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캐나다인 다수 장기 투자 혜택을 놓쳐”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인 다수 장기 투자 혜택을 놓쳐”
과반, 비과세 저축 ‘현금’으로…29%도 ¾을 현금


투자에도 흐름이 있다. 캐나다인의 저축 방식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캐나다인들 다수는 장기적 투자를 통해 높은 수익률을 많이 놓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최근의 팬데믹 상황과도 관련된 상황일 수 있다.

BMO이코노믹스가 최근 캐나다인의 저축에 대한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비과세저축(TFSA)의 경우에는 “현금이 최고”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캐나다인은 여전히 저축을 최우선 과제로 하면서 글로벌 팬데믹 상황을 빠져나가려 하고 있다.

덧붙여 앞으로 예상되는 높은 인플레이션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최근 조사에서 비과세 저축을 가지고 있는 주민 63% 가운데 67%는 이전과 같은 금액 또는 더 많은 금액을 저축했다.

결과적으로 지난해 전국적으로 저축 초과분은 3000억 달러에 도달했다. 게다가 2021년에는 가처분 소득도 약 4.5% 정도 늘어났다.

주요 특징을 보면, 현금이 가장 인기 높은 자산이었다.

캐나다인 다수인 56%가 비과세저축을 현금으로 보유했다.

 29%의 경우에도 현금이 최소한 자신의 비과세저축분의 ¾를 차지했다.

그렇지만 해당 금융상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캐나다인 73%는 자신이 비과세저축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단지 절반인 49%만 비과세 저축이 현금은 물론 최소한 다른 형태의 투자로 보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렇지만 보유금액은 오름세를 보였다. 현행 전세계적 팬데믹 속에서도 캐나다인은 평균적으로 비과세저축으로 3만 4917달러를 갖췄다.

지난 2020년과 비교한다면 13%나 많은 수준이다.

물론 재정적 목표도 있었다. 캐나다인은 비과세저축을 다양한 목적으로 보유했다.

44%는 은퇴용 저축이다. 43%는 일반적 저축계좌로 사용했다.

15%는 재정적 독립을 빨리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했다.

그렇지만 비과세저축에도 장애물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41%는 저축할 돈이 없다고 대답했다.

다른 지출(32%) 때문에 저축할 수 없다는 그룹도 있다.

단지 7%만 팬데믹 관련된 이슈로 비과세저축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다행스럽게도 지난 2020년도 10%보다는 조금 줄었다.

다른 저축 종류의 상식을 보면, 캐나다인 74%는 RRSP에 대해 알고 있다고 자신을 평가했다.

하지만 젊은 투자자들(18~34세)의 경우에는 이보다 12% 정도 낮은 비중을 보였다.

단지 64%의 캐나다인만 RRSP와 비과세저축의 차이를 알고 있었다.

그렇지만 해당 비중은 지난 2020년보다는 4% 줄었고 2015년보다는 10% 감소했다.

교육적금인 RESP의 경우에는 캐나다인 거의 절반인 49%가 알고 있었다.

나홀로 거주하는 싱글 또는 미혼자인 경우에는 그 비중이 37%로 조금 더 낮았다.

장애인을 위한 RDSP의 경우에는 해당 어카운트를 알고 있는 캐나다인 비중이 16%에 불과했다.

55세 이상의 경우에는 그 비중이 12%로, 여성 사이에서도 12%로 낮았다.

이혼했거나 별거를 한 경우에도 이 비중은 11%로 좀더 낮았다.

니콜 오우 투자담당은 “팬데믹이라는 불확실성 속에서 캐나다인은 탄력적이고 낙관적인 자세를 보이면서 여전히 저축과 비과세저축 기부를 우선시하고 있다”면서 “2022년은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제 불확실성 때문에 새로운 도전이 될 것이다.

우리는 캐나다인이 금융 전문가들과 함께 함으로써 비과세저축이나 다른 투자 상품을 최대한 이용하기를 바란다.

이로써 단기적 장기적 재정 목표를 달성하기 원한다”고 설명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10 Page
RSS
신규 주택 값, 팬데믹 기간 내내 상승세
K밴쿠버
등록일 07.23 조회 3061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은 팬데믹 기간 동안 초반 잠시 출렁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밴쿠버, 토론토 '다세대주택'이 신규 착공 주도해
K밴쿠버
등록일 08.01 조회 2657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경제가 본격 회복하면서 주택 착공도 꾸준한 오름세를 유지…

캐나다 ‘백신 여권’ 올 가을 발행되나…
K밴쿠버
등록일 08.13 조회 2304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 여권 관련 뉴스입니다. 소문으로 무성했던 ‘백신여권’이 드디어 캐나다에서 공식화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이민부가 빠르면 올 가을을 …

