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캐나다인 다수 장기 투자 혜택을 놓쳐”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인 다수 장기 투자 혜택을 놓쳐”
과반, 비과세 저축 ‘현금’으로…29%도 ¾을 현금


투자에도 흐름이 있다. 캐나다인의 저축 방식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캐나다인들 다수는 장기적 투자를 통해 높은 수익률을 많이 놓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최근의 팬데믹 상황과도 관련된 상황일 수 있다.

BMO이코노믹스가 최근 캐나다인의 저축에 대한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비과세저축(TFSA)의 경우에는 “현금이 최고”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캐나다인은 여전히 저축을 최우선 과제로 하면서 글로벌 팬데믹 상황을 빠져나가려 하고 있다.

덧붙여 앞으로 예상되는 높은 인플레이션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최근 조사에서 비과세 저축을 가지고 있는 주민 63% 가운데 67%는 이전과 같은 금액 또는 더 많은 금액을 저축했다.

결과적으로 지난해 전국적으로 저축 초과분은 3000억 달러에 도달했다. 게다가 2021년에는 가처분 소득도 약 4.5% 정도 늘어났다.

주요 특징을 보면, 현금이 가장 인기 높은 자산이었다.

캐나다인 다수인 56%가 비과세저축을 현금으로 보유했다.

 29%의 경우에도 현금이 최소한 자신의 비과세저축분의 ¾를 차지했다.

그렇지만 해당 금융상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캐나다인 73%는 자신이 비과세저축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단지 절반인 49%만 비과세 저축이 현금은 물론 최소한 다른 형태의 투자로 보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렇지만 보유금액은 오름세를 보였다. 현행 전세계적 팬데믹 속에서도 캐나다인은 평균적으로 비과세저축으로 3만 4917달러를 갖췄다.

지난 2020년과 비교한다면 13%나 많은 수준이다.

물론 재정적 목표도 있었다. 캐나다인은 비과세저축을 다양한 목적으로 보유했다.

44%는 은퇴용 저축이다. 43%는 일반적 저축계좌로 사용했다.

15%는 재정적 독립을 빨리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했다.

그렇지만 비과세저축에도 장애물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41%는 저축할 돈이 없다고 대답했다.

다른 지출(32%) 때문에 저축할 수 없다는 그룹도 있다.

단지 7%만 팬데믹 관련된 이슈로 비과세저축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다행스럽게도 지난 2020년도 10%보다는 조금 줄었다.

다른 저축 종류의 상식을 보면, 캐나다인 74%는 RRSP에 대해 알고 있다고 자신을 평가했다.

하지만 젊은 투자자들(18~34세)의 경우에는 이보다 12% 정도 낮은 비중을 보였다.

단지 64%의 캐나다인만 RRSP와 비과세저축의 차이를 알고 있었다.

그렇지만 해당 비중은 지난 2020년보다는 4% 줄었고 2015년보다는 10% 감소했다.

교육적금인 RESP의 경우에는 캐나다인 거의 절반인 49%가 알고 있었다.

나홀로 거주하는 싱글 또는 미혼자인 경우에는 그 비중이 37%로 조금 더 낮았다.

장애인을 위한 RDSP의 경우에는 해당 어카운트를 알고 있는 캐나다인 비중이 16%에 불과했다.

55세 이상의 경우에는 그 비중이 12%로, 여성 사이에서도 12%로 낮았다.

이혼했거나 별거를 한 경우에도 이 비중은 11%로 좀더 낮았다.

니콜 오우 투자담당은 “팬데믹이라는 불확실성 속에서 캐나다인은 탄력적이고 낙관적인 자세를 보이면서 여전히 저축과 비과세저축 기부를 우선시하고 있다”면서 “2022년은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제 불확실성 때문에 새로운 도전이 될 것이다.

우리는 캐나다인이 금융 전문가들과 함께 함으로써 비과세저축이나 다른 투자 상품을 최대한 이용하기를 바란다.

이로써 단기적 장기적 재정 목표를 달성하기 원한다”고 설명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6 Page
RSS
트랜스링크 9월부터 12세이하 무료 탑승
K밴쿠버
등록일 08.14 조회 1981 추천 0

뉴스 pixaimage|translink|11|10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의 대중교통 수단인 트랜스링크가 최근 이 회사를 이끄는 수장이 바뀌었…

레노베이션할까, 스테이징할까? 집값 제대로 잘 …
K밴쿠버
등록일 08.22 조회 2250 추천 0

부동산 집 값을 잘 받기 위해서 레노베이션을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스테이징을 하는 것이 좋을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

부동산업계 “자유당 주택계획은 공급부족 해결 못할 것”
K밴쿠버
등록일 09.02 조회 3205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의 자유당 주택계획 공약에 대해 부동산업계는 …

