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캐나다 3년간 이민자 130만 명 유치 목표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3년간 이민자 130만 명 유치 목표
2024년까지 연간 40만 명 이상…경제 이민 60% 최다


연방 정부가 새 이민자 유입 정책을 발표했다.

여기에서는 지난 이민 정책이 캐나다에 가져온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도 빼놓지 않았다.

연방 이민부에 따르면 올해부터 오는 2024년까지 3년 동안 모두 130만 명 이상 이민자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연도 별 이민자 목표 인력은 올해가 43만 1645명의 영주권자이다.

2023년에는 44만 7055명, 2024년에는 45만 1000명으로 해마다 조금씩 늘어난다.

연간 이민자 유입이 팬데믹 이전까지 연 20만 명 또는 30만 명 초반이었던 것과 달리 앞으로는 40만 명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는 지난 2021년 팬데믹을 지나면서 연간 유입 인력을 40만 5000명으로 크게 확대한 것도 한 몫을 했다.

특히 연방 정부가 이민이 캐나다에 가져온 효과를 분석한 부분을 보면, 이민자는 캐나다 노동시장 증가폭의 100%를 차지하고 있다.

게다가 인구 성장률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무려 80%나 된다.

글로벌 선진 7개 국가 가운데 캐나다의 인구 성장률이 높은 이유 중 하나이다.

덧붙여 캐나다는 팬데믹 중에 사라졌던 수많은 일자리를 재확보했다.

그렇지만 여전히 전국 각 산업 분야 별로 96만 개의 일자리가 비어있는 상태이다.

게다가 오는 2030년까지 캐나다 전국적으로는 500만 명의 노동자들이 일터를 떠나 은퇴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노동자와 은퇴자의 비율은 단지 3대1에 불과해질 정도로 낮아지게 되는 셈.

그만큼 노동 인력이 부족하다는 것.

연방 정부는 이민자 유입 향상으로 2024년까지 전반적인 입국 비율이 캐나다 인구의 1.14%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다수인 60%는 경제 이민 카테고리에 속한다.

캐나다가 영어와 프랑스어 공용어 정책을 유지하는 가운데 프랑스어권 이민자들도 늘어날 전망이다.

2023년까지 퀘벡 이외 지역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이민자는 4.4%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연방 이민부는 “이번에 발표한 플랜은 경제적 노동력 분야와 인구구성에서 큰 도전과제를 안고 있는 지역에서 새로운 주민을 유치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덧붙여 퀘벡 이외 지역 프랑스어 이민자 유치에도 기여할 것이다.

동시에 전국적으로 프랑스어 권 커뮤니티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션 프레이저 이민부 장관은 “이민은 오늘날 캐나다를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다.

농업과 어업은 물론 제조업과 보건 의료 분야, 운송 분야까지 캐나다 경제는 이민자들에게 의존하고 있다. 우리는 현재 경제 회복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이민자는 이를 위한 주요 열쇠이다.

새로운 이민자 유입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우리는 좀더 많은 이민자들이 우리 커뮤니티와 경제 전반 곳곳에 유입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난민 유입에도 적극성을 유지할 계획이다.

앞으로 2년 동안 최소한 전세계적으로 4만 명의 아프간 난민을 유치하게 된다.

최근까지 정부는 아프간 난민 7550명을 캐나다로 데려왔다.
<사진=연방 이민부 제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4 Page
RSS
BC 플레이스, 코로나 19에 이용정책 변경
K밴쿠버
등록일 08.18 조회 1885 추천 0

뉴스 pixaimage|sports stadium|16|10 BC주 로컬뉴스입니다. 전국적으로 제4차 파동이 본격화되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BC주의…

캐나다 주택시장 “산에서 내려오는..” 2022년 거래량 및 집값 하락
K밴쿠버
등록일 08.28 조회 4887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 전망을 놓고 “산에서 내려오고 있다.”라는 평가가…

광역 밴쿠버, 팬데믹중 “외국인 바이어 뜸해져…”
K밴쿠버
등록일 09.06 조회 3692 추천 0

뉴스 광역 밴쿠버 부동산뉴스입니다. 부동산 시장에서 코로나 19 팬데믹 영향을 가장 많이 발견할 수 있는 분야라면 바로 외국인 주택 구매 흐름을 들 …

전국적으로 ‘백신 여권’ 호응도 점점 커져
K밴쿠버
등록일 09.16 조회 2620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여권 관련 뉴스입니다 전국 각 주에서 속속 ‘백신여권’ 도입이 한창입니다. BC…

“‘낮은 이자율’ 주택 장만 여건에 도움이 될까”
K밴쿠버
등록일 09.23 조회 3010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일반적으로 낮은 이자율은 주택 구매자들에게는 희소식입니다. 대출 비용을…