캐나다 주택시장 “가격 정점은 아직까지…”
K밴쿠버
등록일 08.22 조회 2193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팬데믹을 살아가는 요즘. 캐나다 주택시장은 과거에 보이지 않았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듯합니다. 시장의 변화가 이전보…

트뤼도 정부 지지율 하락세…보수당과 ‘각축’
K밴쿠버
등록일 09.02 조회 2937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최근 연방 선거 양상이 초반 전망과 조금 다르게 흐르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선거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는 말…

렌트비 2022년에 최대 1.5% 인상 가능
K밴쿠버
등록일 09.11 조회 2846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 기간중 시행됐던 ‘렌트비 동결이 드디어 해제될 전망입니다. 주 정부는 최근 2022년 렌트비 인상 가이드라인을 발…

BC주택 시장 ‘거래 정상’속 리스팅 ‘가뭄’
K밴쿠버
등록일 09.18 조회 2636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주택 거래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한다지만 공급물량이 너무 부족한 실…

앨버타, 코로나 19로 ‘의료 체계 위기’로
K밴쿠버
등록일 09.29 조회 2843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BC주 인근 앨버타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의료…

캐나다 경제 회복기 스몰 비즈니스 경제 과제…부채와 디지털 변화
K밴쿠버
등록일 10.10 조회 3566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 경제는 회복하고 있습니다. 다만 속도에 차이가 생기기 마…

캐나다 집장만 여건, 전국 및 모든 주거형태 ‘악화’
K밴쿠버
등록일 10.17 조회 2425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전국적으로 집장만이 힘들지 않은 곳이 있을까요? 최근 RBC…

캐나다 내륙지역, 강우량 증가로 모기 개체 수 늘어
K밴쿠버
등록일 10.28 조회 2693 추천 0

뉴스 캐나다 뉴스입니다. 캐나다 내륙 지방이 수년에 걸친 강우량 증가로 모기의 개체수도 늘어났습니다. …

BC주택 시장은 요즘 ‘거꾸로 보는’ 수요-공급 곡선
K밴쿠버
등록일 11.15 조회 3074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최근 BC주택 시장은 역설적이지만 물량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더 부…

캐나다인 해외여행 급등세…팬데믹 전보다 ‘미미’
K밴쿠버
등록일 11.26 조회 2479 추천 0

뉴스 캐나다 해외여행 관련 뉴스입니다 백신 접종 확대로 팬데믹 상황이 조금씩 진정세를 보이는 …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K밴쿠버
등록일 12.07 조회 3939 추천 0

부동산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각 주 권역을 넘나드는 주민 이동이 강세…로컬 시장 영향” 전국 시장 95%에서 ‘셀러스 마켓’…밴쿠버 집값 5…

내년 집값 10.5%…”겨울시장 흔치 않게 활발”
K밴쿠버
등록일 12.26 조회 3547 추천 0

뉴스 내년 집값 10.5%…”겨울시장 흔치 않게 활발” 전국 스키 리조트 집값은 23.5% 뛰어…공급 부족에 광역 밴쿠버, 광역 토론토 주택 값 각각…

캐나다인 다수 장기 투자 혜택을 놓쳐”
K밴쿠버
등록일 01.15 조회 2623 추천 0

뉴스 “캐나다인 다수 장기 투자 혜택을 놓쳐” 과반, 비과세 저축 ‘현금’으로…29%도 ¾을 현금 투자에도 흐름이 있다. 캐나다인의 저축 방식도 마찬…

“BC주민, 휴대폰 스팸 전화 더 늘어난 듯”
K밴쿠버
등록일 01.29 조회 3385 추천 0

뉴스 “BC주민, 휴대폰 스팸 전화 더 늘어난 듯” 주민 절반 이상…2019년 9월 조사보다 15%p 더 늘어 연방 정부의 ‘전화 스팸’ 대응조치에 …

연방 소득세 변화, 하위 20% 가정에 영향
K밴쿠버
등록일 02.15 조회 1712 추천 0

뉴스 연방 소득세 변화, 하위 20% 가정에 영향 “자녀 있는 저소득 60% 더 높은 연방 개인소득세 부담” 각종 세금제도 변화는 모든 계층에 영향을…

고령화 사회 캐나다 고령자 혜택 연령 기준 올려야 할까…
K밴쿠버
등록일 02.28 조회 1394 추천 0

뉴스 고령화 사회 캐나다 고령자 혜택 연령 기준 올려야 할까… 22개 OECD국가중 16곳 인상 등…캐나다 제외 다양한 복지혜택으로 정평이 난 캐나다…

캐나다 올해 경제 성장 “이상 없을까”
K밴쿠버
등록일 03.15 조회 1220 추천 0

뉴스 캐나다 올해 경제 성장 “이상 없을까” 작년 연말 실질 성장률 0%...올해 전망에 ‘찬물’ 붓나 이전 6개월 연속 성장세 멈춰…1월 예비조사 …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