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BC주택시장 ‘냉각 기간’ 의미와 시장 파장은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pixaimage|home coffee|35|10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주 정부가 최근 홈 바이어 보호를 위한 ‘냉각 기간’ 안건을 공식적으로 내놓았습니다.

게다가 관련 법안을 2022년 봄에 내놓겠다는 것입니다.

잠재적 홈바이어는 물론 셀러 입장에서도 향후 정책 변화가 가져올 시장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이 가운데 BC부동산협회는 최근 냉각 기간에 대한 개념을 부동산 중개인에게 설명하기 위한 자료를 내놓았습니다.

정책 분석가인 매트 메이어스 씨의 분석입니다.

특히 이 자료는 BC부동산협회 측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 일반인도 접할 수 있는 만큼, 시장 관계자외 잠재적 홈바이어와 홈셀러 모두에게 참고가 돼 지면을 통해 소개합니다.

즉 “냉각기간이 무엇이고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라는 질문이 핵심입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냉각기간은 바이어들이 구매 계약을 맺었지만, 오퍼가 채택됐더라도 특정 기간 동안 계약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것입니다.

냉각기간이 없다면 바이어들은 만약 계약서에 명시된 이유가 아닌 요인 때문에 계약을 철회한다고 할 때는 셀러와 협상을 하고 상당한 재정적 부담과 법적 책임을 떠안아야 합니다.

또 협회 측 보고서는 BC주 정부의 발표 내용 중에서도 “냉각기간이 바이어에게 적용된다는 점을 유심히 살펴야 한다."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즉 셀러에게 적용된다는 언급이 없다는 점입니다.

이 보고서는 “BC주는 이미 프리세일 개발에 대해 의무적인 냉각 기간이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건축단계에 있는 스트라타 부동산 바이어들은 구매 계약에 서명한 이후 사본과 공시 명세서를 받았을 때로부터 7일 동안의 기간을 가지고 계약을 철회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즉 신규 분양에 적용되고 있는 개념이 기존 물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전망이 가능합니다.

비록 BC주가 냉각기간을 모든 주거용 부동산 거래에 적용하는 전국 첫 정부가 되겠지만 다른 국가들의 사례도 들여다 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호주의 경우에는 대부분 주에서 각자마다의 냉각기간을 두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냉각기간을 시행한 주에서는 해당 기간이 평일 기준2~5일 범위입니다.

그렇지만 의무적 냉각기간 면제 요건도 있습니다.

즉 여기에는 주택이 옥션으로 거래될 경우, 또는 바이어가 냉각기간을 철회할 경우입니다.

다른 주에서는 냉각기간 동안 계약을 철회할 경우에는 페널티도 없습니다.

그렇지만 어떤 곳에서는 100달러에서 구매가격의 최대 0.25%까지 적용한 곳도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BC주에 0.25% 페널티 규정이 적용된다면 관내 평균 MLS 가격이 91만 3000달러라는 점을 고려할 때, 해당 금액은 2282.5 벌금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협회 연구진은 “기존 연구들은 냉각기간이 소비자들의 결정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라고 밝혔습니다.

디킨 대학의 연구에 의하면 60명의 소비자들이 48시간 냉각기간에 직면했을 때, 어느 누구도 좀더 나은 대안에 직면했더라도 결정을 바꾸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같은 결과 이면에는 ‘손실 회피’가 작용하고 있다는 풀입니다.

예를 들어 100달러 손실을 볼 수 있다는 걱정이 100달러를 딸 수 있다는 희망보다 더 클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로서는 부동산 관련 규제당국인 [BCFSA|비시에프에스에이] 측이 관계자들과 협의를 거치고 있습니다.

여기에 주 재무부 장관은 블라인드 입찰과 가격 미끼, 무조건 오퍼 관련 위험성, 주택 인스펙션, 재정조달, 다른 조건 등에 대한 소비자 보호를 위한 자문도 요구한 상태입니다.

블라인드 입찰의 경우에는 최근 연방 총선에서도 등장했던 정책으로 주택 구매 희망자들이 입찰할 때 다른 입찰 가격을 알지 못해, 맹목적 경쟁이 초래되는 시스템입니다.

