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어릴 때 이민할수록 대학진학, 임금수준 높아”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어릴 때 이민할수록 대학진학, 임금수준 높아”
대학 진학 비중 70% 이상…임금도 두 자릿수 이상 높아

이민 1세대에게 자녀의 성공만큼 소중한 게 없다고 한다면 캐나다 이민자들은 긍정적 평가를 받을 수 밖에 없는 듯하다.

부모를 따라 해외로 나온 자녀들은 교육이나, 사회 진출 이후 삶에서도 후한 점수를 받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이민자들의 사회경제적 성과라는 보고서에서 나타나고 있다.

한마디로 부모를 따라 어릴 때 캐나다로 이민 온 자녀들은 동세대 캐나다 출생자들과 비교할 때 교육이나 임금 측면에서 좋은 성과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어린 이민자들은 성장 후 대학 수준 교육을 받는 비중이 전반적 캐나다 인구보다 높았다.

특히 15세 이전에 이민한 경우에는 더욱 두드러진 결과를 보였다.

해당 자료는 지난 2019년도에 나온 18~30세 성인의 세금 보고 자료를 토대로 하고 있다.

어릴 때 이민을 온 자녀가 20세가 될 때 70.3%는 대학 수준 교육에 참여하고 있었다.

전반적 캐나다인 평균 58.9%와 비교할 때 훨씬 높은 수준이다. 어린 이민자들이 나이가 25세가 됐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면 대학 교육 참가 비중은 32.7%로 여전히 캐나다 전반적 인구 평균 26.6%보다 높았다.

그렇지만 이민자들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대학 진학 비율은 낮았다. 예를 들어 5세 이전 캐나다에 이민 온 20세의 76.7%는 대학 교육을 받고 있었다.

그렇지만 어린 이민자들의 나이가 5~9세라면 그 비중은 71.4%로, 10~14세라면 63.8%로 점점 더 낮아진다.

여기에는 물론 학문적 준비에 관련되는 지식과 공식 언어 능력도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덧붙여 어린 이민자들이 성장 후 대학 교육을 받는 것은 이민 1세대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에도 관련된다. 결과적으로 경제 이민 그룹 가정의 어린 자녀들을 보면, 20세대 대학 과정을 밟는 비중이 75.4%로 좀더 높았다.

스폰서 가정의 자녀에서는 60.7%를 기록, 전반적 캐나다 평균 58.9%보다는 높았지만 경제 이민 그룹보다는 낮았다.

난민 그룹의 경우에는 53.9%로 이민자 그룹 중에서도 가장 낮았다.

이민 자녀가 성인이 된 후 20대 중반 임금 수준도 동세대 캐나다 평균을 웃돌고 있다.

그러나 어린 이민자들이 20세가 됐을 때 중간 임금은 1만 900달러로 전반적 캐나다 평균 1만 2900달러보다 낮았다.

이는 이민자들 자녀의 대학 진학률이 높은 것과 관련된다. 이민 자녀는 70.3%로 캐나다 인구 평균 58.9%보다 높았다.

그런데 이민자녀가 25세가 됐을 때 중간 소득은 연 3만 1500달러를 기록, 캐나다 평균 3만 290달러보다 높았다.

즉 경제 이민 그룹 가정 자녀의 경우에는 25세를 기준으로 한 중간 임금이 3만 3700달러로 캐나다인 전반적 평균 3만 290달러보다 11.3%나 높았다.

스폰서 이민 그룹은 연간 2만 9800달러, 난민 이민 그룹은 2만 7000달러 등이다.

이민 자녀가 30세가 됐을 때 경제 이민 그룹 가정 자녀의 경우는 중간 소득이 5만 5500달러로 캐나다 평균 4만 2940달러보다 무려 29.3%나 더 높았다.

난민 그룹의 경우에는 4만 3200달러, 스폰서 그룹은 4만 1000달러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10 Page
RSS
신규 주택 값, 팬데믹 기간 내내 상승세
K밴쿠버
등록일 07.23 조회 3060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은 팬데믹 기간 동안 초반 잠시 출렁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밴쿠버, 토론토 '다세대주택'이 신규 착공 주도해
K밴쿠버
등록일 08.01 조회 2655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경제가 본격 회복하면서 주택 착공도 꾸준한 오름세를 유지…

캐나다 ‘백신 여권’ 올 가을 발행되나…
K밴쿠버
등록일 08.13 조회 2301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 여권 관련 뉴스입니다. 소문으로 무성했던 ‘백신여권’이 드디어 캐나다에서 공식화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이민부가 빠르면 올 가을을 …

캐나다 주택시장 “가격 정점은 아직까지…”
K밴쿠버
등록일 08.22 조회 2190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팬데믹을 살아가는 요즘. 캐나다 주택시장은 과거에 보이지 않았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듯합니다. 시장의 변화가 이전보…

