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내년 식품 값 더 올라…4인 가족 연 1천불 더 지출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내년 식품 값 더 올라…4인 가족 연 1천불 더 지출
식품값 상승폭 5~7% 전망…2021년도 전망치 3~5% 보다 더 높아


전세계적 물가 인상 속에서 캐나다도 큰 영향을 받고 있다.

해마다 연말이면 내년도 식품 가격 전망을 내놓는 달호지 대학의 분석에서도 이 같은 경향이 그대로 반영됐다.

이래저래 서민 가정의 장바구니 물가는 더욱 무겁게 될 전망이다. 한마디로 4인 가정당 약 1000달러가 식품비용으로 더 지출된다.

먼저 달호지 대학의 분석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2022년도 식품 가격은 5~7%가 오를 전망이다. 베이커리가 5~7%, 낙농제품이 6~8%, 과일이 3~5%, 육류가 0~2%, 채소류가 5~7%, 해산물이 0~2% 등이다.

일반 식료품의 가격 상승은 자연스럽게 식당 이용 메뉴 가격 상승에도 연결된다.

식당에서도 식품 가격이 6~8%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전반적으로 2022년도 식품 가격은 5~7%가 오르게 된다.

올해 보고서는 지난해와 같은 접근 방법을 채택했다.

즉 개인 소비자들의 나이와 성별 등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 올해 전망에는 임신 여성과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의 변수를 추가했다”고 평가했다.

수치로 볼 때, 4인 가정을 기준, 남성과 여성의 연령이 각각 31~50세 범주에 있고, 남자 어린이가 14~18세, 여자 어린이가 9~13세라고 할 때 연간 지출되는 식품 비용은 최대 1만 4767달러에 이른다.

즉 2021년도에 지출된 연간 비용보다 966달러가 더 늘어나는 셈이다.

6인 가정을 기준으로 한다면 식품 지출 비용이 1만 9223달러가 된다.

여기에는 70세 이상 노인 한 명과, 3명의 자녀를 둔 부부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3인 가정을 기준으로 할 때, 여성(19~30세)과 남자 어린이(4~8세), 여자 어린이(9~13세) 가정이라면 2022년 예상되는 식품 지출 비용은 8741달러에 이른다.

각 주 별 식품 가격 전망을 보면, 2022년 다수의 지역이 상승 곡선을 그리게 된다.

해당 기준은 평균적 상승세를 근거로 할 때, 이보다 높으면 상승패턴, 낮으면 하락패턴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BC주와 인근 앨버타, 온타리오, 뉴 펀들랜드 앤 래브라도, 서스캐처원 등지는 상승세는 전국 평균 상승보다 더 높은 식품 가격 상승세를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반면 매니토바와 퀘벡, PEI, 노바 스코샤 등지에서는 하락 패턴을 보일 전망이다.

이밖에 달호지 대학에서 1년 전 내놓은 2021년 식품 가격 전망과 실제 올해 식품 가격 변화를 비교하면, 큰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기존 식품 가격 전망은 3~5%였고 실제 2021년 가격 변화는 3.9% 상승세였다. 만약 식당 식품 가격을 제외한다면 상승세는 4.2%가 된다.

남성과 여성 연령대별 식품 지출을 보면, 주요 경제 연령대인 31~50세를 기준, 남성은 2021년 실제 연간 3532달러를, 여성은 3169달러의 식품 비용을 지출했다.

70세 이상 고령층을 보면, 남성이 3297달러, 여성이 2968달러 등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929 / 24 Page
RSS
가계재정 코로나 이전보다 열악 식품비는 더늘어나
K밴쿠버
등록일 03.19 조회 2606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비싼 곳은 BC주입니다. 그렇지만 최근 1년 넘게 지속된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주민 3명 가운데…

프레이저밸리 “바이어, 셀러보다 많아…리스팅 40년래 최저”
K밴쿠버
등록일 08.07 조회 2608 추천 0

뉴스 프레이저 밸리 7월 부동산분석입니다. “주택 거래는 꾸준했습니다. 그렇지만 공급은 지난 40년래 …

투기세 및 빈집세 어디에서 제일 많이 냈나…
K밴쿠버
등록일 01.28 조회 2617 추천 0

뉴스 투기세 및 빈집세 어디에서 제일 많이 냈나… 밴쿠버, 리치먼드, 버나비, 코퀴틀람, 웨밴 등의 순 BC주에서는 투기세와 빈집세가 순차적으로 시행…

