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류 커뮤니티

나눔정원, 캐나다 양로원 및 한인 노인 문제 워크샵 개최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한인 노인들의 복지 문제 해결을 위한 첫걸음

지난 18일, 앤블리 센터에서 나눔정원(비영리 봉사단체)이 주최한 워크샵이 성황리에 열렸습니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아메니다 양로원의 매니저 로사 박 선생님께서 "캐나다 양로원 및 Care home 현황과 한인 노인분들의 당면 문제"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셨습니다.



로사 박 선생님의 발표는 다음과 같은 주제로 구성되었습니다:
- 시니어 하우징 타입
- 양로원과 요양원
- 요양원 현황 및 노년 인구
- BC 하우징 및 시니어 소득 안전 프로그램
- 당면한 문제
- 지역 단체의 역할



당초 25명의 참석자를 예상했으나,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로 행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참석자들은 진지한 태도로 강연을 경청하고 열띤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습니다.

캐나다의 노인 복지 시스템은 주로 영어권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소수민족인 한인 노인들이 혜택을 받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저소득 한인 노인, 자녀가 없는 독거 노인 등 많은 한인 노인들이 정부 복지 혜택에서 소외되고 있습니다. 자녀가 있는 경우에도 자녀들이 생업에 바빠 충분한 돌봄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공동체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캐나다에도 한국의 요양사와 유사한 'Better at Home' 서비스가 있어 간단한 집청소, 장보기, 방문해서 이야기 나누기 등의 프로그램을 다양한 비영리 법인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역시 영어로 또는 온라인으로 신청을 해야 하고, 한인 요양사와 같은 한인 봉사자들이 부족해 신청이 무의미할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정부에 소수민족 노인들의 복지 시스템 개발을 요청할 필요가 있지만, 그 이전에 한인 커뮤니티 내에서 자발적인 활동이 필요합니다.

나눔정원은 한인 커뮤니티 내의 노인 복지 문제가 절실한 문제라고 보고, 공동체와 함께 해결 방안을 찾고자 합니다. New Vista Society 거주 어르신들 중 다수는 근처에 가족이 없거나 정기적인 사회적 관계가 없습니다. 그분들에게 매주 전화 통화를 하여 동료애, 지원 및 안심을 제공할 수 있는 자원봉사자를 찾고 있습니다. 자원봉사자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화를 통해 새로운 Vista 거주 어르신과 친근한 대화를 나누기
2. 경청하고 필요한 경우 지원 제공
3. 공동체 내에서 유대감을 형성하고 소속감을 조성
4. 추가 지원을 위해 우려 사항이나 요구 사항을 당사 팀에 보고

자원봉사에 관심이 있거나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나눔정원 배은영에게 이메일(cankormedia@gmail.com) 또는 전화(604-765-3880)로 연락해 주십시오. 우리가 조금만 나누려 하면, 모든 사람이 존중받고 포용된다고 느낄 수 있는 지원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나눔정원은 레베카 TV  (email: autoprojob1@gmail.com), 부동산 밴쿠버 신문사(캐나다 비즈니스 신문사), 캔코마켓팅(밴쿠버 업소록 발행사)가 함께 후원하고 있습니다. 누구에게나 다가올 공동체의 미래를 위해서 나눔정원의 여정에 함께 동참해 주실 분들은 배은영(604-765-3880, sophiabae0@gmail.com)에게 연락 부탁드립니다.

아래링크를 클릭하시면 6월1일에 진행되는 세미나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658 / 10 Page
RSS
신규 주택 값, 팬데믹 기간 내내 상승세
K밴쿠버
등록일 07.23 조회 3060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주택시장은 팬데믹 기간 동안 초반 잠시 출렁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밴쿠버, 토론토 '다세대주택'이 신규 착공 주도해
K밴쿠버
등록일 08.01 조회 2655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경제가 본격 회복하면서 주택 착공도 꾸준한 오름세를 유지…

캐나다 ‘백신 여권’ 올 가을 발행되나…
K밴쿠버
등록일 08.13 조회 2301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 여권 관련 뉴스입니다. 소문으로 무성했던 ‘백신여권’이 드디어 캐나다에서 공식화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이민부가 빠르면 올 가을을 …

캐나다 주택시장 “가격 정점은 아직까지…”
K밴쿠버
등록일 08.22 조회 2192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팬데믹을 살아가는 요즘. 캐나다 주택시장은 과거에 보이지 않았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듯합니다. 시장의 변화가 이전보…

트뤼도 정부 지지율 하락세…보수당과 ‘각축’
K밴쿠버
등록일 09.02 조회 2935 추천 0

뉴스 캐나다뉴스입니다. 최근 연방 선거 양상이 초반 전망과 조금 다르게 흐르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선거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는 말…

