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최신 이민자 홈오너 비중 ‘뚝’…전국은 73%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pixaimage|home market|35|10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 시장 분석에서 이민자들의 특징적 행보는 여러 측면에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홈오너만 기준으로 할 때, 이민자들 소유 주택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높다는 평가입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많은 이민자들이 주택이 필요한 계층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또 통계청의 최근 주택 경험 분석에서는 노년층 렌트 거주민들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주택에 사는 것으로 파악, 우려가 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주민 9%는 2018년 기준으로 주택 필요 핵심 계층으로 분류됩니다.

물론 여기에는 자신의 주택 거주자 5%와 렌트 거주민 19%로 각각 구분됩니다.

여기에서 주택 필요 핵심 계층이란 일명 부적합한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일컫습니다.

즉 주택이 가족구성원의 수를 충족하지 못할 정도로 방이 부족하거나 수리가 필요할 때, 세금공제 이전 소득의 30% 이상을 주거비로 지출할 경우에 부적합으로 평가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최근 캐나다 이민자들의 경우에는 그 비중이 20%나 됐습니다.

캐나다 전체 인구 대비 9%의 주택 필요 핵심 계층보다 3배 이상 많은 수준입니다.

주요 요인은 최근 이민자들이 정착하는 지역이 주거비가 비싼 도시여서 이곳 주택 필요 핵심 계층이 18%로 비중이 높은 탓입니다.

결과적으로 이에 따른 영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될 수 밖에 없습니다.

다른 연구 결과를 볼 때, 캐나다에 이미 정착한 이민자들의 경우에는 캐나다 태생 주민들보다 모기지 부채 규모가 더 큽니다.

즉 더 큰 부채를 안고 있는 것입니다.

또 다른 위기 계층은 바로 노년층 렌트 주민들입니다.

한마디로 감당할 수 없는 주거지에 살고 있는 가능성이 더 컸습니다.

지난 2018년 데이터를 기준, 캐나다 주민의 18%는 30% 이상의 소득을 주거비로 지출했습니다.

물론 홈오너와 렌트 주민들에게 똑 같은 것은 아닙니다.

렌트 주민들의 경우에는 26%로, 홈오너의 15%보다 그 비중이 11%p나 더 높았습니다.

그런데 노년층 렌트 주민들의 경우에는 감당할 수 없는 주택에 거주하는 비중이 무려 41%나 됐습니다.

반면 노년층 홈오너의 경우에는 그 비중이 11%로 크게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노년층은 홈오너와 렌트 주민 사이 간극이 컸습니다.

노인 중에서도 아직 모기지를 가진 계층에서는 그 비중이 29%로, 모기지를 다 갚은 그룹의 4%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 보고서는 가구당 소득 가운데 주택에 지출되는 돈의 비중은 식품이나 의약품, 레크리에이션 활동과 저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쇄적 충격을 주게 된다고 의미를 뒀습니다.

이밖에 조사 결과, 최근 이민자, 흑인과 성소수자등은 자신들이 소유한 주택에 거주하는 비중이 적었습니다.

전국적으로 캐나다 주민 4명 가운데 3명꼴(73%)은 가족 구성원이 소유한 집에서 살고 있습니다.

노년층은 78%로 높은 편입니다.

그런데 중국계 주민들의 경우에는 그 비중이 85%로 매우 높았습니다.

반면 최신 이민자들 사이에 그 비중은 44%, 흑인 인구 사이에서는 48%로, 성소수자들은 47%로 크게 낮았습니다.

남아시아계 주민들은 74% 등입니다.

한편 캐나다 주민의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는 82%로 크게 높았습니다.

자신의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 사이에서는 무려 87%나 됩니다.

렌트 주민들은 반면 69%로 조금 낮은 편이었습니다.

이 같은 비중은 최신 이민자 사이 63%, 흑인 인구 69% 등으로 낮았습니다.

반면 중국계 주민은 74%, 남 아시아계 주민은 75%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과거 노숙자를 경험했던 가정의 경우에는 주거지에 대한 만족도가 64%로 훨씬 낮았습니다.

이상 캐나다 부동산뉴스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밴쿠버  KoreanREW.com

#캐나다 #부동산 #통계청 #이민자 #렌트 #노숙자 #주택가격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6 Page
RSS
‘록다운’ 우려 커…주민 절반 이상은 ‘찬성’
K밴쿠버
등록일 12.24 조회 2737 추천 0

뉴스 ‘록다운’ 우려 커…주민 절반 이상은 ‘찬성’ 지지의견, 퀘벡 62%, BC주 61% 높고…온타리오 53% 캐나다 전국적으로 다시 록다운(Loc…

캐나다 환자 대기시간 “역대 최장 기록”
K밴쿠버
등록일 01.14 조회 2019 추천 0

뉴스 캐나다 환자 대기시간 “역대 최장 기록” 작년에 25.6주로 2020년의 22.6주보다 더 지연 전국적으로 팬데믹에 각 주마다 각종 수술이 연기…

캐나다 팬데믹 저축액 다수 부유층이 보유
K밴쿠버
등록일 01.29 조회 2458 추천 0

뉴스 캐나다 팬데믹 저축액 다수 부유층이 보유 전국 가정 389억불 저축…평균 2462불, 상위권 1만 4천불 팬데믹 기간중 캐나다 금융계에서 가장 …

