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최신 캐나다 모기지 트렌드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pixavideo|loan|19|10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 중에도 캐나다 주택시장은 오히려 뜨거운 열기를 보였습니다.

소비자들 부채도 늘어나면서 일각에서는 향후 빚을 갚지 못하는 가계 부채 부담을 우려했습니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모기지 체납’ 현황은 오히려 지난 30년래 가장 낮은 수준을 보여,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향후 이자율 상승 시기에도 이 같은 패턴이 유지될지도 관심 대상입니다.

최근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CMHC)는 주거용 모기지에 대한 신규 보고서를 내놓으면서 “30년래 가장 낮은 연체율”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주요 발표 내용을 보면, 모기지 시장에서 시중은행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79%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신용조합 등의 비중은 14%, 모기지 대출 회사와 보험 및 신탁 회사의 비중은 5%, 모기지 투자회사의 비중은 2%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캐나다 전국 소비자들이 안고 있는 평균 모기지 금액은 은행권의 경우 25만 8410달러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보유중인 모기지의 이자율은 1.6%~5.1%로 다양한 범위를 보였습니다.

그렇지만 연체율은 0.2%로 크게 낮은 상태였습니다.

신용조합 등지에서 대출을 받은 소비자들의 평균 모기지 금액은 이보다 적은 16만 6410달러였습니다.

연체율은 0.13%로 은행권보다도 낮은 수준입니다.

모기지 대출 회사와 보험 및 신탁 회사들의 경우에는 평균 모기지 대출금액이 30만 7470달러로 가장 높았습니다.

연체율도 0.25%로 은행권이나 신용조합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모기지 투자회사들의 경우입니다.

평균 모기지 금액은 26만 120달러입니다.

이자율은 6.5%~15%로 다소 높은 상황. 게다가 연체율도 0.88%로 비교 대상 그룹 가운데는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세부적으로 캐나다의 모기지 대출 흐름을 보면, 올해 상반기 모기지 부채 상승세는 지난 10년래 보지 못했던 수준으로 치솟았습니다.

역사적으로 낮은 이자율과 팬데믹이 부추긴 주택 필요성이 이 같은 대출 증가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캐나다인의 가처분 소득의 비중 측면에서 모기지 부채 서비스 부담은 여전히 올해 1/4분기에 늘어났습니다.

가장 큰 요인은 2020년 주택 가격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모기지 대출 금액도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보험 미가입 신규 모기지 크레딧도 규모 측면에서 20%나 늘어나면서 전체 주거용 모기지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습니다.

다행스러운 점은 팬데믹중 정부가 허용했던 모기지 연기 프로그램이 끝났지만 소비자들이 예정대로 빚을 제때 갚고 있다는 점입니다.

올해 1/4분기말 기준, 은행권이 아닌 대출자들이 보유한 약 3만 건(2%)의 모기지가 ‘지급 연기’중입니다.

전체 ‘지급 연기’ 비중은 69억 달러에 이릅니다.

모기지 이자율 흐름을 보면, 고정 모기지 이자율이 지난해부터 하락세이지만 올 1/4분기 바닥을 친 것으로 평가됩니다.

경제 강세 예상 때문입니다. 다만 캐나다 중앙은행은 여전히 기준금리를 0.25%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정 금리 및 변동 금리 사이 큰 디스카운트 때문에 많은 대출자들이 변동 모기지에 쏠리는 상황입니다.

결과적으로 올해 2분기에 시행된 신규 모기지의 40% 이상은 변동 이자율을 사용했습니다.

신규 모기지 대출자들은 여전히 좀더 장기간의 모기지 상환을 선호하면서 역사적으로 낮은 모기지 이자율의 혜택을 보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상 캐나다 경제뉴스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밴쿠버한인커뮤니티 [Kvancouver.com|K밴쿠버닷컴]

#캐나다 #코로나19 #모기지주택공사 #팬데믹 #CMHC #신용카드 #모기지 #주택구매자 #연체율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6 Page
RSS
올해 캐나다 달러 가치 최고 정점은 언제일까?
K밴쿠버
등록일 08.06 조회 1984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 달러는 벌써 올해의 정점을 찍었을까?” 최근 RBC 이코노믹스가 환율 분석을 통해 내놓은 타이틀입니다. 그리고 …

캐나다 다세대 가구 점점 늘어
K밴쿠버
등록일 08.17 조회 2812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에서 다세대 가구가 점점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계…

BC주 ‘백 투 마스크’로 복귀
K밴쿠버
등록일 08.26 조회 2307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관련뉴스입니다. “실내 공간에서는 다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최근 B…

밀레니엄 세대가 주택 시장을 이끌어...
K밴쿠버
등록일 09.06 조회 2884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하면서 앞으로 BC주에서는 빠르게 일자리가 늘어나게…

