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캐나다 팬데믹 1년 저소득층 젊은층 ‘임금손실’ 가장 커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pixaimage|income|12|10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 속에서도 캐나다 가구당 소득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 공식 확인됐습니다.

그렇지만 저소득층과 젊은 층 가정은 비교적 임금에서 가장 큰 손실을 겪었습니다.

반면 부동산에 힘입어 저소득층 재산 증가폭이 가장 컸고 동시에 모기지 부채도 가장 많이 늘었습니다.

통계청은 최근 코로나 19 팬데믹 기간을 대상으로 가구당 경제 웰빙을 분석 발표했습니다.

비록 2020년 4/4분기에 소득 분야에서 하락세를 겪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2020년 한 해 전체적으로 볼 때는 눈에 띄는 소득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전국 가구당 가처분 소득은 작년 4분기에 줄었습니다.

특히 저소득층에서는 -10.2%의 큰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다만 저소득에서 중산층까지 가정들은 2020년을 전체적으로 볼 때 전년대비 가처분 소득의 비중이 13%에서 17.6%로 늘었습니다.

정부의 지원이 큰 몫을 차지했습니다.

그렇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저소득층과 젊은 층 가정의 타격이 가장 컸습니다.


/pixaimage|loss|8|10
임금 손실은 저소득층에서 -5.3%, 젊은 층이 -3.1%로 다른 비교그룹보다 큰 손실을 보였습니다.

이 계층이 팬데믹 속에서 가장 타격을 받은 산업 직종에 많이 근무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또 하반기 반등에도 불구하고 가구당 지출은 줄었고 2020년 기준 순수 저축은 확실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가구당 지출은 팬데믹 규제가 계속됐던 지난 4/4분기에서도 계속 늘었습니다.

저소득층과 65세 이상 노인 가정의 경우에도 상승세가 가장 컸습니다.

다만 2020년을 통틀어 본다면 2019년보다 줄어든 것입니다.

젊은 층과 고소득층이 가장 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각각 자신들의 지출을 5.7%와 7% 줄인 것으로 평가됩니다.


/pixaimage|property|6|10
부동산과 관련, 저소득층은 눈에 띄는 변화를 보였습니다.

즉 부동산 가치 상승으로 가장 자신들의 재산이 늘어나는 계층이 바로 저소득층이었기 때문입니다.

전국 가구당 재산은 작년 4분기를 기준으로 12조 8000억 달러에 이릅니다.

이전 분기보다 4610억 달러가 늘었습니다.

연중 기록을 볼 때, 가구당 재산은 저소득층에서 10.7%나 늘었습니다.

고소득층의 9%보다 증가폭 부문에서는 더 높은 것입니다.


/pixaimage|debt|15|10
또 다른 부동산의 역할로 분석되는 부분은 바로 저소득층의 모기지 부채 증가입니다.

반면 저소득층은 일반 상품 구매에 빚을 잘 내지는 않았습니다.

구체적으로 4분기 모기지 부채 성장률은 모든 가구에 비슷한 2% 수준입니다.

그런데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2019년 4분기와 비교할 때 7% 이상이 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부동산을 통한 가치 상승폭도 컸습니다.

눈길을 끄는 부분은 4분기에 비즈니스 셧다운이 완화되면서 모든 가정들은 자동차와 전자제품, 가전제품 등의 구매가 늘었습니다.

그렇지만 저소득층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또 최고 소득층의 경우에도 추가 대출을 꺼려했습니다.

1년 전체를 볼 때, 대부분 가정은 모기지가 아닌 부채가 줄었습니다.

특히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1.6%나 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젊은 층입니다.

비록 임금 소득이 크게 줄어든 계층이지만 이들의 재산은 부동산 가치 상승 등으로 노년 가정보다 더욱 크게 늘어난 것으로 평가됩니다.

주요 소득원의 연령대가 35세 미만인 젊은 가정의 경우에는 순재산이 4분기에 4.5%나 늘었습니다.

55세 이상인 가정은 3.6% 증가에 그쳤습니다.

이밖에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은 저소득층과 젊은 층 가정에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4분기 기준 259.5%입니다. 35세 미만의 젊은 층도 199.9%에 이릅니다.

