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캐나다 신규 모기지 대출 ‘급락’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신규 모기지 대출 ‘급락’

전년대비 건수 8.1% 하락…모기지 금액은 10.1% 늘어
“팬데믹 후 첫 분기별 대비 대출금 줄어…안정화 징조”
크레딧 카드 지출 전례없는 ‘급등세’…전년비 14.4%로

캐나다 전국 주택 시장에 변화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최근에는 신규 모기지 대출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일각에서는 소비자들이 크레딧 카드에 좀더 의존하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그렇지만 모기지 대출 금액 단가는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집값 상승세가 한 몫을 하고 있는 셈.

최근 에퀴팩스 캐나다는 분기별 캐나다 시장 조사를 통해 크레딧 분석 보고서를 내놓았다.

그리고 “신규 모기지가 크게 줄었다”고 평가했다.

신규 모기지는 지난 2021년 4/4분기를 기준으로 할 때 전년대비 8.1%나 감소했다.

비교적 뜨거운 주택시장인 토론토와 해밀턴에서는 그 비중이 각각 16.1%와 18.7%로, 다른 곳보다 더욱 격차를 벌리고 있다.

레베카 옥스 분석 담당관은 “치솟는 주택 가격이 전국적으로 집장만 여건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면서 “높은 집값에 덧붙여 대출기관들도 뱅크 오브 캐나다의 움직임에 맞춰 이자율을 올리기 시작했다.

이 같은 변화가 수많은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제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평균 대출 금액은 2021년 4분기 전년대비 10.1%로 두 자릿수나 올랐다.

다만 이전 분기와 비교한다면 1.5% 정도 줄어든 수준이다.

이는 팬데믹 이후 평균 신규 대출 금액이 분기 대비 비교에서 처음으로 하락한 시점이다.

옥스 담당관은 이것이 아마도 평균 주택 가격이 안정화 돼 가고 있다는 징조일 수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수요가 계속되고 공급은 부족하면서 부동산 가격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신규 모기지의 평균 대출 금액은 작년 4/4분기를 기준으로 35만 5000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크레딧 카드 지출은 이전에 없이 늘어만 가고 있다.

전체 소비자들의 크레딧 카드 지출은 전년대비 무려 14.4%나 늘었다.

이전분기와 비교할 대도 9.8% 늘어난 수준이다. 평균 월 크레딧 카드 지출 금액은 소비자 한 명당 2205달러를 기록, 전년대비 15.2%, 이전분기 대비 6.8%나 늘었다.

옥스 담당관은 “연휴시즌은 항상 지출을 늘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작년 4분기는 지금껏 없었던 크레딧 카드 평균 지출 금액을 기록했다”면서 “소비자들의 페이먼트 행동이 서서히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고 있다.

정부로부터 지원되던 가처분 소득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지난해와 비교한다면 지출하는 돈에 비해 갚아나가는 돈이 적다”고 평가했다.

수치로 볼 때 1달러를 지출한다면 소비자들은 0.96달러를 지불한다.

이는 전년대비에서 무려 2.9%나 낮은 수준이다. 지출증가는 크레딧 카드 잔액의 전반적 인상으로 이어졌다.

전년대비 2.4% 늘어난 것. 신규 크레딧 카드 수요도 늘어났다.

신규 카드에 대한 평균 크레딧 카드 한도액도 전년대비 23.2%나 늘어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전체 소비자들의 부채는 계속 늘어나는 중이다.

지난 2020년 4분기를 기준으로 할 때 작년 4분기까지 7.9%가 늘어난 2조 2000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소비자들 개개인을 기준으로 할 때 모기지를 제외한 평균 소비자 부채는 현재 2만 686달러를 기록, 작년 이맘때보다 0.6% 줄었다.

옥스 담당관은 “자동차와 할부 대출 부채의 하락은 이번 분기 소비자들의 평균 부채 하락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연체율은 그나마 지속적으로 덜어지고 있어 다행이다.

전반적 모기지 연체율은 0.11%를, 모기지가 아닌 채무 연체율은 0.86%를 기록하고 있다.

이들 두 분야 모두 전년대비로 볼 때는 각각 31.8%와 20.7% 줄어든 규모다.