광역토론토 새 주택 벤치마크 가격 급등…작년 대비 30% ‘껑충’
K밴쿠버
등록일 10.05 조회 2578 추천 0

뉴스 토론토 부동산뉴스입니다. 광역토론토(GTA) 신규주택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지난…

배우자 폭력 하락세…남성 피해자 급감
K밴쿠버
등록일 10.13 조회 2294 추천 0

뉴스 캐나다 통계뉴스입니다. 캐나다 전국적으로 배우자 가정폭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

캐나다 주택 가격, 다시 재가속도 모드 전환!
K밴쿠버
등록일 10.23 조회 3265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부동산 시장의 집값이 다시 재가속 모드를 타고 있습니다.” 잠시 주춤…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택, 차량관련 ‘빠른 상승세’
K밴쿠버
등록일 11.12 조회 2667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이 아직 끝나지도 않았지만 인플레이션은 국내를 너머 전세계적 이슈가…

캐나다 고소득층 소득 “많을수록 더 빨리 늘어
K밴쿠버
등록일 11.20 조회 2604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의 최상위 고소득층은 어느 정도 소득을 올릴까요? 상…

캐나다에서도 ‘오미크론’ 변종 바이러스 확인
K밴쿠버
등록일 12.01 조회 3598 추천 0

뉴스 BC주 변종 바이러스 관련 뉴스입니다. BC주에서 어린이 백신 접종이 본격 시작된 가운데 전세계적으로 …

소기업들, 인력난에 ‘임금인상’도 “글쎄”…
K밴쿠버
등록일 12.18 조회 2272 추천 0

뉴스 소기업들, 인력난에 ‘임금인상’도 “글쎄”… 팬데믹중 다른 직종 이전…”아예 지원자도 없기도” 전국의 영세기업들이 팬데믹 회복에 큰 어려움을 겪…

톱 100 CEO, 팬데믹에 평균 1090만불 벌어
K밴쿠버
등록일 01.07 조회 2098 추천 0

뉴스 톱 100 CEO, 팬데믹에 평균 1090만불 벌어 평균 10만불 늘어…100곳중 30곳 정부 CEWS 지원 팬데믹 속에서도 캐나다 최고 CEO…

캐나다 이민자 “재산 창출 자산 덜 소유해”
K밴쿠버
등록일 01.24 조회 2700 추천 0

뉴스 캐나다 이민자 “재산 창출 자산 덜 소유해” 외견상 소수민족, 투자이익도 적어…한국계 3위 아랍계와 서아시아계가 1, 2위…일본계 4위 기록 전…

BC주 학생, 읽고쓰기 및 수학 능력은…
K밴쿠버
등록일 02.05 조회 2471 추천 0

뉴스 BC주 학생, 읽고/쓰기 및 수학 능력은… ‘능숙’ 수준 도달 학생은 읽고/쓰기 74%, 수학은 47% 소속 학생 90% 이상이 평가를 마친 학…

경제 하락(-5.2%) 속 주택 투자는 오히려 ‘두각’ 임금 -1.2% 줄어도 가계 저축은 전국적 늘어나
K밴쿠버
등록일 02.21 조회 1394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의 역설 경제 하락(-5.2%) 속 주택 투자는 오히려 ‘두각’ 임금 -1.2% 줄어도 가계 저축은 전국적 늘어나 전국적으로 지난해의…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리스팅 ‘들썩’…집값 ‘훌쩍’
K밴쿠버
등록일 03.08 조회 1440 추천 0

뉴스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리스팅 ‘들썩’…집값 ‘훌쩍’ 캐나다 중앙은, 기준금리 0.25%p 인상 0.5%로 올려 “리스팅 완만하게 늘어도 수요 꾸…

캐나다 정부 규모 ‘상승세’…”경제에 부정적”
K밴쿠버
등록일 03.25 조회 1252 추천 0

뉴스 캐나다 정부 규모 ‘상승세’…”경제에 부정적” 26%~30%가 경제 최대화…전국 40.4%, BC주 35.7% 등 일반적으로 정부의 규모는 경제…

캐나다 가계 씀씀이 너무 커져
K밴쿠버
등록일 04.12 조회 1233 추천 0

뉴스 캐나다 가계 씀씀이 너무 커져 “지난 2021년에 이미 팬데믹 이전 지출 수준 초과해” 전년비 8.3% 증가…2008년 집계 이후 가장 큰 상승…

KSBN, 성공적인 비즈니스와 부의 창출을 위한 세미나
Kvan
등록일 07.22 조회 896 추천 0

인터뷰 26일 오전 9시 30분 코퀴틀람 이그제큐티브 플라자 호텔서 한인사회 비즈니스 네트워크 단체인 ‘코리안 석세스 비즈니스 네트워크 소사이어티(KS…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