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캐나다 전국 주택시장 “거래량 ‘강세’, 공급은 ‘제한적’…결과적 가격은 급등”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전국 주택시장 “제한된 공급이 관건…”

“거래량 ‘강세’, 공급은 ‘제한적’…결과적 가격은 급등”
역대 두 번째 1월 기록…인벤토리는 1.6개월에 불과

캐나다 시장이 요즘 공급에 몸살을 앓고 있다.

주택 가격이 가장 비싸다고 하는 BC주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는 것도 주목된다.

홈 바이어들은 전국적으로 리스팅 부족에 직면하고 있다.

올해 초부터 역대급으로 낮은 인벤토리로 한 해를 시작했고, 한동안은 시장 지배적 현상이 될 전망이다.

캐나다 부동산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거래량 규모는 역대 수준을 보였고 월간 공급물량은 최저 수준이었다.

그런데 월간 비교에서 올해 1월 거래량은 이전보다 1% 정도 더 늘었다.

실질적인 거래규모는 전년도와 비교할 때 10.7% 정도 낮은 수준.

그렇지만 신규 리스팅은 이보다 더 떨어졌다. 즉 전월대비 11%나 감소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MLS를 기준, 주택 가격지수는 전월대비 2.9%, 전년대비 무려 28%나 올랐다.

실질적인 전국 평균 거래가격은 전년대비 21% 상승했다.

1월 시장은 전국적으로 상승장과 하락장이 비슷하게 갈라진 한 달이었다.

거래가 늘어난 곳은 광역 밴쿠버와 캘거리, 오타와 등이다.

하지만 위니펙, 몬트리올, 프레이저 밸리, 해밀턴 등지 하락세가 상쇄시킨 것. 실질적으로 거래된 규모는 지난해 이맘때보다 10.7% 적지만 여전히 역사적으로 두 번째 높은 수준이다.

클리프 스티븐슨 회장은 “예상대로, 1월은 신규 리스팅 분야에서 매우 조용했다.

올해 첫 신규 공급 물량은 앞으로 날씨가 따뜻해질 때까지는 두드러지게 늘어나지 않을 듯하다”면서 “문제는 지난해 봄 시장과 마찬가지로 공급이 수요에 압도될 것인가 아니면 지난 2년 동안 움츠렸던 잠재적 셀러들이 시장에 다시 등장하기 시작할 것인가 이다. 어느 쪽이든 올해 주택 시장을 흥미롭게 만들 것이다”고 설명했다.

션 캐스카트 경제학자는 “지금부터 올 여름까지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셀러들이 앞으로 나서면서 공급이 크게 늘어나는 2022년 봄 시장이 되는 것이다”면서 “만약 이 같은 현상이 생긴다면 2021년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상당한 거래 규모가 발생할 것이라고 본다.

그렇지만 수많은 바이어들이 좌절을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즉 어느 정도 부동산이 앞으로 매물로 나오는지에 달려 있다는 것.

이밖에 전국 시장의 85%는 셀러스 마켓을 기록하고 있다. 시장 15%는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인벤토리는 1.6개월에 불과하다. 역대 최저 기록인 2021년 12월과 같은 수준이다.

장기적인 인벤토리 평균은 5개월이다.

집값을 보면, 전년대비 종합 주택 가격 지수는 28%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BC주도 28%로 전국 수준을 보여주고 있지만 밴쿠버에서는 조금 낮았다.

전년대비 집값은 앨터바와 서스캐처원에서 한 자리 숫자를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매니토바는 무려 13%로 올랐다.

온타리오의 경우에는 1월 상승률이 30%를 넘어섰다.

광역 토론토에서도 주 정부 수준의 상승 속도를 보이고 있다.

나머지 지역에서는 25~40% 범위 수준이다.

오타와의 경우에는 전년대비 16%. 뉴 브런즈윅에서 집값은 30% 이상이다.

PEI는 27%, 뉴 펀들랜드 앤 래브라도는 12%.

실제 전국 평균 주택 가격은 74만 8450달러를 기록, 지난해 이맘때보다 21% 올랐다.

물론 광역 밴쿠버와 광역 토론토의 영향력이 컸다.