연방 선거 ‘사전투표’부터 뜨거워…9월 20일
K밴쿠버
등록일 09.15 조회 2739 추천 0

뉴스 캐나다 연방 총선 관련 뉴스입니다. 캐나다 총선 날짜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미 지난 9월 10일부터 사전투표가 시작됐습니다. 팬데믹 속 투표여…

‘빌딩 코드’, 저소득층 주택 공급 감소에…
K밴쿠버
등록일 09.23 조회 3849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건물을 더욱 좋게 만들기 위해 고안된 ‘주택 코드’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빌딩 코드가 한편으로는 저소득층을 위한 …

향후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예측하려면…
K밴쿠버
등록일 10.02 조회 2668 추천 0

뉴스 광역 밴쿠버 부동산뉴스입니다. 최근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은 전국 다른 곳과는 다른 움직임을 보입니…

광역토론토 9월 주택가격 18.3% 급등…신규 매물 34% 급감 탓
K밴쿠버
등록일 10.12 조회 2649 추천 0

뉴스 토론토 부동산뉴스입니다. 광역토론토(GTA)의 지난달 평균 주택가격이 공급 부족…

“집값, 내년 초 아닌 2022년 하반기에 평평한 흐름”
K밴쿠버
등록일 10.22 조회 3905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올해 가을 전국 주택시장도 ‘높은 음’으로 시작했습니다.” 다만 …

캐나다 주급 상승세, 일자리 증가폭보다 더 빨라
K밴쿠버
등록일 11.11 조회 3122 추천 0

뉴스 BC주 경제뉴스입니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도시, 밴쿠버. 이곳에 살려면 어느 정도 소득이 필요할까요? 해…

홈바이어들, 기존 인벤토리 더 깊게 파고들어
K밴쿠버
등록일 11.19 조회 3898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의 인벤토리 부족은 전국적인 현상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한 …

홍미숙 스테이징 “샐리의 요술 지팡이”
K밴쿠버
등록일 11.30 조회 3527 추천 0

부동산 주택 홈스테이징 관련 내용입니다. 어렸을 적 즐겨보던 TV 만화영화 중에 ‘요술공주 샐리’…

캐나다 이민자 소득은… 경제이민자, 정착 1년후 소득 캐나다 평균 12% 이상
K밴쿠버
등록일 12.13 조회 2049 추천 0

뉴스 캐나다 이민자 소득은… 경제이민자, 정착 1년후 소득 캐나다 평균 12% 이상 가족 스폰 받은 이민자 “큰 변화 없어”…난민은 낮아 캐나다에는 …

캐나다 부동산, GDP의 10% 이상 기여해
K밴쿠버
등록일 01.03 조회 2897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 GDP의 10% 이상 기여해 부동산, 렌트 및 리스 성장률 20%로 GDP 상승보다 빨라 “글로벌 부동산 버블 시기에 미국보다 …

신규 부동산 물량의 다수 투자자들이 사들여
K밴쿠버
등록일 01.23 조회 2331 추천 0

뉴스 신규 부동산 물량의 다수 투자자들이 사들여 베터 드웰링, 토론토 39%, 밴쿠버 44%...ON 3채중 1채 최근 시장은 ‘인벤토리 부족’에 허…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요 동력은 어디…
K밴쿠버
등록일 02.04 조회 2679 추천 0

뉴스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요 동력은 어디… 뜨거운 주택시장에 의한 주거비, 자동차, 원가 비용 요즘 캐나다 인플레이션이 서민 가정에 큰 부담을 주고 …

BC주민, ‘이민’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낮아
K밴쿠버
등록일 02.20 조회 1405 추천 0

뉴스 BC주민, ‘이민’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낮아 전국 평균 54%...BC주는 51% 불과, 온타리오 58%로 최대 최근 밴쿠버를 포함, 전국적으…

GDP 증가 속…가처분 소득, 저축률 되레 ‘후퇴’
K밴쿠버
등록일 03.06 조회 1283 추천 0

뉴스 GDP 증가 속…가처분 소득, 저축률 되레 ‘후퇴’ 캐나다 신규 주택 건축, 소비자 씀씀이 GDP 성장 큰 기여 전국적으로 실질적 경제 성장률이…

한국 무비자 방문 ‘재개’…관광업계 활기 기대
K밴쿠버
등록일 03.24 조회 1248 추천 0

뉴스 한국 무비자 방문 ‘재개’…관광업계 활기 기대 한국대사관, 4월 1일부터 시행…K-ETA 허가제 신청요 캐나다 연방 정부, 4월 1일 방문자부터…

캐나다 다수 “팬데믹 지나갔다”면서도…
K밴쿠버
등록일 04.10 조회 1272 추천 0

뉴스 캐나다 다수 “팬데믹 지나갔다”면서도… 절반 정도는 “코로나 19 관련 규제 해제에 우려” 표명 정부의 각종 규제 해제는 주민들에게 팬데믹이 거…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