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팬데믹에 ‘캐나다 인구 지도 변화’…이민 ‘절반 뚝’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팬데믹에 ‘캐나다 인구 지도 변화’…이민 ‘절반 뚝’

‘과도한 죽음’도 급등해…65세 이상이 제일 큰 타격 받아 분석
약물과다복용 38%는 근로자…남성 ‘건축’, 여성 ‘숙박업’ 다수


팬데믹이 캐나다의 인구 지도를 바꾸고 있다.

사망자 증가와 이민자 감소가 큰 타격을 줬다.

덧붙여 캐나다에서는 약물과다복용도 더 이상의 남의 일이 아닌 듯하다.

다수가 약물과다복용 전에 직장을 가진 근로자였었다.

최근 통계청은 캐나다의 코로나 19라는 주제로 사회적 경제적 충격을 분석했다.

그 결과 캐나다 인구지도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는 분석이다.

75년 역사 동안 인구 성장률이 최저 수준인 0.4%를 기록했다.

수치로 볼 때 지난 1945년 이후 가장 낮고, 비중으로는 1916년 이후 가장 낮다는 것.

특히 2020년도 사망자는 역사상 처음으로 30만 명을 넘어섰다. 전년대비 7% 증가한 것.

덧붙여 이민자 수준도 최저를 기록했다. 당연히 향후 일자리 시장에 큰 타격을 줄 전망이다.

해외 이민자의 인구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은 2020년 58%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 2016년 이후 성장률의 ¾을 차지해왔다는 점을 비교할 때 큰 변화다.

실제 2020년 이민자는 18만 명을 조금 웃돌았다.

정부의 목표 34만 1000명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

덧붙여 1972년 이후 비영주권자 손실이 가장 컸다. 학생 비자와 워크 퍼밋 감소 탓이다.

다만 2021년에는 이민자 수치가 다시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밖에 팬데믹 속에서는 약물 과다복용 사망자 증가라는 충격적 사회적 이슈도 낳았다.

그런데  약물 과다복용을 경험하기 전 1년 동안을 보면, 해당 주민의 38%는 일자리가 있는 근로자였다.

남성의 43%는 일을 하고 있었고 여성 사이에서도 그 비중은 32%에 이른다.

그런데 이들 남성의 3명 가운데 1명은 건축에 종사했다. 또 이들 여성의 4명 가운데 1명은 숙박업이나

식품서비스업(Food Services)에 종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물론 다수의 약물 과다복용자는 사회복지 지원(Social Assistance)를 받는(52%) 상황이었다.

덧붙여 주목할 부분은 65세 이상 노인들의 과도한 죽음(Excess Mortality)도 약물과대복용 등에 관련돼 있다는 점이다.

실제 팬데믹 기간 캐나다에서는 사망자가 크게 늘었다.

2000년 3월~2021년 5월 사이 1만 9884건의 과도한 사망(Excess Deaths)가 기록됐다.

팬데믹이 없었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사망 사례가 5% 이상을 넘었다는 분석.

그런데 과도한 사망사례 가운데 35%는 65세 이상에서 나타났다.

코로나 19로 인한 약 7%의 사망과도 비교할 때 높은 비중이다.

즉 그만큼 과도한 사망사례가 의도하지 않은 약물중독(Poisonings and overdoses)로 기인했다는 평가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4 Page
RSS
캐나다 주택시장 “가격 정점은 아직까지…”
K밴쿠버
등록일 08.22 조회 2190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팬데믹을 살아가는 요즘. 캐나다 주택시장은 과거에 보이지 않았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듯합니다. 시장의 변화가 이전보…

트뤼도 정부 지지율 하락세…보수당과 ‘각축’
K밴쿠버
등록일 09.02 조회 2935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최근 연방 선거 양상이 초반 전망과 조금 다르게 흐르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선거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는 말…

렌트비 2022년에 최대 1.5% 인상 가능
K밴쿠버
등록일 09.11 조회 2843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 기간중 시행됐던 ‘렌트비 동결이 드디어 해제될 전망입니다. 주 정부는 최근 2022년 렌트비 인상 가이드라인을 발…

BC주택 시장 ‘거래 정상’속 리스팅 ‘가뭄’
K밴쿠버
등록일 09.18 조회 2632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주택 거래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한다지만 공급물량이 너무 부족한 실…

앨버타, 코로나 19로 ‘의료 체계 위기’로
K밴쿠버
등록일 09.29 조회 2841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BC주 인근 앨버타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의료…

캐나다 경제 회복기 스몰 비즈니스 경제 과제…부채와 디지털 변화
K밴쿠버
등록일 10.10 조회 3564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 경제는 회복하고 있습니다. 다만 속도에 차이가 생기기 마…