밴쿠버, 주거지 밤샘 주차에 주차비 징수 추진
K밴쿠버
등록일 10.08 조회 2619 추천 0

뉴스 밴쿠버 로컬뉴스입니다. 최근 밴쿠버 시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차 프로그램’이 큰 주목을…

밴쿠버, 토론토 '다세대주택'이 신규 착공 주도해
K밴쿠버
등록일 08.01 조회 2619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경제가 본격 회복하면서 주택 착공도 꾸준한 오름세를 유지…

BC주 신규 공급 주택 절반 이상 ‘콘도’, ‘아파트’
K밴쿠버
등록일 09.24 조회 2621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요 주택 시장의 특징을 보여주는 자료가 최근 나왔습니다…

캐나다 ‘증오범죄’ BC주 인구비중 ‘최다’
K밴쿠버
등록일 04.02 조회 2624 추천 0

뉴스 캐나다 뉴스입니다. 캐나다에서도 팬데믹 기간 중 아시아인에 대한 증오범죄 …

토론토 주택시장 과열 평균집값 110만불 거래 97% 폭등
K밴쿠버
등록일 04.13 조회 2624 추천 0

뉴스 토론토 부동산뉴스입니다. 광역토론토 주택시장이 코로나 백신 접종에 따른 경…

BC주 홍수로 2주간 ‘비상사태’ 선언까지…
K밴쿠버
등록일 11.18 조회 2626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주 정부가 ‘비상사태’를 긴급하게 선언했습니다. 해마다 이맘때가 홍수 시즌이라고…

향후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예측하려면…
K밴쿠버
등록일 10.02 조회 2627 추천 0

뉴스 광역 밴쿠버 부동산뉴스입니다. 최근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은 전국 다른 곳과는 다른 움직임을 보입니…

온라인 수강 졸업자도 워크퍼밋 신청가능
K밴쿠버
등록일 02.27 조회 2628 추천 0

뉴스 안녕하십니까? 연방정부가 워크퍼밋 관련 뉴스를 발표했습니다. 캐나다에서 공부하는 대학생들에게 졸업후 정착을 위한 길이 좀더 유연해지게 됐습니다.…

삼성전자, 인텔 제치고 세계1위 반도체업체 등극
K밴쿠버
등록일 08.02 조회 2628 추천 0

뉴스 글로벌 뉴스입니다. 매출액 기준으로 삼성전자가 인텔을 추월, 세계1위 반도체 기업에 등극…

캐나다 모기지 연체율 하락세 노인들 연체 더많아
K밴쿠버
등록일 04.17 조회 2630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역시 모기지는 캐나다 소비자들이 보유한 부채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록 팬데믹이라지만 진정될 기미는 전혀 보이지 …

영상제작 사용법 설명입니다.
관리자
등록일 01.24 조회 2633 추천 0

공지 라인별 이미지 추가 예제입니다. 위에서 이미지 추가한 것을 배경이미지로 사용합니다. /img|https://images.unsplash.com/…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택, 차량관련 ‘빠른 상승세’
K밴쿠버
등록일 11.12 조회 2634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이 아직 끝나지도 않았지만 인플레이션은 국내를 너머 전세계적 이슈가…

상업용 렌트비 밴쿠버 ‘상승’ 토론토 ‘하락’
K밴쿠버
등록일 03.14 조회 2635 추천 0

뉴스 통게청이 발표한 렌트비 관련뉴스입니다. 부동산 시세가 꾸준하게 오르면 예외적 상황을 제외하고 렌트비가 내리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캐나다처…

온타리오주, 향후 10년 동안 100만채 신규주택 필요
K밴쿠버
등록일 10.19 조회 2637 추천 0

뉴스 온타리오 부동산뉴스입니다. 온타리오주에 향후 10년 동안 100만 채의 신규주택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습…

유럽연합 역내 코로나백신 사용량 급증전망
K밴쿠버
등록일 03.11 조회 2639 추천 0

뉴스 글로벌 뉴스입니다. 유럽연합 행정부 수반 격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이 다음달부터 EU에서 사용가능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이 많이 …

금융권도 팬데믹영향 이자율 하락후 5년고정금리 선호49%
K밴쿠버
등록일 02.24 조회 2641 추천 0

뉴스 안녕하세요? 이자율 관련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 전국 금융권도 팬데믹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금융권은 여전히 역사적으로 낮은 저금리 시대를 이…

캐나다 내륙지역, 강우량 증가로 모기 개체 수 늘어
K밴쿠버
등록일 10.28 조회 2643 추천 0

뉴스 캐나다 뉴스입니다. 캐나다 내륙 지방이 수년에 걸친 강우량 증가로 모기의 개체수도 늘어났습니다. …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