렌트비 2022년에 최대 1.5% 인상 가능
K밴쿠버
등록일 09.11 조회 2844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팬데믹 기간중 시행됐던 ‘렌트비 동결이 드디어 해제될 전망입니다. 주 정부는 최근 2022년 렌트비 인상 가이드라인을 발…

BC주택 시장 ‘거래 정상’속 리스팅 ‘가뭄’
K밴쿠버
등록일 09.18 조회 2635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주택 거래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한다지만 공급물량이 너무 부족한 실…

앨버타, 코로나 19로 ‘의료 체계 위기’로
K밴쿠버
등록일 09.29 조회 2841 추천 0

뉴스 캐나다 백신접종 뉴스입니다. BC주 인근 앨버타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의료…

캐나다 경제 회복기 스몰 비즈니스 경제 과제…부채와 디지털 변화
K밴쿠버
등록일 10.10 조회 3565 추천 0

뉴스 캐나다 경제뉴스입니다. 캐나다 경제는 회복하고 있습니다. 다만 속도에 차이가 생기기 마…

캐나다 집장만 여건, 전국 및 모든 주거형태 ‘악화’
K밴쿠버
등록일 10.17 조회 2423 추천 0

뉴스 캐나다 부동산뉴스입니다. 캐나다 전국적으로 집장만이 힘들지 않은 곳이 있을까요? 최근 RBC…

캐나다 내륙지역, 강우량 증가로 모기 개체 수 늘어
K밴쿠버
등록일 10.28 조회 2692 추천 0

뉴스 캐나다 뉴스입니다. 캐나다 내륙 지방이 수년에 걸친 강우량 증가로 모기의 개체수도 늘어났습니다. …

BC주택 시장은 요즘 ‘거꾸로 보는’ 수요-공급 곡선
K밴쿠버
등록일 11.15 조회 3073 추천 0

뉴스 BC주 부동산뉴스입니다. 최근 BC주택 시장은 역설적이지만 물량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더 부…

캐나다인 해외여행 급등세…팬데믹 전보다 ‘미미’
K밴쿠버
등록일 11.26 조회 2478 추천 0

뉴스 캐나다 해외여행 관련 뉴스입니다 백신 접종 확대로 팬데믹 상황이 조금씩 진정세를 보이는 …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K밴쿠버
등록일 12.07 조회 3938 추천 0

부동산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각 주 권역을 넘나드는 주민 이동이 강세…로컬 시장 영향” 전국 시장 95%에서 ‘셀러스 마켓’…밴쿠버 집값 5…

내년 집값 10.5%…”겨울시장 흔치 않게 활발”
K밴쿠버
등록일 12.26 조회 3547 추천 0

뉴스 내년 집값 10.5%…”겨울시장 흔치 않게 활발” 전국 스키 리조트 집값은 23.5% 뛰어…공급 부족에 광역 밴쿠버, 광역 토론토 주택 값 각각…

캐나다인 다수 장기 투자 혜택을 놓쳐”
K밴쿠버
등록일 01.15 조회 2622 추천 0

뉴스 “캐나다인 다수 장기 투자 혜택을 놓쳐” 과반, 비과세 저축 ‘현금’으로…29%도 ¾을 현금 투자에도 흐름이 있다. 캐나다인의 저축 방식도 마찬…

“BC주민, 휴대폰 스팸 전화 더 늘어난 듯”
K밴쿠버
등록일 01.29 조회 3384 추천 0

뉴스 “BC주민, 휴대폰 스팸 전화 더 늘어난 듯” 주민 절반 이상…2019년 9월 조사보다 15%p 더 늘어 연방 정부의 ‘전화 스팸’ 대응조치에 …

연방 소득세 변화, 하위 20% 가정에 영향
K밴쿠버
등록일 02.15 조회 1712 추천 0

뉴스 연방 소득세 변화, 하위 20% 가정에 영향 “자녀 있는 저소득 60% 더 높은 연방 개인소득세 부담” 각종 세금제도 변화는 모든 계층에 영향을…

고령화 사회 캐나다 고령자 혜택 연령 기준 올려야 할까…
K밴쿠버
등록일 02.28 조회 1394 추천 0

뉴스 고령화 사회 캐나다 고령자 혜택 연령 기준 올려야 할까… 22개 OECD국가중 16곳 인상 등…캐나다 제외 다양한 복지혜택으로 정평이 난 캐나다…

캐나다 올해 경제 성장 “이상 없을까”
K밴쿠버
등록일 03.15 조회 1219 추천 0

뉴스 캐나다 올해 경제 성장 “이상 없을까” 작년 연말 실질 성장률 0%...올해 전망에 ‘찬물’ 붓나 이전 6개월 연속 성장세 멈춰…1월 예비조사 …

뉴스정보