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뉴스

팬데믹에 소비경향 변화 필수상품으로 쏠려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pixavideo|online sale|8|10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온라인’ 판매. 즉 전자상거래는 요즘 캐나다 경제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항목이 됐습니다.

특히 팬데믹 속에서 더욱 많은 소비자들이 온라인등 기존과 다른 방식의 세일즈에 접근하고 있습니다.

최근 통계청의 소매 상품 조사에 따르면 지난 12월을 기준으로 전체 소매 매출은 전년대비 1.1%나 줄었습니다.

소매 매출 규모는 432억 달러 수준입니다.

주목할 부분은 지난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하락세를 보였다는 점입니다.

전체 19개 상품 분야 가운데 11개가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그렇지만 현재 수정되지 않은 데이터를 기준으로 할 때 2월 전망은 2.9%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입니다.


/pixavideo|Mushrooms Vegetable|1|51
주요 특징 가운데 코로나 19 방역조치 제한이 식품 및 음료 소매점에 가져온 영향력입니다.

전국 많은 주에서 실내 식사 금지 등 각종 팬데믹 규제가 있었지만 식품 소매점 매출은 1월중 전년대비 14.5%나 올랐습니다.

두 달 연속, 식품은 매출이 크게 늘어난것입니다.

수많은 상품의 매출이 늘었지만 패키지 식품과 마른 제품 등이 시장을 이끌었습니다.

신선 과일과 채소도 14.5% 증가를 보였고 신선 육가공도 19.8% 늘었습니다.

캐나다 주민들이 집에서 더 많은 음식 준비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pixavideo|Beer Glass Beverage|1|59
청량음료와 알코올 음료 분야도 매출이 9.1%% 늘었습니다.

이 같은 상승세는 주로 알코올 음료의 8.9% 상승 덕분입니다.

전체 음료 1월 매출의 72.6%를 차지합니다.


/pixaimage|cars|30|10
또 다른 특징은 자동차 매출입니다.

팬데믹 속에서 오히려 자가용 이용과 자가용 여행이 늘어날 듯하지만 실제 자동차 매출은 후퇴했습니다.

자동차 매출은 지난 2020년 7월 이후 처음으로 줄어 -9.7%를 기록했습니다.

각종 코로나 19 규제로 매출이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해당 분야의 중고 자동차 매출이 -10.9%를, 신규 자동차 매출은 -9%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특히 신규 자동차 매출은 세 달 연속 하락세입니다.

자동차와 가정용 연료 매출도 전년대비 22%나 줄었습니다.

가장 큰 요인은 수요 하락입니다.

자동차 연료 분야는 전년대비 9억 1100만 달러가 줄었습니다.

재택명령이 일부 주에서 실시되면서 자동차 연료분야 하락도 커졌습니다.

동시에 개스 가격 상승을 상쇄하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전자 쇼핑과 메일 오더 분야는 늘었습니다.

2020년 4/4분기를 기준, 역대 최고치인 77억 달러 규모입니다.

전자 쇼핑과 메일 오더 분야도 전체 소매 지출의 4.3%나 차지합니다.

1년 전의 1.2%와 비교할 때 눈부신 성장속도입니다.

소비자들의 선호도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팬데믹은 소비자들이 내구재 상품이 아닌 필수 상품으로 쏠리게 했습니다.

자동차 세일즈가 크게 줄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1% 하락한 18.6%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필수 상품 매출은 늘어, 식품이 10.6% 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식품은 2020년 소매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9%로 지난 2019년 2.1%보다 늘었습니다.

/pixaimage|online purchase|10|10
한편 소비자들의 전자 상거래 규모를 보면, 지난 2020년 242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이전보다 46.5%나 늘어난 수준입니다.

아이러니하지만 이 분야는 필수가 아닌 상품매출 상승세가 이끌었습니다.

예를 들어 가정용 가구와 전자제품이 67.6%를, 의류가 31.9%, 스포츠와 레저용 상품이 90.5% 늘었습니다.

