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일자리 ‘팬데믹 이전 수준’ 근접…실업률도 회복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일자리 ‘팬데믹 이전 수준’ 근접…실업률도 회복

전국 실업률 6%...노동시간 0.7% 늘어 팬데믹 이전으로
“5년내 정착 최신 이민자 고용률엔 큰 변화 없는 71.3%”

전국적으로 일자리가 크게 늘었다.

동시에 실업률은 떨어지면서 팬데믹 이전 수준에 거의 근접한 것으로 파악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11월 기준, 전국 일자리는 8% 늘어난 154만 개가 증가했다.

팬데믹이 발생하기 전인 2020년 2월 수준과 비교할 대도 18만 6000개(1%) 정도 많은 수준이다.

실업률은 6%로 떨어지면서 이맘때와 비교할 때 격차가 0.3%p 수준으로 줄었다.

일자리는 서비스 제공 및 상품 생산 분야 모두에서 늘었다.

풀타임 일자리는 8만개(0.5%), 파트타임은 7만 4000개(2.1%) 증가했다.

전국 6개 분야에서 일자리가 늘어난 것. 노동 시간도 0.7% 늘어나면서 처음으로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다.

가장 늘어난 분야는 생산 및 도소매와 건축이다.

팬데믹 이전보다 서비스 분야는 1.3%를 늘었다.

전문 과학 서비스 및 기술 서비스 분야는 무려 12.5%가 늘었다.

핵심 연령대(25~54세) 여성의 일자리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10명 가운데 8명이 고용, 지난 197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 됐다.

핵심연령대 일자리가 6만 6000개(1.1%) 늘었다.

이 가운데 풀타임 일자리는 4만 7000개(0.9%) 늘었다.

핵심 연령대 남성의 경우에는 일자리 상승률이 4만 8000개(0.7%)에 불과했다.

대부분 풀타임 일자리 증가였다. 55세 이상 여성 사이에서도 일자리는 1만 9000개(1.1%) 늘었다.

이 보고서는 “젊은 여성과 파타임 일자리 상승세는 풀타임 손실로 상쇄됐다”고 평가했다.

15~24세 젊은 여성 사이 일자리 증가율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파트타임이 4만 3000개 늘었지만 풀타임이 3만개 줄어들면서 상쇄된 탓이다.

15~19세의 청소년 사이 일자리는 1만 8000개(2%)가 늘었다.

결과적으로 젊은 여성 사이 일자리와 고용은 지난 2020년 2월 수준을 보이고 있다.

흑인 캐나다인 사이에서 일자리가 가장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3% 증가율이다. 반면 필리핀계 캐나다인 사이에서 증가율은 1.9%p 늘어난 78.3%였다.

원주민이 아니고 소수민족이 아닌 계층의 일자리 증가율은 0.3%p 오른 71.2%로 나타났다.

최근 이민자 사이(정착 5년 이내) 일자리는 11월 기준, 크게 변하지 않은 71.3%였다.

다만 지난 2019년 11월과 비교할 때는 6.5%p 정도 높았다.

캐나다에 정착한 지 5년 이상이 지난 주민의 경우에는 고용률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

캐나다 출생자들의 경우에는 지난 2019년 11월보다 1.6%p 줄어든 60.9%로 나타났다.

RBC 이코노믹스는 이와 관련,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는 팬데믹이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글로벌 공급 체인 붕괴와 비용 상승은 여전히 기업들에게 힘든 과제가 되고 있다”면서 “하지만 이 같은 도전 속에서도 노동력 부족은 앞으로도 강화될 수 있다.

이는 또 채용 수요 증가로 인해 앞으로 고용 상승세를 웃도는 임금 상승 흐름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알려준다”고 분석했다. <사진=RBC 이코노믹스 제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9 Page
RSS
캐나다 전국 가계 대출 다시 오름세 모기지 대출이 ‘원인’…비모기지는 “제자리 걸음”
K밴쿠버
등록일 12.27 조회 2973 추천 0

뉴스 캐나다 전국 가계 대출 다시 오름세 모기지 대출이 ‘원인’…비모기지는 “제자리 걸음” 민간, 비금융권 통해서도 모기지 대출은 늘어나 전국 캐나다…

“단독주택은 물론 콘도까지 집장만 여건 부담 커져”
K밴쿠버
등록일 12.27 조회 2427 추천 0

뉴스 “단독주택은 물론 콘도까지 집장만 여건 부담 커져” 전국, 주택어포더빌리티 31년래 최악…3분기에 47.5% 기록 전국적으로 홈바이어들이 더 높…

전국 대도시 집값 상승세 재개…”겨울 활발할 듯”
K밴쿠버
등록일 12.26 조회 3659 추천 0

뉴스 전국 대도시 집값 상승세 재개…”겨울 활발할 듯” “내년도 이자율 상승 전 낮은 이자율 활용 의중도…” “전국 도시의 주택 가격이 다시 오름세를…

내년 집값 10.5%…”겨울시장 흔치 않게 활발”
K밴쿠버
등록일 12.26 조회 3534 추천 0

뉴스 내년 집값 10.5%…”겨울시장 흔치 않게 활발” 전국 스키 리조트 집값은 23.5% 뛰어…공급 부족에 광역 밴쿠버, 광역 토론토 주택 값 각각…

‘록다운’ 우려 커…주민 절반 이상은 ‘찬성’
K밴쿠버
등록일 12.24 조회 2726 추천 0

뉴스 ‘록다운’ 우려 커…주민 절반 이상은 ‘찬성’ 지지의견, 퀘벡 62%, BC주 61% 높고…온타리오 53% 캐나다 전국적으로 다시 록다운(Loc…

