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캐나다 물가 5% 진입 ‘고공행진’…주택, 식품 ‘타격’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물가 5% 진입 ‘고공행진’…주택, 식품 ‘타격’
에너지 제외해도 전년비 무려 4.3% 증가…1999년 이후 최대
주거비용은 1990년대 이후 가장 빠른 속도…전년비 6.2%로

캐나다 물가가 고공행진에서 한번 더 도약하는 상황이다.

지난해 하반기 꾸준하게 보여준 4%대를 어느덧 훌쩍 넘어버렸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022년 첫 집계된 1월의 물가는 벌써 5.1%를 기록했다.

첫 달부터 심상치 않을 올해 물가 흐름을 보여준다.

캐나다에서 지난 1991년 이후 물가가 집계된 이후 처음으로 5% 수준을 진입한 것이다.

지난 12개월 동안 5.1% 오른 것이지만 작년 12월과 비교하는 전년대비에서도 무려 4.8%나 올랐다.

주요 물가 지수도 전년대비 1% 오른 수준이다.

개스 값을 제외하더라도 물가는 한 해 전과 비교할 때 4.3% 올랐다.

지난 1999년 이후 가장 빠른 수준이다. 코로나 19 팬데믹과 관련된 도전과제들이 여전히 공급망에 부담을 주고, 소비자 에너지 가격이 꾸준하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게 큰 몫을 차지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반적으로 캐나다인들은 상품은 물론 서비스와, 특히 주택 식품 개스 분야에서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월간 기준, 소비자 물가지수는 1월 0.9% 올랐다. 2017년 1월 이후 가장 높다. 지난 12월에는 0.1%가 줄어들기도 했다.

주거비용도 큰 이슈다. 실제 1월 기준, 주거비용은 전년대비 6.2%나 올랐다.

전반적 물가 상승률 5.1%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그만큼 주택 가격 상승곡선이 빠르다는 의미도 된다.

수치로만 놓고 보면, 1990년 2월 이후 가장 크다.

이 보고서는 “높은 신규 주택 가격은 부동산을 유지하는 높은 비용들과 연관돼 있다.

여기에는 주택을 수리하는 비용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높은 주택 가격은 다른 주거관련 비용도 올리고 있다.

반면 전국적으로 낮은 이자율은 대출비용을 낮게 유지하는 중이다.

전년대비로 볼 때, 주택 수리비는 13.5%나 올랐다. 다른 주거관련 비용도 14%가 상승한 것.

여기에는 부동산 중개 수수료도 포함된다.

지역 별 주택 가격 상승세를 보면, 온타리오가 전년대비 5.7%, 매니토바가 5.5%, 서스캐처원이 4.2% 오르기도 했다.

높은 전기 가격이 상승세에 크게 반영되기도 했다.

눈 여겨 볼 부분은 BC주의 물가 상승률이 전년대비 4.3%, 전월대비 3.9%라는 점이다.

전국 평균과 비교할 때 조금 낮지만 렌트 분야에서 큰 가격 상승세를 기록한 점이다.

이는 수많은 주민들이 지난 한 해 동안 BC주 지역으로 유입되면서 렌트 수요가 컸다는 점이 크게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수치로 볼 때, 캐나다 동부의 경우 노바 스코샤가 전년대비 4.9%, 뉴 브런즈윅이 5.3%, PEI가 무려 7.15를 기록했다.

이밖에 뉴 펀들랜드 앤 래브라도가 4%로 나타났다.

앨버타는 물가가 전년대비 4.8% 올랐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33 Page
RSS
‘빌딩 코드’, 저소득층 주택 공급 감소에…
K밴쿠버
등록일 09.23 조회 3848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건물을 더욱 좋게 만들기 위해 고안된 ‘주택 코드’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빌딩 코드가 한편으로는 저소득층을 위한 …

향후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예측하려면…
K밴쿠버
등록일 10.02 조회 2668 추천 0

뉴스 광역 밴쿠버 부동산뉴스입니다. 최근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은 전국 다른 곳과는 다른 움직임을 보입니…

광역토론토 9월 주택가격 18.3% 급등…신규 매물 34% 급감 탓
K밴쿠버
등록일 10.12 조회 2649 추천 0

뉴스 토론토 부동산뉴스입니다. 광역토론토(GTA)의 지난달 평균 주택가격이 공급 부족…

“집값, 내년 초 아닌 2022년 하반기에 평평한 흐름”
K밴쿠버
등록일 10.22 조회 3904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올해 가을 전국 주택시장도 ‘높은 음’으로 시작했습니다.” 다만 …

