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생활정보

정원도 좋지만 전체 조화 맞아야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pixaimage|garden|40|10
주택 홈스테이징 관련 정보입니다.

마당이 아주 예쁜 집이 있었습니다.

그리 크지 않은 앞 뒤의 마당을 체리와 포도나무 및 갖가지 울긋불긋한 꽃들로 아름답게 가꾼 이는 바로 그 집의 남편 A씨였습니다.

마당이 잘 관리된 집들 대부분은 아내들보다 남편들이 마당에 관심이 더 많고 정원 가꾸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꽃이 만발한 아름다운 정원은 쉽게 여자들과 연상되지만, 정원을 손질하는 것은 의외로 남자들이 뛰어납니다.

아마도 꽃을 즐기는 사람은 여자이지만, 그 꽃을 주는 사람은 남자이기 때문이 아닐까요?

정원손질에 대해 특별히 공부한 적이 없는 A씨도 마당에 관심을 갖고 수 년 동안 가꾸어 왔습니다.

이제는 웬만한 꽃 이름은 물론 그것이 한해살이인지 여러해살이인지, 햇빛을 좋아하는지 아닌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꽃을 더 크게,  또는 더 오래 피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까지도 모두 습득했습니다.

자연히 마당에 머무는 시간이 점점 더 길어졌고 해마다 정원에 들어가는 돈도 무시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맞벌이하는 A씨의 아내는 그런 남편이 못마땅합니다.

아이들에게 좀 더 나은 교육제도와 환경이 될까 해서 캐나다에 왔는데 이건 아이들을 가꾸러 온건지, 마당을 가꾸러 온건지 주객이 완전히 바뀌어 버렸습니다.

육아와 가사일을 모두 아내에게 맡긴 채 마당에 앉아 나무하고만 씨름하는 남편이 때론 섭섭합니다.

그래서 남편과의 격론 끝에 지금의 단독주택을 팔고 마당이 없는 콘도로 이사하기로 했습니다.

A씨의 집은 아름답게 손질된 마당과는 달리 집 안의 모습은 어딘지 어색했습니다.

그 이유는 색상과 크기 및 디자인이 서로 어울리지 않는 가구와 그들의 산만한 배치로 인해 작고 아담한 집이 좁고 어수선해 보였기 때문이었습니다.

집 안 여기저기에 빨강, 파랑, 노랑 등 원색의 아이들 물건과 커다란 가족사진들이 흩어져 있어 혼란스러웠습니다.

좁은 공간에 놓인 짙은 색상의 커다란 가구가 집안을 더욱 어두워 보이게 했습니다.

좁은 집은 밝고 연한 색의 바닥이나 벽과 함께 밝은 연한 색의 가구를 사용해야 넓어 보이고, 넓은 집은 짙은 바닥이 오히려 적당합니다

A씨의 집은 흰색 벽에 바닥은 우드였으므로 짙은 색의 가구를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넓어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색상의 범위를 줄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작은 소품들을 모두 치우고 원색의 아이들 물건을 정리했습니다.

비교적 큰 장식물 한 두개로 포인트를 강조하고 연하고 밝은 느낌의 커다란 액자 몇 개만 걸었습니다.

산만했던 공간은 차분해졌고 안정된 분위기로 바뀌었으며 은은해 보이기까지 했습니다.

집을 보러 오는 바이어들은 집 안 내부와 바깥의 앞 뒤 마당까지 모두를 세심하게 살펴 봅니다.

집의 한 부분인 지하실이 마음에 들어서, 또는 마당이 너무 예뻐서 집을 사는 경우는 드뭅니다.

반대로, 집 안은 예쁘게 꾸몄는데 마당은 내버려 둔다든지, 지하실을 사용하지 않는 물건들로 꽉 채운다면 어떻게 될까요?

예쁘게 장식한 집 안 내부에도 마이너스로 작용하여 전체적으로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없겠지요.

부동산 거래가 뜸해지는 더운 여름에 A씨의 집은 팔렸고, 그의 아내가 원하던 마당없는 콘도로 이사하게 되었습니다.

아이들의 새 학기를 시작할 수 있었지만, 이제 A씨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이상 [홍미숙 홈스테이징(Shiny Home Staging & Decorating)|홍미숙 홈스테이징] 이였습니다.