이상 BC주 부동산뉴스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밴쿠버  KoreanREW.com

#캐나다 #BC #홈바이어 #부동산협회 #주택거래 #냉각기간 #계약서 #규제회피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930 / 19 Page
RSS
BC ‘비상사태’ 12월 14일까지 연장…30리터 제한
K밴쿠버
등록일 12.01 조회 4040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 비상사태가 다시 연장되어 오는 12월 14일까지 이어집니다. 여전히 주유…

홍미숙 스테이징 “샐리의 요술 지팡이”
K밴쿠버
등록일 11.30 조회 3483 추천 0

부동산 주택 홈스테이징 관련 내용입니다. 어렸을 적 즐겨보던 TV 만화영화 중에 ‘요술공주 샐리’…

캐나다 모기지 트렌드, “미보험 모기지 성장률, 보험모기지 앞질러”
K밴쿠버
등록일 11.29 조회 2725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모기지 트렌드를 알 수 있는 ‘모기지 데이터’가 최근 나…

캐나다 물가 상승세 “2022년초까지 이어져…”
K밴쿠버
등록일 11.28 조회 3076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의 가파른 물가 상승세는 더 이상 새로운 뉴스가 아닙니다…

최신 이민자 홈오너 비중 ‘뚝’…전국은 73%
K밴쿠버
등록일 11.28 조회 3041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 시장 분석에서 이민자들의 특징적 행보는 여러 측면에서 …

“스몰 기업, 전망 밝지만 팬데믹 후 새 도전 과제도…”
K밴쿠버
등록일 11.27 조회 2407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스몰기업들이 팬데믹 규제가 조금씩 완화되면서 숨통이 트이는 듯합니다. …

BC주, 전국 첫 ‘유급병가 휴가 5일’ 법제화
K밴쿠버
등록일 11.27 조회 3294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에서도 노동자들의 유급 병가 휴가가 법적으로 보장될 전망입니다. 노조에 가입된 노동자들이 연중 특정 일자를 유급휴가…

밴쿠버, 전국 주요 도시중 유일하게 착공 늘어
K밴쿠버
등록일 11.26 조회 3634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전국적으로 신규 주택 착공이 하락곡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캐나다인 해외여행 급등세…팬데믹 전보다 ‘미미’
K밴쿠버
등록일 11.26 조회 2442 추천 0

뉴스 캐나다 해외여행 관련 뉴스입니다 백신 접종 확대로 팬데믹 상황이 조금씩 진정세를 보이는 …

BC, 어린이 5세 - 11세 백신 접종 추진 박차
K밴쿠버
등록일 11.25 조회 2961 추천 0

뉴스 BC주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캐나다 보건당국의 어린이용 코로나19 백신 사용이 승…

가상화폐, 로맨틱 사기 행각 ‘활발’ 주의
K밴쿠버
등록일 11.25 조회 2801 추천 0

뉴스 pixaimage|cheat|17|10 BC주 로컬뉴스입니다. 각종 사기행각에는 사실 연중 특별한 시즌이 없는 듯합니다. 그렇지만 연말이 다가오…

BC주, 홍수 피난 가정에 2000달러 등 제공
K밴쿠버
등록일 11.24 조회 2377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 정부가 최근 폭우와 홍수 피해를 당한 주민들 지원에 나서기로 했습니…

폭우 후폭풍…로히드 하이웨이 7 도로체증 커
K밴쿠버
등록일 11.24 조회 3724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에 여행제한과 연료배급제가 실시되고 있습니다. 팬데믹이 아니라 최근 호우로 인한 피해가 컸기 때문입니다. 주요 도로…

홍미숙 홈스테이징, 전등과 조명
K밴쿠버
등록일 11.22 조회 2711 추천 0

부동산 주택 홈스테이징 관련 정보입니다. 실내 분위기를 바꾸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가장 쉽게…

캐나다 주택시장 거래량 “작년 실적 이미 갈아치워”
K밴쿠버
등록일 11.21 조회 3044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전국 주택 거래가 가을철을 맞아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습니다. 다만…

부용산용어 principal note - progress payment
K밴쿠버
등록일 11.21 조회 2488 추천 0

용어설명 부동산용어 principal note 에서 progress payments 까지 |princ…

캐나다 고소득층 소득 “많을수록 더 빨리 늘어
K밴쿠버
등록일 11.20 조회 2563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의 최상위 고소득층은 어느 정도 소득을 올릴까요? 상…

팬데믹 중에서도 ‘코로나 19 사기’ 극성
K밴쿠버
등록일 11.20 조회 2148 추천 0

뉴스 캐나다 코로나19 사기 피해 뉴스입니다. 팬데믹 속에서도 신용사기 스팸과 일반 사기는 멈추지 않는 듯합…

홈바이어들, 기존 인벤토리 더 깊게 파고들어
K밴쿠버
등록일 11.19 조회 3852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의 인벤토리 부족은 전국적인 현상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한 …

물가 상승률 18년래 최고치…4.7%로 더 올라
K밴쿠버
등록일 11.19 조회 3500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또 다시 심상치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국적…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