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주택시장 냉각시작? 일시적 주춤 현상?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pixaimage|housing market|40|10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주택시장 흐름이 완만해졌습니다.

시장 냉각이 시작된 것일까 아니면 일시적 주춤 현상일까요?

올 여름 시장에 벌써부터 이목이 쏠리는 이유입니다.

다만, 지금까지 관련 기관에서는 올해 주택 시장의 거래량이 작년보다는 비교적 많아진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는 상태입니다.

캐나다 부동산협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주택시장이 3월에 비해서 4월에 완만해졌다.”는 총평을 내놓았습니다.

수치로 볼 때도 전국 주택 판매 현상은 한 달 전보다 12.5%나 줄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이 상승곡선을 유지하는 시기에, 그것도 두 자릿수 하락세를 보여 ‘냉각’과 ‘주춤’ 사이 의견이 분분합니다.

실제 거래 활동세는 작년과 비교할 때 여전히 256%나 많습니다.

그렇지만, 한 달 전과 마찬가지로 작년 코로나 팬데믹 속 시장 위축 정도를 감안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신규 리스팅 규모도 한 달 전보다 5.4% 줄었습니다.

시장의 공급에 직결되는 사안으로서 앞으로도 집값 상승 작용으로 연결될 전망입니다.

MLS를 기준으로 한 주택 가격 지수는 전월대비 2.4% 올랐고 작년보다는 23.1% 상승했습니다.

실제 거래 주택 가격 전국 평균은 전년대비 41.9% 올랐습니다.

캐나다 부동산협회 클리프 스티븐슨 회장은 “전국적으로 주택 시장은 매우 활동적입니다."

"그렇지만, 지난해의 극단적 불균형 일부가 드러나기 시작했다는 증거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가 전국적으로 늘어나는 속에서 3월과 4월 사이 시장 활동의 둔화세는 공급과 수요 수준을 읽어내기 힘들게 만들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2021년은 아무래도 코로나 19 영향 때문에 현행 봄 시장의 일부 특성이 여름까지 이어지는 모습을 보일 전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션캐스카트 경제학자는 “주택 거래가 작년보다는 250% 이상 올랐고, 평균 집값은 42%나 올랐습니다.”

“현실을 직시할 때, 우리에게 보이는 현상은 바로 ‘기저효과(base effect)’입니다.”

"작년대비 수치는 지난해의 좋지 않았던 시즌과 비교이고 전월대비 수치는 한 달 전의 강세 시장과의 비교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4월 주택시장 수치는 이들 극단적 수준의 사이에 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MLS 기준 전국 종합 주택 가격은 전월대비 2.4% 올랐습니다.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이지만 지난 2월과 3월보다는 낮은 수준입니다.

게다가 최근의 월간실적 비교에서 집값 하락세는 단독주택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시즌적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실제 집값은 전월대비 23.1% 올랐습니다.

가장 상승폭이 큰 곳은 온타리오로 20~50% 범위입니다.

다음으로는 BC주와 퀘벡, 뉴 브런즈윅으로 10~30% 수준입니다.

실질적인 전국 평균 주택 가격은 4월 69만 600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작년 이맘때보다 41.9% 정도 오른 수준입니다.

그렇지만 전국 평균 집값은 한 달 전보다 10% 정도 떨어졌습니다.

여기에서 광역 밴쿠버와 광역 토론토 두 지역을 제외한다면 전국 집값은 이보다 14만 4000달러가 더 떨어지게 됩니다.

이상 부동산뉴스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밴쿠버  KoreanREW.com

#캐나다 #BC주 #온타리오 #퀘백 #주택시장 #주택가격  #밴쿠버 #토론토 #펜데믹 #MLS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6 Page
RSS
쇼핑업체, 고객 유입 동력은 ‘보상 프로그램’
K밴쿠버
등록일 07.01 조회 3960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인의 쇼핑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일까요? 고객…

캐나다 금리인상 시기 좀더 빨라질수도”
K밴쿠버
등록일 04.25 조회 3958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예상대로 캐나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현재로서는 시장의 진행 방향에…

캐나다 고령화 노동력 성장률 둔화에 정부적자 악화
K밴쿠버
등록일 05.07 조회 3937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의 고령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 최근 프레이저 연구소 조사에서는 노동력은 물론, 성장률 둔화와 정부 적자…

