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캐나다 노동시장 수요-공급 ‘불균형’…임금 상승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pixavideo|labor|21|15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요즘 글로벌 경제의 화두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입니다.

선진국을 위주로 팬데믹이 진정되면서 수요가 다시 늘어나고 있지만 제조업계와 운송업계가 그만큼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캐나다 국내 노동시장에서도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최근 통계청은 일자리 창출 분석을 통해 노동시장이 반등하고 있고 9월까지 이어졌다고 평가했습니다.

일자리가 8월에만 15만 7000여 개 증가, 팬데믹 이전 수준을 조금 넘어섰기 때문입니다.

이로서 실업률은 6.9%로 줄어들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앞으로도 좀더 나아질 전망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의 접촉이 많은 서비스 분야에서는 일자리 상승 여지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즉 아직 빈자리를 채우기 힘든 상태라는 것입니다.

이 가운데 TD이코노믹스가 일자리 시장을 놓고 노동 시장의 불균형이 증가하면서 캐나다의 임금 상승 위험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즉 일자리 수요와 공급이 불균형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특히 팬데믹을 통해 가장 타격을 받은 분야에서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숙박업과 식품 서비스, 보육시설 등입니다.

이 같은 분야는 앞으로 더 높은 임금 상승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직원을 구하기 위한 노력이지만 해당 분야에서 일자리 수요-공급이 ‘균형’을 이룰 때까지 계속 이어질 수 있습니다.

TD이코노믹스의 보고서는 또 캐나다의 노동시장이 지난 2020년 초 팬데믹 충격에서 벗어나 인상적인 반등을 보였다고 평가했습니다.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캐나다인은 실제 팬데믹 이전보다 0.7% 정도 많은 수준입니다.

일자리는 이미 지난 9월중 경기후퇴 시기를 지나갔습니다.

그렇지만 실업률은 6.9%로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 5.6%보다 높습니다.

동시에 노동력에 대한 수요는 인력 채용보다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바로 일자리 공백이 발생하는 이유입니다.

7월을 기준, 일자리 공백은 4.8%를 기록했습니다.

일자리 공백과 실업률을 비교할 때, 지난 7월의 일자리 공백은 현재 보여주고 있는 실업률과 비슷한 수준을 보여줍니다.

즉 일자리 노동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마찰, 저항력 때문에 실업률과 일자리 공백을 맞춰나가기가 힘들어지는 셈입니다.

여기의 가장 큰 요인은 ‘건강의 안전성’입니다.

이 같은 요인들은 향후 없어지겠지만 장기적인 실업률 상승을 비롯한 다른 사안들은 더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팬데믹이 일자리 시장의 저항력을 만들어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코로나 19 팬데믹이 직접 타격을 주는 ‘건강에 대한 걱정’입니다.

다음으로는 연방 정부의 각종 지원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현재 진행중인 정부의 캐나다 긴급 임대 보조금 [CERS|시이알에스], 캐나다 긴급 임금 보조금 [CEWS|시이더블류에스], 캐나다 회복혜택들 [CRB|시알비], 경기부양 회복 혜택 [CRCB|시알시비], 질병혜택 [CRSB|시알에스비] 등의 운명이 조만간 결정, 향후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건입니다.

다음으로는 차일드 케어의 부족, 장기적 실업률 증가 등도 한 요인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상 캐나다 경제뉴스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밴쿠버한인커뮤니티 [Kvancouver.com|K밴쿠버닷컴]

#캐나다 #통계청 #노동시장 #수요공급 #일자리 #펜데믹 #코로나19 #실업률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930 / 15 Page
RSS
연방 정부 1인당 지출, 팬데믹 전보다 34% 증가
K밴쿠버
등록일 10.23 조회 3380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물론, 전세계…

“모기지 할인이자율 현 2%대에서 내년말 4%로”
K밴쿠버
등록일 03.28 조회 1331 추천 0

뉴스 “모기지 할인이자율 현 2%대에서 내년말 4%로” 높은 인플레이션 좀더 유지…프라임 2.7%에서 내년 3.95%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

BC주민 70% 이상 접종 국경개방 희소식
K밴쿠버
등록일 06.09 조회 2986 추천 0

뉴스 BC주 백신접종과 국경개방에 대한 소식입니다. 최근 신규 확진자들이 지난 8개월래 최저 수준을 보였습니다. 반면 백신 접종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

캐나다 주택 가격, 다시 재가속도 모드 전환!
K밴쿠버
등록일 10.23 조회 3262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부동산 시장의 집값이 다시 재가속 모드를 타고 있습니다.” 잠시 주춤…