만약 두 시장을 제외한다면 1월중 집값은 이보다 16만 달러 정도 줄어든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33 Page
RSS
‘빌딩 코드’, 저소득층 주택 공급 감소에…
K밴쿠버
등록일 09.23 조회 3848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건물을 더욱 좋게 만들기 위해 고안된 ‘주택 코드’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빌딩 코드가 한편으로는 저소득층을 위한 …

향후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예측하려면…
K밴쿠버
등록일 10.02 조회 2668 추천 0

뉴스 광역 밴쿠버 부동산뉴스입니다. 최근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은 전국 다른 곳과는 다른 움직임을 보입니…

광역토론토 9월 주택가격 18.3% 급등…신규 매물 34% 급감 탓
K밴쿠버
등록일 10.12 조회 2649 추천 0

뉴스 토론토 부동산뉴스입니다. 광역토론토(GTA)의 지난달 평균 주택가격이 공급 부족…

“집값, 내년 초 아닌 2022년 하반기에 평평한 흐름”
K밴쿠버
등록일 10.22 조회 3904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올해 가을 전국 주택시장도 ‘높은 음’으로 시작했습니다.” 다만 …

캐나다 주급 상승세, 일자리 증가폭보다 더 빨라
K밴쿠버
등록일 11.11 조회 3121 추천 0

뉴스 BC주 경제뉴스입니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도시, 밴쿠버. 이곳에 살려면 어느 정도 소득이 필요할까요? 해…

홈바이어들, 기존 인벤토리 더 깊게 파고들어
K밴쿠버
등록일 11.19 조회 3898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의 인벤토리 부족은 전국적인 현상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한 …

홍미숙 스테이징 “샐리의 요술 지팡이”
K밴쿠버
등록일 11.30 조회 3526 추천 0

부동산 주택 홈스테이징 관련 내용입니다. 어렸을 적 즐겨보던 TV 만화영화 중에 ‘요술공주 샐리’…

캐나다 이민자 소득은… 경제이민자, 정착 1년후 소득 캐나다 평균 12% 이상
K밴쿠버
등록일 12.13 조회 2049 추천 0

뉴스 캐나다 이민자 소득은… 경제이민자, 정착 1년후 소득 캐나다 평균 12% 이상 가족 스폰 받은 이민자 “큰 변화 없어”…난민은 낮아 캐나다에는 …

캐나다 부동산, GDP의 10% 이상 기여해
K밴쿠버
등록일 01.03 조회 2896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 GDP의 10% 이상 기여해 부동산, 렌트 및 리스 성장률 20%로 GDP 상승보다 빨라 “글로벌 부동산 버블 시기에 미국보다 …

신규 부동산 물량의 다수 투자자들이 사들여
K밴쿠버
등록일 01.23 조회 2329 추천 0

뉴스 신규 부동산 물량의 다수 투자자들이 사들여 베터 드웰링, 토론토 39%, 밴쿠버 44%...ON 3채중 1채 최근 시장은 ‘인벤토리 부족’에 허…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요 동력은 어디…
K밴쿠버
등록일 02.04 조회 2679 추천 0

뉴스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요 동력은 어디… 뜨거운 주택시장에 의한 주거비, 자동차, 원가 비용 요즘 캐나다 인플레이션이 서민 가정에 큰 부담을 주고 …

BC주민, ‘이민’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낮아
K밴쿠버
등록일 02.20 조회 1405 추천 0

뉴스 BC주민, ‘이민’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낮아 전국 평균 54%...BC주는 51% 불과, 온타리오 58%로 최대 최근 밴쿠버를 포함, 전국적으…

GDP 증가 속…가처분 소득, 저축률 되레 ‘후퇴’
K밴쿠버
등록일 03.06 조회 1282 추천 0

뉴스 GDP 증가 속…가처분 소득, 저축률 되레 ‘후퇴’ 캐나다 신규 주택 건축, 소비자 씀씀이 GDP 성장 큰 기여 전국적으로 실질적 경제 성장률이…

한국 무비자 방문 ‘재개’…관광업계 활기 기대
K밴쿠버
등록일 03.24 조회 1248 추천 0

뉴스 한국 무비자 방문 ‘재개’…관광업계 활기 기대 한국대사관, 4월 1일부터 시행…K-ETA 허가제 신청요 캐나다 연방 정부, 4월 1일 방문자부터…

캐나다 다수 “팬데믹 지나갔다”면서도…
K밴쿠버
등록일 04.10 조회 1271 추천 0

뉴스 캐나다 다수 “팬데믹 지나갔다”면서도… 절반 정도는 “코로나 19 관련 규제 해제에 우려” 표명 정부의 각종 규제 해제는 주민들에게 팬데믹이 거…

“최근 저이자 모기지 고객 갱신 때 충격 커”
Kvan
등록일 06.19 조회 1340 추천 0

부동산 “최근 저이자 모기지 고객 갱신 때 충격 커” “뱅크 오브 캐나다 2025/2026년 모기지 이자 4.5% 전망” 캐나다 30%는 변동 이자율 …

캐나다 워홀, 4천명에서 1만2000명으로
Kvan
등록일 05.19 조회 458 추천 0

유학이민 신청 연령도 30세에서 35세로 확대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7일 윤석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청년 교류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

캐나다, 주택난에 결국 유학생 수 제한
Kvan
등록일 01.23 조회 217 추천 0

뉴스 “올해 신규 유학생 35% 줄인다” 정부가 주택난 심화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학생 수를 제한하기로 했다. 캐나다 이민부는 22일 유학생에게…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