‘백신 의무 반대’ 트럭 시위대 반대 의견 62% 커
K밴쿠버
등록일 02.15 조회 1437 추천 0

뉴스 ‘백신 의무 반대’ 트럭 시위대 반대 의견 62% 커 찬성은 BC주 25%로 가장 낮고 앨버타 40%로 최다 캐나다 수도를 포함한 전국에서 트럭…

캐나다 소매매출 ‘주춤’ 의류, 액세서리, 가구, 주택 관련 소매점포에서
K밴쿠버
등록일 02.26 조회 1375 추천 0

뉴스 캐나다 소매매출 ‘주춤’ 의류, 액세서리, 가구, 주택 관련 소매점포에서 전국적으로 소매매출이 조금 주춤한 시기였다. 소매매출 가운데에서도 식음…

캐나다 신규 모기지 대출 ‘급락’
K밴쿠버
등록일 03.15 조회 1440 추천 0

뉴스 캐나다 신규 모기지 대출 ‘급락’ 전년대비 건수 8.1% 하락…모기지 금액은 10.1% 늘어 “팬데믹 후 첫 분기별 대비 대출금 줄어…안정화 징…

“모기지 할인이자율 현 2%대에서 내년말 4%로”
K밴쿠버
등록일 03.28 조회 1335 추천 0

뉴스 “모기지 할인이자율 현 2%대에서 내년말 4%로” 높은 인플레이션 좀더 유지…프라임 2.7%에서 내년 3.95%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

“젊은 층, 캐나다 도시에서 더 이상 살 수 없어…”
관리자
등록일 05.19 조회 1300 추천 0

부동산 임금, 풀타임 일자리, 남녀 임금 차이, 기술 개발 등 ‘장벽’ 도시 거주 젊은 층 월 750달러 적자… "풀타임도 힘들어” 요즘 정부의 각종 …

달러·원 환율, 장중 1034원 돌파…근 10년래 최고
Kvan
등록일 08.22 조회 1019 추천 0

뉴스 “원화 가치 하락에 따른 상승” 캐나다 달러당 원화 환율이 22일 장중 1,030원선을 돌파했다. 이날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캐나다달러·원 환…

“고작 주차장이…” 억 소리나는 부동산값
관리자
등록일 10.10 조회 397 추천 0

부동산 휘슬러 주차 공간 19만5000달러에 팔려 사진: Realtor.ca 스키 시즌에 관광객들로 붐비는 휘슬러의 한 리조트 내 주차공간이 최근 지역…

제13기 한국문예창작대학 수료식 개최
Kvan
등록일 05.02 조회 131 추천 0

커뮤니티 캐나다 한국문협(회장 하태린)이 주관한 제13기 한국문예창작대학 수료식이 지난 4월 29일 월요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버나비 에드먼즈 리…

캐나다 코로나부채 ‘산더미’ 65% 폭증!
K밴쿠버
등록일 02.13 조회 2468 추천 0

뉴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전세계적 팬데믹 속에서 각 국가의 부채는 늘어나고 있습니다. 캐나다도 예외는 아닙니다. 나라의 빚이…

토론토 약국직원 낮에는 프론트라인 밤에는 노숙생활
K밴쿠버
등록일 02.25 조회 2492 추천 0

뉴스 토론토에서 약국직원이 노숙자 생활을하는 사연을 소개합니다. 팬데믹이 닥치기 직전에 한 프론트라인 직원이 노숙자가 되었습니다. 그는 여전히 자신의…

특급강세 캐나다 주택시장 위험요소 상존
K밴쿠버
등록일 03.05 조회 2519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 시장이 2021년 시작부터 뜨거운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주택 시장은 호황을 누리고…

기준금리 인상시 변동과 고정중 어느쪽이 유리할까?
K밴쿠버
등록일 03.18 조회 4300 추천 0

부동산 이자율 관련 경제뉴스입니다. 요즘처럼 이자율이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한 적도 없습니다. 캐나다 중앙은행도 한동안 기준금리를 낮게 유지한다고…

전국 주택시장 잇따라 ‘기록행진’ 재고 역대최저
K밴쿠버
등록일 03.26 조회 2946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이 또 다시 기록을 세웠습니다.” 전국 주택시장이 잇따라 기록행진을 보이면서 팬데믹 속에서도 부동산 시…

캐나다 신규이민 올해 40만명 확대키로!
K밴쿠버
등록일 04.05 조회 3156 추천 0

유학이민 캐나다이민국 발표뉴스입니다. 캐나다 정부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경제를 되살리…

연방정부 지원 에어캐나다 요금 환불도
K밴쿠버
등록일 04.15 조회 4237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 연방정부가 항공업계 지원에 나섰습니다. 여기에는 그동안 취소된 항공요금에 대한 환불 계획도 포함돼 있습니다. 덧붙…

백신효과 얼마나 지속되나 6개월? 1년? 2년?
K밴쿠버
등록일 04.24 조회 4116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관련 소식입니다. 코로나 백신효과의 지속은 중요한 사항이지만 아직 분명하게 나온 자료는 없습니다.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

BC주민 3개월 유동자산 보유 비중 커
K밴쿠버
등록일 05.06 조회 5642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자산의 탄력성[asset resilient|]은 최소한 세금 공제한 이후 3개월 동안의 유동 자산을 보유한 경우를 일컫습…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