부동산밴쿠버  KoreanREW.com

#부동산 #주택 #홈스테이징 #마당 #꽃 #정원 #교육 #디자인 #가구 #바닥 #벽 #소품 #장식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66 / 1 Page
RSS
코로나19 팬데믹 캐나다 입국제한 업데이트
K밴쿠버
등록일 01.31 조회 2689 추천 0

유학이민 안녕하세요? 오미라의 이민법 따라잡기에서 코로나 19 관련 뉴스를 전해드리겠습니다. 캐나다에도 첫 코로나19 환자가 보고되었던 작년 1월 이후 …

BC주 기관들 인종적 편견가져 경찰개혁위원회 발표
K밴쿠버
등록일 02.09 조회 2517 추천 0

뉴스 안녕하세요. BC주의 로컬뉴스입니다. BC주의 많은 공공 기관들은 인종적 편견을 가지고 있고 심지어 그것을 알지 못한다고 경찰 개혁 입법 위원회…

캐나다 경력이민자 대거선발 익스프레스엔트리 2만70…
K밴쿠버
등록일 02.21 조회 3083 추천 0

유학이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캐나다 이민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희망적인 소식입니다. 캐나다 이민정책에 큰 변화가 보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19…

캐나다 소비자들 선택에 경제위기 탈출좌우
K밴쿠버
등록일 02.28 조회 2755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올해는 특히 캐나다 소비자들의 움직임에 경제 주체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바로 소비자들의 선택입니다. TD이코노믹스…

재택근무 직장인의 온라인 미팅 피로감 호소 댓글 3
Heather
등록일 03.06 조회 3366 추천 0

뉴스 1 년 동안 집에서 일한 직장인이 통증, 통증 및 줌 피로를 호소 물리 치료사 및 의사 소통 전문가가 몇 가지 팁을 제공합니다. 물리 치료사 인…

상업용 렌트비 밴쿠버 ‘상승’ 토론토 ‘하락’
K밴쿠버
등록일 03.14 조회 2674 추천 0

뉴스 통게청이 발표한 렌트비 관련뉴스입니다. 부동산 시세가 꾸준하게 오르면 예외적 상황을 제외하고 렌트비가 내리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캐나다처…

BC 로어메인랜드 확진자 '급등’ 우려
K밴쿠버
등록일 03.23 조회 3128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및 백신접종 관련 뉴스입니다.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는 가운데 변종바이러스를 포함한 코로나 19 확진자들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

캐나다 팬데믹이 가져온 경제사회 1년 변화
K밴쿠버
등록일 04.01 조회 2631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사회 뉴스입니다. 경제적 의미에서 3월은 캐나다 팬데믹이 1주년을 맞이하는 시즌입니다. …

프레이저밸리 부동산 3월 최고의 월간기록 갱신
K밴쿠버
등록일 04.09 조회 3383 추천 0

뉴스 프레이저 밸리 부동산 실적분석입니다. “3월은 프레이저 밸리의 월간 거래와 신규 리스팅 기록을 깨버렸습…

캐나다 모기지 연체율 하락세 노인들 연체 더많아
K밴쿠버
등록일 04.17 조회 2663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역시 모기지는 캐나다 소비자들이 보유한 부채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록 팬데믹이라지만 진정될 기미는 전혀 보이지 …

주택 가치를 최상으로 유지하는 5가지 TIPS
K밴쿠버
등록일 04.27 조회 3105 추천 0

부동산 주택 가치를 최상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평소에 주택 유지 보수를 잘 해…

BC주 7월 캐나다데이 전까지 1차접종 완료
K밴쿠버
등록일 05.05 조회 4560 추천 0

뉴스 BC주 백신접종 관련뉴스입니다. 최근 여행제한 등 조치들이 효과를 내고 있는 것…

캐나다 젊은층 ESG 투자부문 선두 이끌어
K밴쿠버
등록일 05.13 조회 9247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젊은 층은 항상 새로운 분야에서 선두를 이끌기 마련입니다. 경험 많고 …

집값 진정된다면 이자율 인상해야 할까?
K밴쿠버
등록일 05.20 조회 4474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요즘 캐나다인 사이에서는 주택시장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주택시장에서 캐나다 시장 미래를 보다
K밴쿠버
등록일 05.27 조회 2748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와 미국 주택시장이 다함께 성공 스토리를 써 내려가고 있…

캐나다 팬데믹 1년 저소득층 젊은층 ‘임금손실’ 가장 커
K밴쿠버
등록일 06.04 조회 5660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 속에서도 캐나다 가구당 소득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 공식 확인됐습니…

캐나다 노인들, 은퇴 계획으로, 홈 에쿼티에 점점 더 의존
K밴쿠버
등록일 06.12 조회 4912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요즘 캐나다에서는 나이가 들어갈수록 주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내집 마련에 밀레니얼Z세대 절반 “부모의 돈으로”
K밴쿠버
등록일 06.22 조회 4537 추천 0

뉴스 토론토 부동산뉴스입니다. 내집 마련에 밀레니얼~Z세대 절반은 부모의 도움을 받은…

광역밴쿠버 폭염으로, 나흘간 233명 사망 충격
K밴쿠버
등록일 06.30 조회 3914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에서 체감 온도가 50도에 가까운 폭염이 연일 계속되면서…

관광분야, 해외여행객 유입 타격 더 커
K밴쿠버
등록일 07.08 조회 3226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은 전국적으로 경제 분야에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 …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