캐나다 집장만 여건, 전국 및 모든 주거형태 ‘악화’
K밴쿠버
등록일 10.17 조회 2422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전국적으로 집장만이 힘들지 않은 곳이 있을까요? 최근 RBC…

캐나다 내륙지역, 강우량 증가로 모기 개체 수 늘어
K밴쿠버
등록일 10.28 조회 2689 추천 0

뉴스 캐나다 뉴스입니다. 캐나다 내륙 지방이 수년에 걸친 강우량 증가로 모기의 개체수도 늘어났습니다. …

BC주택 시장은 요즘 ‘거꾸로 보는’ 수요-공급 곡선
K밴쿠버
등록일 11.15 조회 3068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최근 BC주택 시장은 역설적이지만 물량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더 부…

캐나다인 해외여행 급등세…팬데믹 전보다 ‘미미’
K밴쿠버
등록일 11.26 조회 2478 추천 0

뉴스 캐나다 해외여행 관련 뉴스입니다 백신 접종 확대로 팬데믹 상황이 조금씩 진정세를 보이는 …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K밴쿠버
등록일 12.07 조회 3935 추천 0

부동산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각 주 권역을 넘나드는 주민 이동이 강세…로컬 시장 영향” 전국 시장 95%에서 ‘셀러스 마켓’…밴쿠버 집값 5…

내년 집값 10.5%…”겨울시장 흔치 않게 활발”
K밴쿠버
등록일 12.26 조회 3542 추천 0

뉴스 내년 집값 10.5%…”겨울시장 흔치 않게 활발” 전국 스키 리조트 집값은 23.5% 뛰어…공급 부족에 광역 밴쿠버, 광역 토론토 주택 값 각각…

캐나다인 다수 장기 투자 혜택을 놓쳐”
K밴쿠버
등록일 01.15 조회 2622 추천 0

뉴스 “캐나다인 다수 장기 투자 혜택을 놓쳐” 과반, 비과세 저축 ‘현금’으로…29%도 ¾을 현금 투자에도 흐름이 있다. 캐나다인의 저축 방식도 마찬…

“BC주민, 휴대폰 스팸 전화 더 늘어난 듯”
K밴쿠버
등록일 01.29 조회 3382 추천 0

뉴스 “BC주민, 휴대폰 스팸 전화 더 늘어난 듯” 주민 절반 이상…2019년 9월 조사보다 15%p 더 늘어 연방 정부의 ‘전화 스팸’ 대응조치에 …

연방 소득세 변화, 하위 20% 가정에 영향
K밴쿠버
등록일 02.15 조회 1710 추천 0

뉴스 연방 소득세 변화, 하위 20% 가정에 영향 “자녀 있는 저소득 60% 더 높은 연방 개인소득세 부담” 각종 세금제도 변화는 모든 계층에 영향을…

고령화 사회 캐나다 고령자 혜택 연령 기준 올려야 할까…
K밴쿠버
등록일 02.28 조회 1394 추천 0

뉴스 고령화 사회 캐나다 고령자 혜택 연령 기준 올려야 할까… 22개 OECD국가중 16곳 인상 등…캐나다 제외 다양한 복지혜택으로 정평이 난 캐나다…

캐나다 올해 경제 성장 “이상 없을까”
K밴쿠버
등록일 03.15 조회 1218 추천 0

뉴스 캐나다 올해 경제 성장 “이상 없을까” 작년 연말 실질 성장률 0%...올해 전망에 ‘찬물’ 붓나 이전 6개월 연속 성장세 멈춰…1월 예비조사 …

전기차 인센티브 더욱 확대 전망…충전소도
K밴쿠버
등록일 04.01 조회 1362 추천 0

뉴스 전기차 인센티브 더욱 확대 전망…충전소도 연방 정부, 2030년 배출가스 감축 공식 플랜 발표 정부가 드디어 탄소 감축 계획을 발표했다. 장기 …

BC주와 캐나다 전국… 집값 내리막 시작됐나
Kvan
등록일 05.24 조회 1290 추천 0

부동산 전국 집값 전월비 0.6% 하락…BC주도 -2.7%로 전국 시장 절반 이상은 ‘균형’…셀러시장 줄어 전국적으로 주택 거래 상승세는 뚜렷한 하락세…

금리 인상에 내 집 마련 ‘한숨’… 모기지 대출 전략은
Kvan
등록일 08.22 조회 821 추천 0

인터뷰 내 집 마련을 계획하는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술렁거리고 있다. 대출 금리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어서다. 대출 금리 상승 속도는 올 들…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