캐나다 주급 상승세, 일자리 증가폭보다 더 빨라
K밴쿠버
등록일 11.11 조회 3121 추천 0

뉴스 BC주 경제뉴스입니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도시, 밴쿠버. 이곳에 살려면 어느 정도 소득이 필요할까요? 해…

홈바이어들, 기존 인벤토리 더 깊게 파고들어
K밴쿠버
등록일 11.19 조회 3898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의 인벤토리 부족은 전국적인 현상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한 …

홍미숙 스테이징 “샐리의 요술 지팡이”
K밴쿠버
등록일 11.30 조회 3526 추천 0

부동산 주택 홈스테이징 관련 내용입니다. 어렸을 적 즐겨보던 TV 만화영화 중에 ‘요술공주 샐리’…

캐나다 이민자 소득은… 경제이민자, 정착 1년후 소득 캐나다 평균 12% 이상
K밴쿠버
등록일 12.13 조회 2049 추천 0

뉴스 캐나다 이민자 소득은… 경제이민자, 정착 1년후 소득 캐나다 평균 12% 이상 가족 스폰 받은 이민자 “큰 변화 없어”…난민은 낮아 캐나다에는 …

캐나다 부동산, GDP의 10% 이상 기여해
K밴쿠버
등록일 01.03 조회 2897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 GDP의 10% 이상 기여해 부동산, 렌트 및 리스 성장률 20%로 GDP 상승보다 빨라 “글로벌 부동산 버블 시기에 미국보다 …

신규 부동산 물량의 다수 투자자들이 사들여
K밴쿠버
등록일 01.23 조회 2329 추천 0

뉴스 신규 부동산 물량의 다수 투자자들이 사들여 베터 드웰링, 토론토 39%, 밴쿠버 44%...ON 3채중 1채 최근 시장은 ‘인벤토리 부족’에 허…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요 동력은 어디…
K밴쿠버
등록일 02.04 조회 2679 추천 0

뉴스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요 동력은 어디… 뜨거운 주택시장에 의한 주거비, 자동차, 원가 비용 요즘 캐나다 인플레이션이 서민 가정에 큰 부담을 주고 …

BC주민, ‘이민’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낮아
K밴쿠버
등록일 02.20 조회 1405 추천 0

뉴스 BC주민, ‘이민’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낮아 전국 평균 54%...BC주는 51% 불과, 온타리오 58%로 최대 최근 밴쿠버를 포함, 전국적으…

GDP 증가 속…가처분 소득, 저축률 되레 ‘후퇴’
K밴쿠버
등록일 03.06 조회 1282 추천 0

뉴스 GDP 증가 속…가처분 소득, 저축률 되레 ‘후퇴’ 캐나다 신규 주택 건축, 소비자 씀씀이 GDP 성장 큰 기여 전국적으로 실질적 경제 성장률이…

한국 무비자 방문 ‘재개’…관광업계 활기 기대
K밴쿠버
등록일 03.24 조회 1248 추천 0

뉴스 한국 무비자 방문 ‘재개’…관광업계 활기 기대 한국대사관, 4월 1일부터 시행…K-ETA 허가제 신청요 캐나다 연방 정부, 4월 1일 방문자부터…

캐나다 다수 “팬데믹 지나갔다”면서도…
K밴쿠버
등록일 04.10 조회 1271 추천 0

뉴스 캐나다 다수 “팬데믹 지나갔다”면서도… 절반 정도는 “코로나 19 관련 규제 해제에 우려” 표명 정부의 각종 규제 해제는 주민들에게 팬데믹이 거…

“최근 저이자 모기지 고객 갱신 때 충격 커”
Kvan
등록일 06.19 조회 1340 추천 0

부동산 “최근 저이자 모기지 고객 갱신 때 충격 커” “뱅크 오브 캐나다 2025/2026년 모기지 이자 4.5% 전망” 캐나다 30%는 변동 이자율 …

캐나다 워홀, 4천명에서 1만2000명으로
Kvan
등록일 05.19 조회 458 추천 0

유학이민 신청 연령도 30세에서 35세로 확대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7일 윤석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청년 교류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

캐나다, 주택난에 결국 유학생 수 제한
Kvan
등록일 01.23 조회 217 추천 0

뉴스 “올해 신규 유학생 35% 줄인다” 정부가 주택난 심화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학생 수를 제한하기로 했다. 캐나다 이민부는 22일 유학생에게…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