임차인들은 점차 늘어나는 주거비 부담으로 인해 부를 축적하는 …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