해외여행 복귀 학생 등 ‘마스크 착용’…
K밴쿠버
등록일 03.30 조회 1169 추천 0

뉴스 해외여행 복귀 학생 등 ‘마스크 착용’… 4월 1일부터 여행자 ‘입국전 테스트’ 필요없어 BC주 초 중 고등학교가 모두 봄방학을 끝내고 복귀했다…

광역토론토 주택시장 거래둔화에도 평균가격 ‘고공행진’
K밴쿠버
등록일 06.09 조회 2741 추천 0

뉴스 토론토 부동산뉴스입니다. 광역토론토(GTA) 주택시장이 지난달 거래 둔화에도 불구하고 평균가…

부동산용어 prefabricated house에서 principal 까지
K밴쿠버
등록일 10.24 조회 3665 추천 0

용어설명 부동산용어 prefabricated house 에서 principal 까지 m|…

운전중 휴대전화 사용 단속 강화 전망…
K밴쿠버
등록일 03.30 조회 1173 추천 0

뉴스 운전중 휴대전화 사용 단속 강화 전망… ICBC, 운전자 110달러 리베이트 관련 스팸 주의 당부도 운전중 휴대전화 사용의 폐해는 너무나 잘 알…

캐나다 소비자들 선택에 경제위기 탈출좌우
K밴쿠버
등록일 02.28 조회 2755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올해는 특히 캐나다 소비자들의 움직임에 경제 주체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바로 소비자들의 선택입니다. TD이코노믹스…

아시아인 인종차별, 젊은층 저소득층에 ‘큰타격’
K밴쿠버
등록일 06.10 조회 4380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팬데믹 속에서 인종차별이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국경 너머 미국의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이 아닙니다. 캐나다에서도 아시아인 등…

캐나다 노동시장 수요-공급 ‘불균형’…임금 상승
K밴쿠버
등록일 10.24 조회 4360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요즘 글로벌 경제의 화두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입니다. 선진국을 위주로 팬데믹이…

버나비 경찰, 밀수담배 10만 달러 상당 압수
K밴쿠버
등록일 03.31 조회 1176 추천 0

뉴스 버나비 경찰, 밀수담배 10만 달러 상당 압수 써리의 주거지에서 적발…무기류와 탄약류 등도 오랜 기간 동안 흡연 감소를 위해 노력해온 BC. 그…

캐나다인 팬데믹속 RRSP 은퇴저축 늘어
K밴쿠버
등록일 03.01 조회 2884 추천 0

뉴스 팬데믹 속에서 캐나다 소비자들의 저축은 예상과 달리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특히 은퇴저축 RRSP에서도 눈에 띄는 오름세를 보이고 …

캐나다 기준금리, 내년 4분기, 가능 전망
K밴쿠버
등록일 06.10 조회 4976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최근 캐나다 경제가 곳곳에서 저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변이 바이러스가 크…

무소유의 여유, 안 쓰는 물건 없애면 마음도 가벼워져
K밴쿠버
등록일 10.25 조회 3088 추천 0

부동산 주택 홈스테이징 관련 내용입니다. 다운타운에 위치한 그다지 크지 않은 호텔이 상가와 콘도…

전기차 인센티브 더욱 확대 전망…충전소도
K밴쿠버
등록일 04.01 조회 1359 추천 0

뉴스 전기차 인센티브 더욱 확대 전망…충전소도 연방 정부, 2030년 배출가스 감축 공식 플랜 발표 정부가 드디어 탄소 감축 계획을 발표했다. 장기 …

캐나다 2021년 주택시장 ‘키워드’ 코로나19로 공급부족 댓글 1
K밴쿠버
등록일 03.01 조회 3581 추천 0

뉴스 부동산뉴스를 전해 드립니다. 전국 주택시장이 새해 첫 달부터 역사적 기록을 세웠습니다. 벌써부터 BC주 외 전국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거래량과 가…

외견상 소수민족, CERB 신청 많아 ”취약”
K밴쿠버
등록일 06.10 조회 3761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 거주 외견상 소수민족, 즉 이민자들의 취약성이 다시 한 번…

캐나다 내년에도 “물가 상승 계속될 수도…”
K밴쿠버
등록일 10.25 조회 2775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가뜩이나 물가 상승에 고심하는 서민 가정의 부담이 커질 전망입니다.…

BC주 ‘연 5일 유급 병가제도’ 손 본다…
K밴쿠버
등록일 04.01 조회 1176 추천 0

뉴스 BC주 ‘연 5일 유급 병가제도’ 손 본다… 혼란이 된 ‘고용연도’를 ‘달력 연도’로 수정 표준화 단체협약으로 제외된 그룹도 포함토록 규정 손질…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