다만 크레딧 카드의 90일 이상짜리 연체율은 2.7%, 은행권이 아닌 자동차 연체율은 14.7%가 늘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3 Page
RSS
BC주 최저임금, 6월부터 17.4달러로 인상
Kvan
등록일 02.29 조회 129 추천 0

뉴스 물가 상승률 반영… “매년 인상 기대” BC주의 최저임금이 6월부터 오른다. BC주정부는 26일 주내 최저임금을 시간당 16달러75센트에서 17…

브로드웨이 지하철 프로젝트 본격착공
K밴쿠버
등록일 02.05 조회 2787 추천 0

뉴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밴쿠버 시민들에게 희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밴쿠버 경제에 새로운 활력소가 될 수 있는 브로드웨이 지하철 프로젝트가 드디어 준…

경기후퇴기 이전에 보인 캐나다 경제성과
K밴쿠버
등록일 02.23 조회 2608 추천 0

뉴스 안녕하십니까? 부동산밴쿠버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캐나다 경제도 ‘경기후퇴’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캐나다 코로나…

캐나다 보건자문위 65세이상 아스트라제네카 사용권고 안해
K밴쿠버
등록일 03.03 조회 2425 추천 0

뉴스 코로나 관련 최신 업데이트 뉴스입니다. 캐나다 보건면역자문위원회는 3웗1일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을 65세 이상 연령층에 사용하는 것을…

상업용 렌트비 밴쿠버 ‘상승’ 토론토 ‘하락’
K밴쿠버
등록일 03.14 조회 2674 추천 0

뉴스 통게청이 발표한 렌트비 관련뉴스입니다. 부동산 시세가 꾸준하게 오르면 예외적 상황을 제외하고 렌트비가 내리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캐나다처…

캐나다 미국 멕시코 연결 철도망 구축
K밴쿠버
등록일 03.24 조회 3428 추천 0

뉴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에서 미국을 거쳐 멕시코로 연결되는 철도망이 구축됩니다. CP레일 Canadian Pacific에 따르면 이 회사는 Kan…

캐나다 ‘증오범죄’ BC주 인구비중 ‘최다’
K밴쿠버
등록일 04.02 조회 2651 추천 0

뉴스 캐나다 뉴스입니다. 캐나다에서도 팬데믹 기간 중 아시아인에 대한 증오범죄 …

주택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
K밴쿠버
등록일 04.11 조회 2999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 단순한 재산이 아닌 부동산만 놓고도 캐나다인은 서…

BC주 확진자 증가로 AZ백신 접종연령 40세로 하향
K밴쿠버
등록일 04.21 조회 3340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관련 뉴스입니다. BC주 정부는 백신접종 속도를 내기 위해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대상 연령을 40세로 낮추기로 했습니다. 주 정부에…

캐나다 동부 해양도시 회복력 더 빨라
K밴쿠버
등록일 05.01 조회 5208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의 경제 회복 속도는 각 주 현실에 따라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됐었습니다. 그런데 캐나다 동부에 위치한 해양 도시들…

BC 연령별 백신접종 40대까지로 낮아져
K밴쿠버
등록일 05.13 조회 10887 추천 0

뉴스 BC주 백신관련 뉴스입니다. 백신 접종 연령이 BC주에서 40대까지 낮아졌다지만 여전히 …

물가 3% 이상 널뛰기 이자율 인상 앞당기나?
K밴쿠버
등록일 05.22 조회 3399 추천 0

뉴스 캐나다 통계청 발표자료입니다. 캐나다 물가 상승률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곳곳에서 소비자들…

코로나19 수혜주 캐나다 이민 프로그램
K밴쿠버
등록일 06.01 조회 4210 추천 0

유학이민 캐나다 이민관련 정보입니다. 작년에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1년 넘게 지속되고 있습니다.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 같던 팬데믹이 극복되는…

아시아인 인종차별, 젊은층 저소득층에 ‘큰타격’
K밴쿠버
등록일 06.10 조회 4378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팬데믹 속에서 인종차별이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국경 너머 미국의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이 아닙니다. 캐나다에서도 아시아인 등…

BC주택시장, “하반기도 강세 전망”
K밴쿠버
등록일 06.19 조회 5332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최근 BC주택시장은 예전에 없던 수요로 큰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BC주 코로나 19 확진 ‘극적인 하락세’
K밴쿠버
등록일 06.29 조회 4405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19 상황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최근 주말 3일 동안 1일 확진자수는…

전국 노인 주거시설 공실률 급등…”팬데믹 영향”
K밴쿠버
등록일 07.09 조회 5378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노인들에게 주택은 젊은 층과는 다른 의미가 있습니다. 어쩌면 자신의 생을 마무…

캐나다, 8월9일부터 미국인에 국경개방, 미국은 아직 발표안해
K밴쿠버
등록일 07.19 조회 2733 추천 0

뉴스 캐나다 국경통과 관련 뉴스입니다. 예방 접종을 마친 관광객들은 곧 캐나다를 다시 방문할 …

신규 확진자 대다수, 백신 안 맞은 계층
K밴쿠버
등록일 07.29 조회 2099 추천 0

뉴스 BC주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지난 주말을 포함한 3일 동안 확진자수는 267명을 기록했…

프레이저밸리 “바이어, 셀러보다 많아…리스팅 40년래 최저”
K밴쿠버
등록일 08.07 조회 2640 추천 0

뉴스 프레이저 밸리 7월 부동산분석입니다. “주택 거래는 꾸준했습니다. 그렇지만 공급은 지난 40년래 …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