이상 캐나다 경제뉴스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밴쿠버한인커뮤니티 [Kvancouver.com|K밴쿠버닷컴]

#캐나다 #코로나19 #펜데믹 #저소득층 #젊은층 #소득증가 #가처분소득 #부동산 #모기지 #부채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66 / 18 Page
RSS
부동산용어 balance sheet 부터 bona fide 까지
K밴쿠버
등록일 04.25 조회 3952 추천 0

용어설명 |…

코로나 팬데믹으로 아마존 초호황 실적!
K밴쿠버
등록일 05.03 조회 4324 추천 0

뉴스 글로벌 경제뉴스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수많은 기업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지만 온…

코로나로 집수리 수요증가 목재가격 급등
K밴쿠버
등록일 05.11 조회 5074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팬데믹 기간동안 주택 개조 및 수리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으나 …

BC주 보건당국 아직 코로나 규제완화 검토안해
K밴쿠버
등록일 05.18 조회 6213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관련뉴스입니다. 캐나다가 이번 주에 역대 최대치인 코로나19 백신 450만회 …

화이자 코로나 치료용 알약 임상시험 돌입
K밴쿠버
등록일 05.26 조회 3892 추천 0

뉴스 코로나 관련뉴스입니다. 화이자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알약 형태의 항바이러스제의 초기 임상시험을 시작했다고 블룸버…

BC 기업들 ‘제3차 파동’ “잘 견뎌내”
K밴쿠버
등록일 06.03 조회 6089 추천 0

뉴스 BC주 경제뉴스입니다. BC 기업들은 최근 코로나 19 제3차 파동을 잘 견뎌낸 것으로…

기준금리 ‘동결', 경제 회복에 ‘급물살’ 기대
K밴쿠버
등록일 06.10 조회 5209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올해 전국 각 주 경제는 지난해와는 180도 다른 모습을 보일…

BC주 2단계 개방 여행가고, 영화보고
K밴쿠버
등록일 06.19 조회 4594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가 드디어 제2차 단계 경제 개방에 돌입…

부동산용어 furring 에서 grant deed 까지
K밴쿠버
등록일 06.27 조회 3939 추천 0

용어설명

BC, 산불 상황 ‘악화’…캠프파이어 위반 1150불
K밴쿠버
등록일 07.06 조회 3596 추천 0

뉴스 BC주 산불소식입니다. BC주 산불 상황이 여전히 악화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인재로 알려…

캐나다인 투자, 녹색에너지 화석 연료 ‘분산’
K밴쿠버
등록일 07.15 조회 2879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마음이 가는 곳에 ‘돈’도 흘러가기 마련입니다. 최근 앵거스 …

팬데믹 중 ‘모기지 연기’ 이용자 16% 수준
K밴쿠버
등록일 07.23 조회 2715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모기지 소비자들은 코로나 19 속에서도 확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해마…

부동산용어 joint note 에서 lath 까지
K밴쿠버
등록일 08.02 조회 3164 추천 0

용어설명 |jo…

BC 백신접종 간격 28일로 단축…확진자 급증
K밴쿠버
등록일 08.11 조회 3449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캐나다와 미국에서 코로나 19 확진자가 늘어나는 가운데 국…

타 주 이동 승객에 ‘백신 의무화’ 추진돼
K밴쿠버
등록일 08.19 조회 2362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팬데믹 제 4차 파동이 우려가 커지면서 생활 방식에 큰 변화가 올 조짐…

BC주 ‘백 투 마스크’로 복귀
K밴쿠버
등록일 08.26 조회 2314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관련뉴스입니다. “실내 공간에서는 다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최근 B…

주택 투자가 경제를 새롭게 개조합니다
K밴쿠버
등록일 09.06 조회 3158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전국적으로 경제 성장이 주춤거리고 있습니다. 분기별 성장률이 후퇴하기도 했습니…

부동산용어 nominal interest 에서 obsolescenc 까지
K밴쿠버
등록일 09.14 조회 3029 추천 0

용어설명 |nominal intere…

연방 총선 결과…자유당 ‘소수정부’ 재집권
K밴쿠버
등록일 09.22 조회 2447 추천 0

뉴스 캐나다 연방 총선 뉴스입니다. 연방 총선이 드디어 막을 내렸습니다. 선거 최종 결과는 향후 우편 투표 집…

BC, 앨버타, 온타리오 전국 일자리 상승 주도해
K밴쿠버
등록일 10.01 조회 3313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전국적으로 임금을 받는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지난 7월을 기준으로 한 데이…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