BC주 물류 수급에 ‘숨통’…코퀴할라 개통
K밴쿠버
등록일 12.22 조회 2340 추천 0

뉴스 BC주 물류 수급에 ‘숨통’…코퀴할라 개통 호프~메리트 구간…상업용 필수 차량 등 대상 BC주 물류 공급 망에 드디어 숨통이 트였다. 주 로어 …

캐나다 중앙은행 인플레이션 2% 목표 의미는…
K밴쿠버
등록일 12.20 조회 2187 추천 0

뉴스 캐나다 중앙은행 인플레이션 2% 목표 의미는… 향후 5년간…전체 물가지수 기준 1~3% 융통성 발휘 일자리 안정 관련…”낮은 이자율 좀더 오래 …

“2021년 올해 집값 뜨거운 마무리 전망…”
K밴쿠버
등록일 12.19 조회 2438 추천 0

뉴스 “2021년 올해 집값 뜨거운 마무리 전망…” 전국적으로 신규 리스팅 줄어…대도시 집값 ‘동반 상승’ 캐나다는 아직 팬데믹이 한장이지만 전국적으…

캐나다 물가상승 계속…식료품 가격 ‘우려’
K밴쿠버
등록일 12.19 조회 2918 추천 0

뉴스 캐나다 물가상승 계속…식료품 가격 ‘우려’ 개스값 43.5%, 가구류 8.7%, 식품 4.4% 등 상승세 주도 “8개 주요 분야 모두 상승…의류…

내년 식품 값 더 올라…4인 가족 연 1천불 더 지출
K밴쿠버
등록일 12.18 조회 2685 추천 0

뉴스 내년 식품 값 더 올라…4인 가족 연 1천불 더 지출 식품값 상승폭 5~7% 전망…2021년도 전망치 3~5% 보다 더 높아 전세계적 물가 인상…

소기업들, 인력난에 ‘임금인상’도 “글쎄”…
K밴쿠버
등록일 12.18 조회 2267 추천 0

뉴스 소기업들, 인력난에 ‘임금인상’도 “글쎄”… 팬데믹중 다른 직종 이전…”아예 지원자도 없기도” 전국의 영세기업들이 팬데믹 회복에 큰 어려움을 겪…

소기업들, 인력난에 ‘임금인상’도 “글쎄”…
K밴쿠버
등록일 12.14 조회 2069 추천 0

뉴스 소기업들, 인력난에 ‘임금인상’도 “글쎄”… 팬데믹중 다른 직종 이전…”아예 지원자도 없기도” 전국의 영세기업들이 팬데믹 회복에 큰 어려움을 겪…

캐나다 이민자 소득은… 경제이민자, 정착 1년후 소득 캐나다 평균 12% 이상
K밴쿠버
등록일 12.13 조회 2042 추천 0

뉴스 캐나다 이민자 소득은… 경제이민자, 정착 1년후 소득 캐나다 평균 12% 이상 가족 스폰 받은 이민자 “큰 변화 없어”…난민은 낮아 캐나다에는 …

캐나다 금리 인상 내년 중반 가능 전망
K밴쿠버
등록일 12.12 조회 2578 추천 0

뉴스 캐나다 금리 인상 내년 중반 가능 전망 BoC, 기준금리 0.25% 유지…”경제회복위한 지원 등” 캐나다 기준금리가 다시 동결됐다. 수많은 전문…

“팬데믹에 캐나다 북부 집장만 여건 더 힘들어져”
K밴쿠버
등록일 12.11 조회 2176 추천 0

뉴스 “팬데믹에 캐나다 북부 집장만 여건 더 힘들어져” 건축비용 상승이 한 몫해…옐로우나이프 집값, 거래 최고치 이콸루이트 24세 이하 젊은 층 80…

“인플레이션 일시적 현상 아닐 수도…”
K밴쿠버
등록일 12.10 조회 3981 추천 0

뉴스 “인플레이션 일시적 현상 아닐 수도…” 캐나다를 포함한 전세계 경제가 인플레이션을 걱정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한 연구소는 캐나다의 인플레이션이…

일자리 ‘팬데믹 이전 수준’ 근접…실업률도 회복
K밴쿠버
등록일 12.09 조회 3026 추천 0

뉴스 일자리 ‘팬데믹 이전 수준’ 근접…실업률도 회복 전국 실업률 6%...노동시간 0.7% 늘어 팬데믹 이전으로 “5년내 정착 최신 이민자 고용률엔…

캐나다인, ‘오미크론’ 등장에 ‘감염 가능성’ 커져 우려
K밴쿠버
등록일 12.08 조회 2322 추천 0

뉴스 캐나다인, ‘오미크론’ 등장에 ‘감염 가능성’ 커져 우려 55세 이상은 66%, 35~54세는 54%, 18~34세 51% 등으로 새로운 변이 …

‘오미크론’에 미국 방문 더 까다로워져
K밴쿠버
등록일 12.07 조회 3514 추천 0

뉴스 ‘오미크론’에 미국 방문 더 까다로워져 탑승 24시간 전 코로나 19 음성 확인 검사받아야 요즘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주민들은 시시각각 바뀌는 각…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K밴쿠버
등록일 12.07 조회 3919 추천 0

부동산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각 주 권역을 넘나드는 주민 이동이 강세…로컬 시장 영향” 전국 시장 95%에서 ‘셀러스 마켓’…밴쿠버 집값 5…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