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생활정보

정원도 좋지만 전체 조화 맞아야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pixaimage|garden|40|10
주택 홈스테이징 관련 정보입니다.

마당이 아주 예쁜 집이 있었습니다.

그리 크지 않은 앞 뒤의 마당을 체리와 포도나무 및 갖가지 울긋불긋한 꽃들로 아름답게 가꾼 이는 바로 그 집의 남편 A씨였습니다.

마당이 잘 관리된 집들 대부분은 아내들보다 남편들이 마당에 관심이 더 많고 정원 가꾸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꽃이 만발한 아름다운 정원은 쉽게 여자들과 연상되지만, 정원을 손질하는 것은 의외로 남자들이 뛰어납니다.

아마도 꽃을 즐기는 사람은 여자이지만, 그 꽃을 주는 사람은 남자이기 때문이 아닐까요?

정원손질에 대해 특별히 공부한 적이 없는 A씨도 마당에 관심을 갖고 수 년 동안 가꾸어 왔습니다.

이제는 웬만한 꽃 이름은 물론 그것이 한해살이인지 여러해살이인지, 햇빛을 좋아하는지 아닌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꽃을 더 크게,  또는 더 오래 피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까지도 모두 습득했습니다.

자연히 마당에 머무는 시간이 점점 더 길어졌고 해마다 정원에 들어가는 돈도 무시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맞벌이하는 A씨의 아내는 그런 남편이 못마땅합니다.

아이들에게 좀 더 나은 교육제도와 환경이 될까 해서 캐나다에 왔는데 이건 아이들을 가꾸러 온건지, 마당을 가꾸러 온건지 주객이 완전히 바뀌어 버렸습니다.

육아와 가사일을 모두 아내에게 맡긴 채 마당에 앉아 나무하고만 씨름하는 남편이 때론 섭섭합니다.

그래서 남편과의 격론 끝에 지금의 단독주택을 팔고 마당이 없는 콘도로 이사하기로 했습니다.

A씨의 집은 아름답게 손질된 마당과는 달리 집 안의 모습은 어딘지 어색했습니다.

그 이유는 색상과 크기 및 디자인이 서로 어울리지 않는 가구와 그들의 산만한 배치로 인해 작고 아담한 집이 좁고 어수선해 보였기 때문이었습니다.

집 안 여기저기에 빨강, 파랑, 노랑 등 원색의 아이들 물건과 커다란 가족사진들이 흩어져 있어 혼란스러웠습니다.

좁은 공간에 놓인 짙은 색상의 커다란 가구가 집안을 더욱 어두워 보이게 했습니다.

좁은 집은 밝고 연한 색의 바닥이나 벽과 함께 밝은 연한 색의 가구를 사용해야 넓어 보이고, 넓은 집은 짙은 바닥이 오히려 적당합니다

A씨의 집은 흰색 벽에 바닥은 우드였으므로 짙은 색의 가구를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넓어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색상의 범위를 줄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작은 소품들을 모두 치우고 원색의 아이들 물건을 정리했습니다.

비교적 큰 장식물 한 두개로 포인트를 강조하고 연하고 밝은 느낌의 커다란 액자 몇 개만 걸었습니다.

산만했던 공간은 차분해졌고 안정된 분위기로 바뀌었으며 은은해 보이기까지 했습니다.

집을 보러 오는 바이어들은 집 안 내부와 바깥의 앞 뒤 마당까지 모두를 세심하게 살펴 봅니다.

집의 한 부분인 지하실이 마음에 들어서, 또는 마당이 너무 예뻐서 집을 사는 경우는 드뭅니다.

반대로, 집 안은 예쁘게 꾸몄는데 마당은 내버려 둔다든지, 지하실을 사용하지 않는 물건들로 꽉 채운다면 어떻게 될까요?

예쁘게 장식한 집 안 내부에도 마이너스로 작용하여 전체적으로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없겠지요.

부동산 거래가 뜸해지는 더운 여름에 A씨의 집은 팔렸고, 그의 아내가 원하던 마당없는 콘도로 이사하게 되었습니다.

아이들의 새 학기를 시작할 수 있었지만, 이제 A씨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이상 [홍미숙 홈스테이징(Shiny Home Staging & Decorating)|홍미숙 홈스테이징] 이였습니다.