캐나다 주택 시장 진정…과열 위험 줄어”
K밴쿠버
등록일 09.11 조회 2289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요즘 캐나다 주택시장이 진정세를 보이면서 과열 위험성은 조금씩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팬데믹 속에서도 주택 가격 …

주택 다운사이징의 딜레마
K밴쿠버
등록일 09.19 조회 2802 추천 0

부동산 3,500 스퀘어피트의 단독주택에서 살다가 1,000 스퀘어피트의 작은 콘도로 이사한 몇 년 전 여름이…

백신 미접종 연령, 어린이 환자 상승세
K밴쿠버
등록일 09.30 조회 2819 추천 0

뉴스 BC주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전국적으로 어린이들 코로나 확진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

BC주, 온타리오 전국 ‘빌딩 퍼밋’ 하락세 주도
K밴쿠버
등록일 10.10 조회 2751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전국적으로 빌딩 퍼밋 발행이 지속적인 하락곡선을 보이고 …

BC 부동산 거래실적과 집값 ‘시소 게임’…공급 ‘변수’
K밴쿠버
등록일 10.17 조회 2437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갈수록 BC 주택 시장의 특징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바로 기록…

캐나다 화력발전, 풍력이나 태양열 전환하면
K밴쿠버
등록일 10.29 조회 4033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전세계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후 변화’에 대한 인지도가 확대되고 있습…

X세대, 부동산 자산 ‘빠른 증가세’…Y세대 ‘느려
K밴쿠버
등록일 11.16 조회 2451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일반적으로 부동산 관련 자산의 비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밴쿠버, 전국 주요 도시중 유일하게 착공 늘어
K밴쿠버
등록일 11.26 조회 3668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전국적으로 신규 주택 착공이 하락곡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오미크론’에 미국 방문 더 까다로워져
K밴쿠버
등록일 12.07 조회 3521 추천 0

뉴스 ‘오미크론’에 미국 방문 더 까다로워져 탑승 24시간 전 코로나 19 음성 확인 검사받아야 요즘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주민들은 시시각각 바뀌는 각…

전국 대도시 집값 상승세 재개…”겨울 활발할 듯”
K밴쿠버
등록일 12.26 조회 3664 추천 0

뉴스 전국 대도시 집값 상승세 재개…”겨울 활발할 듯” “내년도 이자율 상승 전 낮은 이자율 활용 의중도…” “전국 도시의 주택 가격이 다시 오름세를…

캐나다인 55%, “조심해도 걸릴 수 있다” 생각
K밴쿠버
등록일 01.15 조회 2690 추천 0

뉴스 캐나다인 55%, “조심해도 걸릴 수 있다” 생각 “규제 끝내야 할까”…반대 56%, 찬성 39%보다 많아 초중고등 학교 정책관련, BC주와 앨…

신규주택 가격 최소한 올해 상반기도 오를 듯
K밴쿠버
등록일 01.30 조회 3180 추천 0

뉴스 신규주택 가격 최소한 올해 상반기도 오를 듯 연간 집값 10.3% 상승…상반기에만 7.1%, 이후 3.1% 워털루 등지 인벤토리 0.2개월치 불…

캐나다 일자리 오미크론에 타격 커져
K밴쿠버
등록일 02.15 조회 1481 추천 0

뉴스 캐나다 일자리 오미크론에 타격 커져 젊은 층과 핵심 연령대 여성들 사이 일자리 크게 줄어 1월 기준 20만 개(-1%) 감소…실업률 6.5%로 …

밴쿠버 신규 주택 값 2017년 이후 최대
K밴쿠버
등록일 02.28 조회 1487 추천 0

뉴스 밴쿠버 신규 주택 값 2017년 이후 최대 전국, 신규 주택, 건축비 상승, 공급 부족에 ‘상향’ 신규 집값, 전년대비 11.8% 올라…”전반적…

“셀러들이 올해 봄 시장 트렌드 좌우할 것”
K밴쿠버
등록일 03.16 조회 1279 추천 0

뉴스 “셀러들이 올해 봄 시장 트렌드 좌우할 것” RBC분석, “좀더 많은 캐나다 셀러들이 시장에 진입해” 밴쿠버, 토론토 재판매보다 신규 리스팅 증…

BC주 ‘연 5일 유급 병가제도’ 손 본다…
K밴쿠버
등록일 04.01 조회 1176 추천 0

뉴스 BC주 ‘연 5일 유급 병가제도’ 손 본다… 혼란이 된 ‘고용연도’를 ‘달력 연도’로 수정 표준화 단체협약으로 제외된 그룹도 포함토록 규정 손질…

‘원숭이 두창’ 캐나다에서 확인
관리자
등록일 05.24 조회 1135 추천 0

건강 ‘원숭이 두창’ 캐나다에서 확인 코로나 19 ‘우려’가 가시기 전에 새로운 감염 주의보가 시작되고 있다. 바로 ‘원숭이 두창(monkeypox)…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