이상 경제뉴스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밴쿠버한인커뮤니티 K밴쿠버닷컴

#캐나다 #온라인 #소매매출 #코로나 #식품음료 #청량음료 #알코올 #자동차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66 / 13 Page
RSS
코로나 대확산 역대 '최고치' 경신
K밴쿠버
등록일 05.03 조회 4185 추천 0

뉴스 글로벌 코로나 관련뉴스입니다. 전세계 코로나19 확산세가 또다시 역대 최고수준으로 도달하고 있습니다. 선진국은 높은 백신 접종률을 토대로 일상 …

토론토 주택시장 조정국면? 거래 가격 동반하락
K밴쿠버
등록일 05.11 조회 6256 추천 0

뉴스 토론토 부동산뉴스입니다. 토론토부동산위원회 [TRREB|티알알이비]에 따르면 지난 4월 GTA 주택거래는 1만3,663 채로 3월보다 13% 적…

부동산용어 cloud on title 부터 condemnation 까지
K밴쿠버
등록일 05.18 조회 5559 추천 0

용어설명 |c…

BC주 6월중 백신접종 80% 가능
K밴쿠버
등록일 05.26 조회 3440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접종 관련뉴스입니다 BC주 코로나19 사태가 전국적 기준에서도 크게 개선되는 것으…

직장 복귀했는데 동료가 백신 안 맞았다면
K밴쿠버
등록일 06.03 조회 5848 추천 0

뉴스 백신접종 관련 조사결과입니다 지난 1년 이상 이어져 온 팬데믹은 생활 습관 곳곳…

외견상 소수민족, CERB 신청 많아 ”취약”
K밴쿠버
등록일 06.10 조회 3747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 거주 외견상 소수민족, 즉 이민자들의 취약성이 다시 한 번…

BC주택시장, “하반기도 강세 전망”
K밴쿠버
등록일 06.19 조회 5320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최근 BC주택시장은 예전에 없던 수요로 큰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홈스테이징, 단품과 시리즈를 조화롭게 배치해야
K밴쿠버
등록일 06.27 조회 4595 추천 0

부동산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는 마음은 남녀노소 누구나 가지고 있는 인간 본연의 모습인 것 같습니…

BC, 산불 상황 ‘악화’…캠프파이어 위반 1150불
K밴쿠버
등록일 07.06 조회 3581 추천 0

뉴스 BC주 산불소식입니다. BC주 산불 상황이 여전히 악화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인재로 알려…

캐나다인 투자, 녹색에너지 화석 연료 ‘분산’
K밴쿠버
등록일 07.15 조회 2856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마음이 가는 곳에 ‘돈’도 흘러가기 마련입니다. 최근 앵거스 …

팬데믹 중 ‘모기지 연기’ 이용자 16% 수준
K밴쿠버
등록일 07.23 조회 2701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모기지 소비자들은 코로나 19 속에서도 확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해마…

부동산용어 joint note 에서 lath 까지
K밴쿠버
등록일 08.02 조회 3151 추천 0

용어설명 |jo…

BC 백신접종 간격 28일로 단축…확진자 급증
K밴쿠버
등록일 08.11 조회 3434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캐나다와 미국에서 코로나 19 확진자가 늘어나는 가운데 국…

타 주 이동 승객에 ‘백신 의무화’ 추진돼
K밴쿠버
등록일 08.19 조회 2343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팬데믹 제 4차 파동이 우려가 커지면서 생활 방식에 큰 변화가 올 조짐…

BC주 ‘백 투 마스크’로 복귀
K밴쿠버
등록일 08.26 조회 2297 추천 0

뉴스 BC주 코로나 관련뉴스입니다. “실내 공간에서는 다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최근 B…

주택 투자가 경제를 새롭게 개조합니다
K밴쿠버
등록일 09.06 조회 3146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전국적으로 경제 성장이 주춤거리고 있습니다. 분기별 성장률이 후퇴하기도 했습니…

부동산용어 nominal interest 에서 obsolescenc 까지
K밴쿠버
등록일 09.14 조회 3017 추천 0

용어설명 |nominal intere…

연방 총선 결과…자유당 ‘소수정부’ 재집권
K밴쿠버
등록일 09.22 조회 2431 추천 0

뉴스 캐나다 연방 총선 뉴스입니다. 연방 총선이 드디어 막을 내렸습니다. 선거 최종 결과는 향후 우편 투표 집…

BC, 앨버타, 온타리오 전국 일자리 상승 주도해
K밴쿠버
등록일 10.01 조회 3298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전국적으로 임금을 받는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지난 7월을 기준으로 한 데이…

BC주, 공공분야 ‘백신 접종’ 의무화…11월
K밴쿠버
등록일 10.09 조회 2936 추천 0

뉴스 BC주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BC주 정부가 백신 증명서 정책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관내 모든 공무원들…

뉴스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