부동산밴쿠버  KoreanREW.com

#부동산 #주택 #홈스테이징 #마당 #꽃 #정원 #교육 #디자인 #가구 #바닥 #벽 #소품 #장식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66 / 16 Page
RSS
토론토 주택시장 과열 평균집값 110만불 거래 97% 폭등
K밴쿠버
등록일 04.13 조회 2662 추천 0

뉴스 토론토 부동산뉴스입니다. 광역토론토 주택시장이 코로나 백신 접종에 따른 경…

코로나19 ‘병원 대기’ 비용 20억 달러 임금손실
K밴쿠버
등록일 04.22 조회 2903 추천 0

뉴스 캐나다 코로나 관련소식입니다. 병원 대기 시간은 캐나다의 끊이지 않는 큰 과제입니다. …

식당, 주류판매 매출 전월대비 뚜렷 상승세였지만
K밴쿠버
등록일 04.30 조회 5020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 속에서도 전국 식품 및 주류 판매점들은 올들어 뚜렷한 상…

광역밴쿠버 집 판매량 전년비 342.6% 상승
K밴쿠버
등록일 05.08 조회 7332 추천 0

뉴스 광역밴쿠버 부동산뉴스입니다. 그동안 위축됐던 홈셀러들이 시장에 반응하기 시작했습니다. 덧붙여 최근 월간 실적은 새로운 기록을 세우면서 더욱 홈셀…

집값 어떻게 될까? 밴쿠버 토론토 캘거리 전망
K밴쿠버
등록일 05.16 조회 6367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전국 주택 시장이 지금보다는 다소 완만한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기대…

식탁'이 중요한가요? 최소한의 '기본가구'는 꼭 필요
K밴쿠버
등록일 05.23 조회 6701 추천 0

부동산 주택 홈스테이징 관련 정보입니다. 한국에서부터 가져온 가구를 그대로 사용하는 집들이 의외…

정원도 좋지만 전체 조화 맞아야
K밴쿠버
등록일 05.30 조회 4054 추천 0

생활정보 주택 홈스테이징 관련 정보입니다. 마당이 아주 예쁜 집이 있었습니다. 그리 크지 않은 앞 뒤의 마당을…

G7 글로벌 기업에 최저세금 15% 적용한다면?
K밴쿠버
등록일 06.08 조회 3103 추천 0

뉴스 글로벌 뉴스입니다. 미국 일본 독일 등 주요 7개국 G7이 글로벌 법인세 최저 세율을 15%로 설정하는 등 다국적 기업에 대한 세금 감면을 제한…

캐나다 이민자, 코로나19 사망자 비중 더 높아
K밴쿠버
등록일 06.17 조회 4331 추천 0

뉴스 캐나다 코로나 19 관련뉴스입니다. 경제적 측면에서 코로나 19 팬데믹은 캐나다 이민자들에…

경제 재오픈에 6월부터 소비자 지갑 열려
K밴쿠버
등록일 06.24 조회 3089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 소비자들의 지갑이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습니다. 경제 제…

“주택장만 여건 개선하려면 주택공급 늘려야”
K밴쿠버
등록일 07.02 조회 3745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집장만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택 공급을 늘려…

써리랭리 스카이트레인, 연방정부 13억불 지원발표
K밴쿠버
등록일 07.13 조회 4247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 대중교통에 큰 변화와 역동성이 창출될 전망입…

장기 요양시설 가족 방문, 예약없이도 가능
K밴쿠버
등록일 07.21 조회 4053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관련뉴스입니다. 드디어 장기 요양 시설에 대한 제한이 풀리게 됐습니다. …

BC 마스크 착용 다시 의무화되나? ’전전긍긍’
K밴쿠버
등록일 07.30 조회 2359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관련뉴스입니다. BC주 코로나 확산세가 다시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또 다시 주…

BC주 앞으로 2년 집값도, 이자율도 오를 것
K밴쿠버
등록일 08.07 조회 2548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주택 가격 상승은 홈오너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현…

요즘 BC 주택시장 리스팅 공급의 함수는?
K밴쿠버
등록일 08.16 조회 2092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BC주 부동산시장이 여전히 완만화 과정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목할 부분은 인벤토리 부족에 따라 주택 가격은 오…

BC 주, 코로나 19 중환자 급등 이유
K밴쿠버
등록일 08.24 조회 2332 추천 0

뉴스 BC주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백신 미 접종자를 중심으로 병원 입원자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게다가 의료인력이 집중되는 중환자실은 급증, 우…

트뤼도 정부 지지율 하락세…보수당과 ‘각축’
K밴쿠버
등록일 09.02 조회 2936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최근 연방 선거 양상이 초반 전망과 조금 다르게 흐르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선거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는 말…

렌트비 2022년에 최대 1.5% 인상 가능
K밴쿠버
등록일 09.11 조회 2846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 기간중 시행됐던 ‘렌트비 동결이 드디어 해제될 전망입니다. 주 정부는 최근 2022년 렌트비 인상 가이드라인을 발…

BC주 경제 회복 “빠른 회복세 보여”
K밴쿠버
등록일 09.18 조회 2813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오래간만에 듣는 팬데믹속에 한가지 희소식입니다. 주 경제 회복이 예상보…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