캐나다 골프천재 헨더슨 역전 드라마 휴젤오픈 우승
K밴쿠버
등록일 04.26 조회 3933 추천 0

뉴스 LPGA 골프뉴스입니다. 캐나다 여자골프의 스타인 브룩 헨더슨이 미국여자프로골프 LPGA 투어 통산 10승 고지에 올랐습니다. 세계랭킹 1위 고…

캐나다 주택시장 분석, 거래 줄어도, 집값 상승세 지속!
K밴쿠버
등록일 06.11 조회 3932 추천 0

뉴스 캐나다 전국 주택 시장에서 최근 독특한 패턴이 드러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바로 전…

캐나다 부동산 거래 두달 연속 완만해져
K밴쿠버
등록일 06.26 조회 3929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주택 시장이 여전히 완만해지고 있습니다. 지난 5월 전국 부동산 …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K밴쿠버
등록일 12.07 조회 3923 추천 0

부동산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각 주 권역을 넘나드는 주민 이동이 강세…로컬 시장 영향” 전국 시장 95%에서 ‘셀러스 마켓’…밴쿠버 집값 5…

광역밴쿠버 폭염으로, 나흘간 233명 사망 충격
K밴쿠버
등록일 06.30 조회 3909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BC주에서 체감 온도가 50도에 가까운 폭염이 연일 계속되면서…

“균형시장 위해 3500개 리스팅 더 필요해”
K밴쿠버
등록일 07.09 조회 3905 추천 0

뉴스 프레이저 밸리 주택시장 분석입니다. 프레이져 밸리 시장이 날씨를 반영, 다소 냉각된 것으로 …

모기지 스트레스 테스트 변화, 예산 4% 감소효과”
K밴쿠버
등록일 06.11 조회 3900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새롭게 바뀐 모기지 규정에 대해 요즘 큰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광역…

“집값, 내년 초 아닌 2022년 하반기에 평평한 흐름”
K밴쿠버
등록일 10.22 조회 3895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올해 가을 전국 주택시장도 ‘높은 음’으로 시작했습니다.” 다만 …

홈바이어들, 기존 인벤토리 더 깊게 파고들어
K밴쿠버
등록일 11.19 조회 3886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의 인벤토리 부족은 전국적인 현상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한 …

BC주 팬데믹 이후 주택시장 5대 변화요소는?
K밴쿠버
등록일 06.26 조회 3874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 시장 분석입니다. 요즘 부동산 시장에서는 본격적인 팬데믹 이후 주…

BC주 젊은층 불법 약물 사망 급증
K밴쿠버
등록일 07.01 조회 3851 추천 0

뉴스 BC주 로컬뉴스입니다. 팬데믹 속에서 BC주의 약물중독 사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주택시장 냉각시작? 일시적 주춤 현상?
K밴쿠버
등록일 05.21 조회 3846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주택시장 흐름이 완만해졌습니다. 시장 냉각이 시작된 것일까 아…

‘빌딩 코드’, 저소득층 주택 공급 감소에…
K밴쿠버
등록일 09.23 조회 3836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건물을 더욱 좋게 만들기 위해 고안된 ‘주택 코드’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빌딩 코드가 한편으로는 저소득층을 위한 …

캐나다 주택 가격 정점은 아직 안 왔다!
K밴쿠버
등록일 06.19 조회 3822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 시장 분석입니다. 밴쿠버를 포함한 전국 주택 시장이 요즘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백신 빠른 공급에 전국 경제전망 “더 밝아져”
K밴쿠버
등록일 03.24 조회 3817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올해 경제 전망은 대다수 전문가들이 ‘상승’을 내다봤습니다. 그런데 최근 백신 배포가 속도를 내면서 이 같은 상승세는 더…

캐나다 코로나 19 검사 등 각종 규제 재도입
K밴쿠버
등록일 12.02 조회 3796 추천 0

뉴스 캐나다 코로나19 규제 재도입 관련 뉴스입니다.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중인 신종 변이 ‘…

캐나다 주택가격 올해 꾸준한 상승세” 댓글 1
K밴쿠버
등록일 03.22 조회 3768 추천 0

뉴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은 지난 여름부터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였습니다. 팬데믹기간인 3~5월 Lockdown 속에 ‘고요한’ 시간 후…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