트뤼도 정부 지지율 하락세…보수당과 ‘각축’
K밴쿠버
등록일 09.02 조회 2935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최근 연방 선거 양상이 초반 전망과 조금 다르게 흐르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선거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는 말…

렌트비 2022년에 최대 1.5% 인상 가능
K밴쿠버
등록일 09.11 조회 2843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 기간중 시행됐던 ‘렌트비 동결이 드디어 해제될 전망입니다. 주 정부는 최근 2022년 렌트비 인상 가이드라인을 발…

BC주택 시장 ‘거래 정상’속 리스팅 ‘가뭄’
K밴쿠버
등록일 09.18 조회 2632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주택 거래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한다지만 공급물량이 너무 부족한 실…

앨버타, 코로나 19로 ‘의료 체계 위기’로
K밴쿠버
등록일 09.29 조회 2841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BC주 인근 앨버타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의료…

캐나다 경제 회복기 스몰 비즈니스 경제 과제…부채와 디지털 변화
K밴쿠버
등록일 10.10 조회 3564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 경제는 회복하고 있습니다. 다만 속도에 차이가 생기기 마…

캐나다 집장만 여건, 전국 및 모든 주거형태 ‘악화’
K밴쿠버
등록일 10.17 조회 2422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전국적으로 집장만이 힘들지 않은 곳이 있을까요? 최근 RBC…

캐나다 내륙지역, 강우량 증가로 모기 개체 수 늘어
K밴쿠버
등록일 10.28 조회 2689 추천 0

뉴스 캐나다 뉴스입니다. 캐나다 내륙 지방이 수년에 걸친 강우량 증가로 모기의 개체수도 늘어났습니다. …

BC주택 시장은 요즘 ‘거꾸로 보는’ 수요-공급 곡선
K밴쿠버
등록일 11.15 조회 3068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최근 BC주택 시장은 역설적이지만 물량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더 부…

캐나다인 해외여행 급등세…팬데믹 전보다 ‘미미’
K밴쿠버
등록일 11.26 조회 2478 추천 0

뉴스 캐나다 해외여행 관련 뉴스입니다 백신 접종 확대로 팬데믹 상황이 조금씩 진정세를 보이는 …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K밴쿠버
등록일 12.07 조회 3935 추천 0

부동산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각 주 권역을 넘나드는 주민 이동이 강세…로컬 시장 영향” 전국 시장 95%에서 ‘셀러스 마켓’…밴쿠버 집값 5…

내년 집값 10.5%…”겨울시장 흔치 않게 활발”
K밴쿠버
등록일 12.26 조회 3543 추천 0

뉴스 내년 집값 10.5%…”겨울시장 흔치 않게 활발” 전국 스키 리조트 집값은 23.5% 뛰어…공급 부족에 광역 밴쿠버, 광역 토론토 주택 값 각각…

캐나다인 다수 장기 투자 혜택을 놓쳐”
K밴쿠버
등록일 01.15 조회 2622 추천 0

뉴스 “캐나다인 다수 장기 투자 혜택을 놓쳐” 과반, 비과세 저축 ‘현금’으로…29%도 ¾을 현금 투자에도 흐름이 있다. 캐나다인의 저축 방식도 마찬…

“BC주민, 휴대폰 스팸 전화 더 늘어난 듯”
K밴쿠버
등록일 01.29 조회 3382 추천 0

뉴스 “BC주민, 휴대폰 스팸 전화 더 늘어난 듯” 주민 절반 이상…2019년 9월 조사보다 15%p 더 늘어 연방 정부의 ‘전화 스팸’ 대응조치에 …

연방 소득세 변화, 하위 20% 가정에 영향
K밴쿠버
등록일 02.15 조회 1710 추천 0

뉴스 연방 소득세 변화, 하위 20% 가정에 영향 “자녀 있는 저소득 60% 더 높은 연방 개인소득세 부담” 각종 세금제도 변화는 모든 계층에 영향을…

고령화 사회 캐나다 고령자 혜택 연령 기준 올려야 할까…
K밴쿠버
등록일 02.28 조회 1394 추천 0

뉴스 고령화 사회 캐나다 고령자 혜택 연령 기준 올려야 할까… 22개 OECD국가중 16곳 인상 등…캐나다 제외 다양한 복지혜택으로 정평이 난 캐나다…

캐나다 올해 경제 성장 “이상 없을까”
K밴쿠버
등록일 03.15 조회 1218 추천 0

뉴스 캐나다 올해 경제 성장 “이상 없을까” 작년 연말 실질 성장률 0%...올해 전망에 ‘찬물’ 붓나 이전 6개월 연속 성장세 멈춰…1월 예비조사 …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